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2 Download: 0

무의식적 행위로서의 낙서를 조형화한 디지털 텍스타일 아트 연구

Title
무의식적 행위로서의 낙서를 조형화한 디지털 텍스타일 아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igital Textile Art Modeling Graffiti as Unconscious Behavior : Focused on Laser Cutting-out Processing Technique
Authors
장해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본 논문은 무의식적 행위에 의한 낙서를 조형화한 디지털 텍스타일 아트로서 연구자의 낙서 표현을 예술적 관점에서 해설하여, 레이저커팅과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에 의한 융합적 조형표현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의식과 의식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던 프로이트의 메타 심리학과 무의식을 표현하고자 한 작가들의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낙서 표현을 해석하였으며 디지털 텍스타일 아트의 조형적 기법 및 제작 방법을 탐구하였다. 낙서는 일상생활 속에 흔히 발견되는 인간 본성에 내재된 표현의 한 영역으로 유사 이래 인류 문명에 기록된 다양한 낙서들에는 인간의 삶과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낙서는 고고학자와 역사학자, 미술 비평가들에게 연구의 대상이 되었고 그들은 낙서를 인간의 보편적 충동에 의한 정신적, 심리적인 표현으로 그 예술적 가치를 조명하였다. 보편적 표현 충동에 의한 낙서는 무의식을 탐구했던 프로이트에 의해 인간의 의식에 잠재해 있는 무의식의 세계를 표출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제시되었다. 그는 의식의 검열 없이 무의식을 드러내는 ‘자유연상’법을 고안하여 정신분석학을 창시했다. 초현실주의자들은 프로이트의 ‘자유연상’법을 응용한 ‘자동기술법’을 통해 환상이나 몽상 중에 낙서와 같은 그림을 그렸으며 추상표현주의자들에게 낙서는 일종의 행위의 흔적으로 ‘낙서하는 인간의 존재성’을 드러내는 예술 표현의 한 수단이었다. 현대에 즉흥적인 낙서표현은 조각, 회화, 디자인 등 장르의 구분 없이 적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매체에 의해 인터렉티브 아트, 영상 미디어 등 그 표현 영역이 확장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텍스타일 아트를 디지털 기술과 텍스타일 소재를 기반으로 하여 순수 조형 표현에 중점을 둔 예술의 한 분야로 정의하였으며, 낙서라는 심리적 기제의 정신적 이미지를 디지털에 의해 복제, 반복, 확대, 결합 및 재조합 하여 이를 레이저커팅 및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으로 출력한 작품연구를 하였다. 텍스타일은 인간의 환경을 둘러싼 물질로서 일상생활에서 필수불가결한 소재이다. 또한 섬유는 펼쳐보기 전에는 그 전체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으며 설치 방법에 따라 매우 가변적인 소재로 미설치 상태에서는 섬유 더미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텍스타일이 일상의 보편적 소재라는 점과 그것을 면밀히 펼쳐 보지 않으면 전체를 볼 수 없는 특성을 인간의 무의식에 비유하여 연구를 전개하였다. 연구자는 프로이트의 이론과 작가들의 작품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낙서를 유희, 꿈, 불안, 욕망,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과 경험이 압축된 내면의 상징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대상의 재현이 아닌 심상의 공간에 부유하는 정신의 상상력에 의한 이미지로 바라보았다. 따라서 낙서는 2차원의 종이에 그려졌으나 입체적으로 인식되며 이를 3차원의 실재공간으로 전치(轉置)하기 위해 신체가 대면할 수 있는 촉각적이며 가변적 특성을 가진 텍스타일로 변환시켰다. 이러한 낙서 이미지는 의식에 의해 재구성되고 중첩 및 유닛의 연결, 감기 등의 방법을 통해 입체적 조형물로 설치하였다. 위의 연구방법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낙서의 개념과 프로이트의 이론에 의하면 무의식적 행위로서의 낙서는 인간의 표현 충동에 의한 것으로 유희적이며 내면의 소망, 경험, 욕망 등의 상징으로 심리적, 정신적인 예술 표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의식을 표현하고자 한 작가들의 작품 분석을 통해 무의식적 행위에 의한 낙서에는 인간의 욕망, 상상력, 유희성, 감정의 분출, 실존의 행위가 조형적으로 형상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대미술에서 낙서는 장르와 매체의 경계 없이 그 표현방법이 확장되었다. 셋째, 디지털 텍스타일 아트는 디지털 프로세스를 활용한 텍스타일 아트로 순수한 창의적 표현에 중점을 둔 것이며, 디지털에 의한 이미지 차용으로 무한 복제, 반복, 변형되어 재현과 생산이 가능하므로 디자인으로 확장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영역으로 파악하였다. 넷째, 위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낙서행위를 추적한 결과 연구자에게 낙서는 놀이 행위로서 심리적 해방감을 주어 안정감을 느끼게 하는 심리적이며 유희적인 도구의 역할을 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연구자의 낙서를 조형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한 결과, 조형적 표현들은 과거의 숙련된 경험, 분노, 불안, 생각의 흐름,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낙서의 이미지를 3차원의 실재공간에서 체험하고자 각기 다른 시간과 장소에서 그려진 낙서를 스캔하여 형상 그대로를 휴먼 스케일(Human Scale)만큼 확대하였다. 낙서 이미지들을 원단에 레이저커팅 한 후 벽면에 설치하여 그 의미들을 재구성 하였다. 평면에서의 설치 시 벽의 중앙에서의 임의적인 배열은 마치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아 부유하는 것과 같은 착시효과를 줄 수 있었다. 여섯째, 점과 선 등의 반복되는 단위로 구성된 낙서를 컴퓨터상에서 그 단위를 분리하고 여러 개로 복제하여 폴리에스테르 펠트나 원단에 레이저커팅 하였다. 커팅 된 단위들은 그것의 개수나 연결 방법에 따라 가변적 작품설치가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각각의 낙서에 밝은 색채를 지정하고 그 이미지들을 혼합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한 후 그 형태 그대로 레이저커팅 한 낙서를 공중에 매달아 유연하고 가벼운 텍스타일의 입체적 설치를 함으로써 새로운 조형표현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연구를 통해 현상 이면의 내재된 근원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표현 방법에 있어서 영상 미디어, 자카드, 기계자수, 3D프린팅 등의 기법 및 타 장르와의 연계를 통한 융복합적 텍스타일 조형표현과 이를 응용한 디자인 제작을 연구과제로 남겼다.;This paper aims to explain graffiti expression of the research as digital textile art modeling graffiti by unconscious behavior and propose integrated modeling expression by using laser cutting and digital textile printing. To do this, it interpreted graffiti expression of the researcher based on analysis of artworks of artists who intended to express meta-psychology and unconsciousness of Freud who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In addition, it explored modeling techniques and production methods of digital textile art. Graffiti reflects human life and culture as a single area of expression embedded in human instinct commonly identified in daily routines. Graffiti thus has been a research topic selected by archaeologists, historians, and art critics and they illuminated its artistic value as mental and psychological expression prompted by universal human impulse. Graffiti caused by universal expression impulse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express the unconscious world embedded in the human consciousness lead by Freud who explored unconsciousness. He invented “free association” technique that presents unconsciousness without censoring of consciousness and created