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7 Download: 0

상춘(常春)의 회화적 표현연구

Title
상춘(常春)의 회화적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ainterly Expression of Sang-Chun
Authors
진민욱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종목

송희경
Abstract
This paper is the aesthetic study focused on an analysis the painterly expression of the Sang-Chun in the researcher’s artworks released from 2012 to 2018. Sang-chun, as a literary expression, means utopia, wondering at the scenery and evergreen. Sang-Chun is used as a key word to describe artworks released in the researchers’ 2018 exhibition titled 《Everlasting Springscape (常春之景)》.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origin of the latter and reveal derivative meanings of Sang-Chun and elucidate which characteristic expressions would be occurred when the structure of the represented painting of the past is aesthetically examined by the literary expression of Sang-Chun. Lastly it is to interpret Sang-Chun into a contemporary perspective through the formative language of the researcher’s artworks. In the past, our ancestors saw nature in terms of heaven(天) and earth(地) to read the changes and the rhythm of natural phenomena and learned from nature the wisdom to deal with the world. In Confucianism, nature was assumed transcendental and called ‘Chen-li’(天理), and people thought that they should learn from nature because it governs the affairs of the world. In Taoism, Nature was viewed as having qualities of its own, which are natural and not artificial. The deep interest and appreciation of nature led painters to view it as an object of observation and a teacher for their painting. This also provided the background to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paintings in the East that found the model in nature, which was much earlier than the Western art. ‘Sang’(常) means ‘constant’ and ‘at all times’ ‘Chun’(春) means ‘springtime’ as well as the ‘first’ and ‘beginning’ of all things. In 「Pyohaelok(漂海錄)」 of 『Geumnamjip(錦南集)』 written by Choi Bo (崔溥: 1454-1504), Sang-Chun is described as another world outside this one where the spring scenery continues throughout the year. In 『Mongwajip(夢窩集)』, Kim Chang-jip(金昌集: 1648~1722) describes the color of everlasting spring(常春色) which refers to the magnificent view of the mountain that he saw from a high pavilion when he visited the house of Baek Jin-nam(白振南: 1564~1618). When Sang-Chun is used in the name of a plant such as ivy(常春藤), the permanency of Sang (常) is highlighted. When Sang-Chun is used for a proper noun for a person or building, it carries the significance of wishing someone a long life. In poetry and literature, it also appears in the names of liquor such as ‘Tae-sang-chun-ju(太常春酒)’, which enhances a taste for the arts and a romantic atmosphe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and materials of works in art history to understand the pictorial application and expression of Sang-Chun. Among paintings of the Paradise that depicted the permanent time and infinite space, 〈Mongyudowondo(夢遊桃源圖)〉 by Ahn Gyeon and 《Gosangugokdo(高山九曲圖)》 by Kim Hong-do and eight other artists are compared to some other paintings and poems. This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the compositional features of the theme of Sang-Chun in paintings are characterized by the implicit expression of the time and space of a different world through the arrangement of natural objects. 