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한범수류 해금산조 진양 기보법 연구

Title
한범수류 해금산조 진양 기보법 연구
Other Titles
Comparison Study of Han Beomsu style Haegumsanjo Jinyang music notation With Concentration on Music by Kang Dukwon/Yang Gyungsook and Choi Taehyun
Authors
차다슬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논문은 한범수류 해금산조 진양을 대상으로 강덕원/양경숙 채보 악보와 최태현 채보 악보의 기보방법을 비교하고 각 악보의 기보 특징을 파악하였다. 특히 두 악보를 비교할 때 시김새 뿐만 아니라 이외의 열 가지 요소에 걸쳐 악보 전반을 비교하였으므로 앞으로의 산조 기보 통일화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하는 데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두 악보를 음정, 리듬, 음 기둥, 쉼표, 농현, 추․퇴성, 꺾는음, 기타 시김새, 운지법, 활대 기보를 중심으로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음정은 동일한 선율일지라도 채보자에 따라 상이하게 기보될 수 있다. 특히 2지(指)로 연주하는 음정 중 꺾지 않는 음정은 미분음에 해당하는 것으로 강덕원/양경숙 악보는 e음으로, 최태현 악보는 e♭음으로 기보했다. 둘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리듬은 동일한 선율일지라도 채보자에 따라 상이하게 기보될 수 있다. 두 악보가 주로 다르게 기보하는 리듬꼴은 ♬♩(혹은 ♪♩), 붓점, 셋잇단음표이다. 셋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음표 기둥은 채보자의 기준에 따라 상이하게 기보되었다. 강덕원/양경숙 악보는 활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최태현 악보는 분박을 기준으로 기보했다. 넷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쉼표는 주로 6박에 기보하여 음악에 단락감을 주는 역할로 사용했다. 다섯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농현은 기보형식과 기보횟수가 채보자마다 상이하게 기보되었다. 강덕원/양경숙 악보는 가늘게 떠는 농현과 굵게 떨며 퇴성하는 농현으로 총 132회 기보했고, 최태현 악보는 가는 농현과 굵은 농현으로 총 253회 기보했다. 여섯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추․퇴성은 기보형식이 채보자에 따라 상이하게 기보되었다. 최태현 악보의 방법은 추․퇴성의 정확한 음고와 리듬을 기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고 실제로 강덕원/양경숙 악보보다 다양한 리듬꼴과 음고로 기보되었다. 일곱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꺾는음은 기보형식과 출현조(調), 출현음이 채보자에 따라 상이하게 기보될 수 있다. 강덕원/양경숙 악보는 부호로 평조와 계면조의 d음에만 꺾는음을 기보했고, 최태현 악보는 앞꾸밈음으로 우조의 b음과 계면조의 d음, g음에 꺾는음을 기보했다. 최태현 악보는 계면조에서 중심음의 변화(c→f)에 따라 꺾는음의 출현음도 변화(d→g)했다. 여덟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기타 시김새는 농현, 추․퇴성, 꺾는음을 제외한 시김새로 격음표와 노니로표에 해당한다. 강덕원/양경숙 악보는 격음표(c)와 노니로표에 해당하는 부호를 사용했고 최태현 악보는 격음표는 음고로 기보했으나 노니로표는 기보하지 않았다. 아홉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운지법은 기보 형식과 횟수가 채보자에 따라 상이하게 기보되었다. 강덕원/양경숙 악보는 4가지 종류의 운지법 부호를 한자 숫자로 기보하였으며 최태현 악보는 13가지 종류의 운지법 부호를 한글 자음으로 기보하였다. 두 악보 중 운지법 기보 횟수가 더 많은 악보는 최태현 악보이다. 열 번째, 강덕원/양경숙 악보와 최태현 악보의 활대 기보는 기보 형식과 활의 진행 방향이 채보자에 따라 상이하게 기보될 수 있다. 강덕원/양경숙 악보는 서양 현악기에서 사용하는 부호를 사용하고 최태현 악보는 해금 악보에서 사용하는 →, ←부호와 이중 활법인 ⇢⇢ , ⇠⇠부호를 사용했다. 활의 진행방향은 강덕원/양경숙 악보보다 최태현 악보가 더 자주 분할했다. 이상의 연구가 해금 산조의 악보화를 위한 많은 노력에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해금 산조 기보의 통일성과 체계성에 대해 고민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This paper is dedicated for comparing notation between Kang Deokwon/Yang Gyungsuk music piece and Choi Taehyun music piece, and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each piece focus on Jinyang from Han Beomsu style Haegumsanjo. Especially it is comparison of piece with 10 elements in general, not only with Sigimsae, so it will contribute to unifying the style of Sanjo notation. The following is a result of comparison of two pieces, regarding tune, rhythm, notes, rest, Nonghyun, Chu․Tweseong, Koekneuneum, other Sigimsae, fingering, notation for bow : First, tunes can be noted differently by recorder even with same melody. Second, rhythm also can be noted differently. The main differences are about ♬♩(or ♪♩), dotted, triplet. Third, note has been recorded by standard of recorder. Kang Deokwon/Yang Gyungsuk piece is notated by direction of bow, and Choi Taehyun piece is by rhythm. Fourth, rest is usually notated on 6th beat on both pieces, so they could give the sense of paragraph for music. Fifth, about Nonghyun, the way and number of notation is differ from recorder. Kang Deokwon/Yang Gyungsuk piece has 132 Nonghyun which is light one() and strong one with Tweseong(), on the other hand, Choi Taehyun piece has 253 Nonghyun which is light one() and strong one(). Sixth, Chu․Tweseong is notated differently by recorder. Kang Deokwon/Yang Gyungsuk piece has , , Choi Taehyun piece has , for this. The way of Choi can notate exact pitch of tune and rhythm, and it actually has more various rhythm and pitch than Kang Deokwon/Yang Gyungsuk piece. Seventh, about Koekneuneum, advent key and note can be notated differently by recorder. Kang Deokwon/Yang Gyungsuk piece has Koekneuneum on D note of Pyungjo and Gyemyeonjo by , Choi Taehyun piece has Koekneuneum on B note of Ujo, and D note, G note of Gyemyeonjo by appoggiatura. Eighth, about other Sigimsae, both pieces have aspirated note and Noniropyo as their Sigimsae except for Nonghyun, Chu․Tweseoung, Koekneuneum. Kang Deokwon/Yang Gyungsuk used mark (c) for aspirated note and () for Noniropyo. Choi Taehyun notated aspirated note as pitch and did not notate for Noniropyo. Ninth, about fingering, the type and number is different by recorders. Kang Deokwon/Yang Gyungsuk piece has four kinds of mark for fingering by figure in Chinese characters, and Choi Taehyun piece has thirteen kinds of mark by Korean consonant. And Choi Taehyun piece has more notation for fingering. Tenth, about notation for bowing, the type of notation and direction of bowing can be notated differently by recorder. Kang Deokwon/Yang Gyungsuk piece has mark of , , and Choi Taehyun piece has mark of →, ←,⇢⇢ , ⇠⇠. Choi Taehyun piece has more divided direction of bowing than Kang Deokwon/Yang Gyungsuk piece. Above result will be the reference for every efforts to make score for Haegumsanjo, and furthermore it can be a chance to consider of unification and systemicity for notation of Haegumsanjo hopeful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