psychoanalysis. Universal impulse is caused by human instinct. Graffiti expression was proposed by Freud and Jung who explored the unconsciousness as an alternative to express the unconscious world embedded in the human consciousness. Surrealists painted graffiti under fantasy or daydream by using “automatic description” that applied Freud’s “free association.” Graffiti was a sort of behavior trace for them and a tool of art expression representing “the existence of human who makes graffiti.” The contemporary impromptu graffiti is expressed without dividing genres such as sculpture, painting, and design. Its expression medium has been expanded into interactive art and video media aided by digital media. In this study, digital textile art was defined as a single of art focusing on pure modeling expression as textile art applied with digital technology. It studies artworks printed by using laser cutting and digital textile printing by copying, repeating, expanding, combining, and recombining mental images of psychological mechanism called graffiti by using digital technology. Textile is an essential material in daily routines as materials surrounding the human environment. In addition, the entire shape of fabric is unidentifiable before unfolding it. It is very flexible depending on installment methods and it is merely fabric mass under being un-installed.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extile is a universal daily material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not showing the entire shape without unfolding it to human unconsciousness. The author interpreted graffiti as amusement, dream, anxiety, desire, and objects as an internal symbol where perspective and experience are condensed based on analysis of Freud's theory and artworks. These are seen as images made by mental imagination floating in an imaginative space not an representation of objects. Therefore, graffiti is perceived as dimensional, although it was depicted on a two-dimensional paper. This was converted into textiles with touching and variable characteristics to which bodies can face to transpose it to the three-dimensional actual space. These graffiti images are reconfigured by consciousness and installed as dimensional sculptures such as overlapping, unit connection, and wiring. Results from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methods are shown as follows. First, graffiti as unconscious behavior is prompted by expression impulse of human being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graffiti and Freud's theory. It is amusing and represents inner hope, experience, and desi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sychological and mental art expression. Second, human desire, imagination, amusement, emotional eruption, and existential behavior are modelled and shaped in graffiti made by unconscious behavior by analyzing artworks of artists who intended to express unconsciousness. Moreover, graffiti in the contemporary art expanded expression methods without genre and medium boundaries. Third, digital textile art focuses on pure creative expression by utilizing digital process. As it can represent and produce by borrowing digital images through infinite reproduction, repetitions, and transformations, it was understood as a potential area to be expanded to design. Fourth, graffiti behaviors of the researcher based on the above theories showed that it is a play act for the researcher, giving psychological emancipation, and served as a psychological and entertaining tool giving conformity. After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researchers' graffiti according to modeling characteristics, modeling expressions were found to be past skilled experiences, anger, anxiety, thinking flow, and perspective on objects. Fifth, graffiti images depicted in different times and places were scanned and expanded to a human scale as shapes in order to experience them in the three-dimensional places. After laser cutting graffiti images on the fabric and installing them on the wall, its implications were reconfigured. When it is installed on the flat side, random arraignments in the center of wall can give illusion effects as if floating without being affected by gravity. Sixth, graffiti composed of repeated units such as dot and line separated units on the computer, reproduced them into a couple of pieces, and laser cut them into polyester pelts or fabric. Cut units can install temporary artworks according to numbers or connecting methods. In addition, bright colors were designated into each graffiti, combined images, printed digital textiles. New modeling expression could be presented by hanging laser cut graffiti on the air and by installing flexible and light textile dimensional installment. This study encouraged me to pay more attentions to the fundamental cause underlying human psychological and phenomenon. Fusion and convergent textile modeling expression in connection with other techniques and genres including laser cutting or textile printing used in this study as well as video media, jacquard, mechanic embroidery, and 3D printing technique and design production applied with these techniques is left as an additional research task in terms of digital textile expression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