〈Mongyudowondo〉 depicts a dream journey of Prince Anpyeong Yi Yong (1418-1453), and 《Gosangugokdo》 is a picture of the four seasons of Seokdamgugok(石潭九曲). The former represents all the places of events on one canvas; the latter represents the cyclical flow of time through the depi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the sun and different seasons. Our imagination can be represented in a painting not only because of the premise that the theme of the picture is based on an ideal world, but also because the object to be depicted represents not a physical reality but an empirical reality. An example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empirical reality, not of the Paradise, is found in 〈Autumn Colours on the Qiao and Hua mountains (鵲華秋色圖)〉 by Zhao Mengfu (趙孟頫: 1254–1322) of the Yuan Dynasty, China. In the past, Sang-Chun was mainly expressed through flowers, birds, and insects. The consciousness expressed in 『Paemunjaeyoungmulsiseon (佩文齋詠物詩選)』 that “the creatures of the world can contain the order of nature and the whole creation and earth, and help to elucidate the Tao of Yookeui(六義) and Sasi(四始) provided the background of the social consciousness through which four seasons flowers and birds painting(四季花卉翎毛畵) developed based on the love of flowers and the garden culture that was popular among the gentry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our seasons flowers and birds painting refers to the painting genre that depicts the flora and fauna that symbolize the four seasons. The genre was originally the painting that represents different seasons symbolized by the growth period of animals and plants. Then gradually it developed into the form of painting to express the poetic sensibility of the painter. In the researcher’s works, tiny creatures including flowers, birds, and insects appear,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branch of the four seasons flowers and birds painting(四季花卉翎毛畵). It is because these plants and animals symbolize the time and space that the researcher experienced during walks in many places, and they contain personal narratives, beyond the schematized symbolism of natural objects of the past.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four seasons flowers and birds painting(四季花卉翎毛畵) of the past in that the researcher recorded her walk in the observed area in a piece of essay.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works representing Sang-Chun like 〈A little fuss〉(2014), 〈Plum blossoms, magpie and brown eared bulbuls in Yeonhui〉(2016), 〈How to see a plum blossom and wild birds〉(2017), 〈Plum blossoms and rose mallows in Itaewon〉(2017), 〈Tomato and small birds in Seongbuk〉(2018), 〈Landscape in Samsanli〉(2018) can be summarized into overlapping, shape analysis by moving eyes, and transparency of expression with thin layers of mineral pigments. The objects in the researcher’s works are divided into landscape and small natural objects, which express the flow of time and the depth of space by overlapping or repeating the images observed from the perspective on the mo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orrowing from the installation style of the folding screen painting to magnify the size of the objects by spreading the canvas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time and space experienced by the researcher and making the visitors’ aesthetic experience more effective through the researchers’ works. The approach of mobile observation similar to the walk taken by a flâneur, who does not have a specific destination or goal, allowed the researcher to encounter the world at a slow pace and see the true value inherent in the objects. There was a technical change in the researcher’s work from the technique of the