View : 960 Download: 0

Save As

Title
Save As
Other Titles
Save As : Painting as Transitive Experience of Fragmented Image
Authors
최단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덕현
Abstract
텍스트 시대를 지나 이미지의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 각종 영상 미디어 테크놀로지로부터 생산된 광학적 이미지들은 산업화된 사회 속에서 증식되며 세계 곳곳에 투사되고 있다. 우리는 스크린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화된 세계의 파편을 마주한다. 그것들은 때로는 완전한 현실처럼, 때로는 환상으로 다가오며 경계를 와해한다. 직간접적인 미디어 경험은 현실의 경험과 뒤섞여 기억 속에 조각난 채로 부유하며 새로운 실재를 창조하는 발단이 된다. 본 논문은 디지털 이미지가 다중의 미디어를 통해 생산되며 융합과 유동의 상황으로 서로의 경계를 흔드는 현재의 모습에 우선 주목한다. 우리는 각종 게임기,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서 비롯한 디지털 스크린에서부터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에 이르는 미디어 경험의 확장을 목격하고 있다. 연속적 아날로그 세계인 현실의 경험을 압도하며 언제든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뉴미디어의 경험은 사용자에게 물리적 시야를 넘어선 카메라의 시야를 부여한다. 뉴미디어의 시각은 본인에게 디지털 스크린의 동시성을 욕망하게 하며 심상적 가상공간의 범주를 확장시켰다. 이어서 본인은 경험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미지 파편으로 구성된 상상 영역의 풍부함이 현실의 단조로움과 충돌하는 순간을 논증한다. 상상과 현실 사이의 간극은 권태를 유발하거나 실재와 가상을 혼종적으로 감각하는 오류를 발생시킨다. 권태에서 도피하기 위해 순간적인 쾌락을 추구하던 욕망은 예술작품을 거치며 그 방향과 에너지를 승화시킨다. 본인은 무책임한 쾌락을 벗어나 통제사회의 구조로부터 탈주하여 자유롭게 분출되는 태도를 일컫는 들뢰즈(Gilles Deleuze)와 가타리(Pierre-Félix Guattari)의 ‘욕망하는 생산(producing desire)’을 통해 권태가 생산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권태의 순간에 활력을 띄는 이미지 파편은 예술적 생산의 강력한 동력으로서 재매개되며 작품으로 접속된다. 그러한 변환의 과정에서 파편적 이미지는 신체의 움직임을 거쳐 회화로 응집되고 시각화된 가상의 공간은 다시 본인이 몰입할 수 있는 ‘실재적’ 경험을 이루게 된다. 이 지점은 이전과 구별되는 새로운 흐름의 일상을 마주하게 함으로써 ‘인터페이스(interface)’와 ‘통과제의(rites of pasage)’적 성격을 갖는다. 본인은 빅터 터너(Victor W. Turner)의 ‘리미널리티(Liminality, 전이영역)’ 개념을 인터페이스가 진행되는 순간과 동일선상으로 인식하고, 전이단계가 발생시킬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로써 본인은 디지털 스크린의 경험을 회화로 가져와 대상이 가진 본래의 상태가 변화하게 되는 제의적 순간의 여러 가능성을 모색하는 예술적 시도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뉴미디어 환경에서 쏟아내는 이미지와 유사하게 분열적인 모습을 띈 사고의 흐름은 캔버스에 ‘인터페이스 스크린’의 동시성을 띄며 전개된다. 이 과정에서 작품은 기억의 재구축을 시각화함과 동시에 혼종적인 감각의 오류를 담는다. 본 논문은 이미지가 본래의 배경과 분리되고 맥락을 달리하면서 개인의 기억과 만나게 되는 전이과정에 집중한다. 본인은 개별적 경험을 재의미화하여 회화적 공간에 저장함으로써 파생되는 감각과 의미의 변화를 탐구하며, 본래의 이미지가 내포한 상태적 의미가 변용되는 형적의 전개를 다양한 회화적 표현방법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Beyond the age of the text, in today’s era of image, optical images produced from various media technologies are propagated in industrialized society and projected all over the world. We face fragments of a digitally imaged world through a screen. They sometimes present perfect reality or fantasy, obscuring the boundaries of the two. The direct and indirect media experiences are  interfused with the experience of reality, and they have remained as fragments in our memories, becoming the platform for the creation of a new reality. The thesis focuses on the present state of digital images produced by diverse means of media, and its discrepancies on the boundaries of different realities through amalgamation and flux. We are witnessing the expansion of media experience from digital screens, including various game players, computers, and smart phones, to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The exposure to new media, which can be interfaced at any time, is threatening the series of analogue world, providing the users an omniscient view beyond the physical sight. Surpassing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the digital process has created a new perception of reality. The perspectives of new media have led us crave for the simultaneity of digital screens and have expanded the boundaries of imaginary virtual space. In succession, the thesis demonstrates the moment when the effulgence of imaginary realm, composed of image fragments from individual experience, collides with the monotony of reality.  Such disparity between imagination and reality creates fallacies that induce lethargy or hybrid of imagination and reality. The desire of escapism from lethargy to pursue temporary pleasure sublimates its directions and energy through artworks. I have analyze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lethargy to production through the ‘producing desire’ of Gilles Deleuze and Pierre-Félix Guattari, from which conveys the manner of escapism apart from the irresponsible pleasure in the controlled society. Image fragments stimulated at the moment of lethargy are re-mediated as a powerful influence for artistic production. In the course of such transformation, the fragmented images are merged as a painting through bodily movement, and the visualized virtual space becomes the ‘real’ experience in which we can immerse back.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and ‘rites of passage’ by confronting the new rhythm of daily routin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The desirous energy is converted into the social energy through the ritualistic act of physical production of artwork, and at the same time, the artwork becomes the interface which mobilizes the state itself. This is an inevitable act and an attitude for amending the sensory fallacies while adjusting the balance of the energy. Centered around the idea of Victor W.Turner’s ‘Liminality’, I have examined the multi-tier potentials that can possibly occur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Thus, I am signifying the artistic attempt to impart the experience of digital screen into a painting,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ritualistic moments that alter the original conditions of the objects. The disruptive flow of thoughts, similar to the images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presents the concurrence of ‘interface screen’ on canvas. In this process, the artwork visualizes the reconstruction of memory, and simultaneously, possesses the error of hybrid sensory. The liminality of interface is not fixed on one viewpoint, promoting the continual one, which alternatively generates the trail of contemporary view. The thesis focuses on the transition process through which images are separated from the original setting and re-contextualized to comply with individual memories. I have attempted to analyze the change of the senses and its meanings through re-defining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storing it in the artistic space, and scrutinize the development of forms in which the meanings of the original image is transformed by various aesthetic express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