silk goingbi painting technique that applies thick coloring on the lines of Chinese ink followed the lines from th sketch to that of repeatedly imposing mineral pigments thinly filtered out and chinese ink on the lightly sketched lines. This reflects the researcher’s intention to make the mos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served objects and make the fragrance of the slow time prevalent in the work.;본 논문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연구자의 발표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상춘(常春)개념의 회화적 표현을 분석한 미술학 연구이다. 상춘은 이상세계, 상록(常綠)을 뜻하는 문학적 표현으로 2018년 개인전《상춘지경(常春之景)》에서 발표한 작품세계를 대표하는 핵심어로 차용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먼저 상춘의 자원(字源)과 파생된 의미를 연구하고, 상춘이란 문학적 표현을 회화에 적용하였을 때 어떤 표현적 특징이 발생하는 지 현전하는 작품을 통해 밝히고 최종적으로 연구자의 조형언어를 통해 상춘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데 있다. 과거 우리 조상은 자연을 하늘과 땅으로 보고 자연현상의 변화와 흐름을 읽고 세상을 대비하는 지혜를 배웠다. 유가사상에서 자연이 초월적인 존재일 때 천리(天理)라고 부르며 세상의 흐름을 관장함으로 사람이 배워야할 대상으로 보았다. 또 도가사상의 입장에서 본 자연은 스스로 그러한 성질을 갖추어 인위적임을 배재한 순리의 대변으로 보았다. 이러한 자연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이해는 자연이 화가의 관찰 대상이자 스승이 되게 하였으며 동시대의 서양미술보다 빠르게 자연을 소재로 삼은 그림이 발생, 발전하는 시대 의식적 배경이 되었다. 상춘의 상(常)은 ‘항상, 언제나’는 뜻 이며 춘(春)은 계절인 ‘봄’ 외에 인(仁) 으로 만물의 가장 처음, 시작을 의미한다. 상춘은 최보(崔溥, 1454 ~ 1504)가 쓴 『금남집(錦南集)』 「표해록(漂海錄)」에서 사시팔절이 봄풍경인 별천지를 상춘지경이라 말한다. 『몽와집(夢窩集)』에서 김창집(金昌集, 1648 ~ 1722)은 해남에 있는 백진남(白振南, 1564 ~1618)의 집을 방문해서 높은 난간에 올라 본 산의 절경을 상춘색이라 하였다. 상춘은 상춘등 같은 식물 이름일 때 상의 영구적 시간성이 강조되며 상춘이 고유명사로 사람이나 건물의 이름일 때 축수의 의미를 갖는다. 또 시와 글귀에서 태상춘주와 같은 술의 이름으로 나올 때 문장 전체에 풍류적 분위기와 낭만성을 고조시킨다. 이 같은 의미에서 상춘의 회화적 적용과 표현방식을 알기 위해 미술사 속 작품을 대상으로 구도와 소재를 분석해 보았다. 영구적인 시간, 무한한 공간을 표현한 낙원도 계열의 그림 중 안견 필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와 김홍도 외 8인 필 《고산구곡도(高山九曲圖)》를 대상으로 현전하는 시와 그림을 비교하였다. 두 작품의 시, 그림의 세계를 비교해서 본 상춘의 회화구도적 특징은 이세계(異世界) 시공간을 자연 경물의 배치로 함축적으로 표현한다는 점이다.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 속 여정, 《고산구곡도》는 석담구곡의 사시사계의 시간을 하나의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는 데 〈몽유도원도〉는 사건의 모든 발생지를 한 화면에 묘사하고 《고산구곡도》는 해와 계절감 있는 자연환경 묘사를 통해 시간의 순환적 흐름을 표현한다. 상상의 표현이 그림으로서 성립 가능한 것은 그림의 주제가 이상 세계를 묘사한다는 전제도 있지만 묘사하는 실재가 물리적인 실재가 아닌 경험적인 실재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실경을 대상으로 한 경험적 실재의 구현은 중국 원 조맹부의 〈작화추색도(鵲華秋色圖) 〉를 대표적 사례로 들 수 있다. 이어서 상춘의 소재적 표현방식은 꽃, 새, 곤충을 소재로, 『패문재영물시선(佩文齋詠物詩選)』에서 밝힌“미물(微物)은 천지만물의 이치를 담고 육의와 사시의 도를 밝힐 수 있다.”는 배경의식과 영물시와 조선 후기 사대부 사이에 유행하던 화훼 애호사상과 정원문화를 기반으로 발전한 화훼 영모화에서 원형을 찾을 수 있었다. 이중 특히 사계 화훼영모화는 계절을 상징하는 동, 식물로 구성된 그림을 말한다. 사계 화훼영모화는 초기에는 묘사하는 동, 식물의 생장시기로 계절감을 나타내는 그림에서 점차 화가의 시의(詩意)를 표현하는 그림으로 발전하였다. 본인의 작품에도 꽃, 새, 곤충 등 작은 자연물이 나타나는 데 이를 사계 화훼영모화의 한 갈래로 해석할 수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동, 식물들은 연구자의 산보로 경험한 시공간을 총체적으로 상징하고 과거 시대를 초월하는 형식화된 자연물의 상징적 의미를 넘어 개인적 서사를 담고 있다. 관찰 지역 안의 행보를 한 편의 수필처럼 자연의 이미지를 통해 기록하고자 시도한 점도 과거의 사계 화훼영모화와 차이가 있다 하겠다. 〈작은 소동〉(2014), 〈연희매화작필도〉(2016), 〈관매화산금〉(2017), 〈관매산금〉 (2018), 〈이태원매규도〉(2017), 〈성북남만시소조도〉(2018), 〈삼산리소경〉(2018) 을 대표 작품으로 본 연구자의 상춘작품의 형식적 특징은 실경의 중첩, 이동시점으로 본 형상해석, 묽은 석채 안료 적층으로 표현한 투명함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의 작품 속 실경은 크게 도심 풍경과 작은 자연물로 구분되며, 대상을 일정한 시간동안 이동시점으로 관찰한 형상을 화면에 중첩하거나 반복하여 이상경의 시간의 흐름과 공간의 깊이를 나타낸다. 연폭병풍화의 설치 형식을 차용하여 화폭을 연폭(連幅)하여 대상의 크기를 키우는 것은 연구자의 실제 체험과 유사한 시공간을 조성하고 관람객이 작품을 통해 미적 유사체험을 효과적으로 하는 데 일조하였다. 특정한 목적지나 목표가 없는 플라뇌르(Flâneur)적 산보의 이동식 관찰방법은 느린 속도로 세상을 대하고 대상에 내재된 진정한 가치를 볼 수 있게 해주었다. 하도를 옮긴 먹선에 두터운 채색을 올리는 비단 공필중채화법에서 바탕재에 직접 옅게 그은 연필선에 묽게 수비한 석채안료와 먹을 반복해서 얹는 비단 수묵채색화법으로의 기법변화는 관찰한 대상의 특징을 충분히 살리고 느린 시간의 향기를 작품에 만연하게 하고자 하는 연구자의 의도를 이행한 결과라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