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2 Download: 0

인물 얼굴의 나이 판단에서 아기도식 속성 순응의 잔여효과

Title
인물 얼굴의 나이 판단에서 아기도식 속성 순응의 잔여효과
Other Titles
Adaptation to Baby Schema Features and the Perception of Facial Age
Authors
이예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호
Abstract
얼굴 순응 잔여효과(face adaptation aftereffect)는 특정 얼굴 자극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순응된 후 제시되는 얼굴 자극이 앞선 순응 자극과 반대 방향의 속성을 갖고 있는 것처럼 지각되는 현상이다. 선행연구는 성인 연령대(20~70세) 얼굴을 실험 자극으로 사용하여 얼굴 나이 순응 잔여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또한 최근의 순응 잔여효과 연구들은 성별, 정서 등의 얼굴 속성에 대한 지각이 다른 범주 대상들(신체나 사물)에 대한 순응에 의해 영향을 받는 순응 효과의 범주 간 전이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귀여움이라는 속성에서 구별되는 두 연령대(아기와 성인)의 인물 자극을 이용하여 귀여움 지각을 유발하는 아기 속성들의 집합인 아기도식이 나이 지각 처리에 기여하는지 살펴보고, 아기도식 속성을 담고 있는 다양한 신체 정보들이 공유된 메커니즘을 통해 나이 지각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아기와 성인 간의 얼굴 나이 순응 잔여효과를 검증하여, 동일한 상위 표상에 속한 여러 범주의 시각적 속성들이 공통의 신경생리학적 기제에 의해 표상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실험 2에서는 각 연령대 인물의 신체 이미지에 대한 순응이 얼굴 나이 지각에서 순응 잔여효과를 유발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1에서 참가자들은 아기 얼굴 혹은 성인 얼굴에 순응된 후 아기와 성인의 얼굴이 일정한 비율로 합성(morphing)된 얼굴 자극에 대해 “아기”로 지각되는지 혹은 “성인”으로 지각되는지 판단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아기 얼굴 순응 조건보다 성인 얼굴 순응 조건에서 합성 자극을 아기로 지각하는 비율이 더 우세한, 나이 순응 잔여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2A와 2B에서는 각각 아기와 성인의 신체 실루엣과 손 이미지를 순응 자극으로 사용하여 실험 1과 동일한 나이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신체 실루엣과 손에 대한 순응은 순응 자극과 같은 방향의 잔여효과(assimilative aftereffect)를 유발했거나, 순응 후에 제시되는 얼굴에 대한 나이 지각을 편향시키지 않았다. 즉, 나이 순응 잔여효과의 범주 간 전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1) 성인 연령대의 얼굴 자극만을 사용한 선행 연구와 달리, 아기-성인 간 얼굴 나이 순응 잔여효과를 확인하여, 아기와 성인 얼굴의 나이 속성이 지각적 얼굴 공간(face space) 상에서 대조적인 방향으로 부호화됨을 보여준다. (2) 귀여움을 유발하는 아기의 신체적 속성들(신체 대비 머리 크기, 손 등)에 대한 순응이 얼굴 나이 판단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여, 아기 도식의 신체와 얼굴 속성이 공통적 기제에 의해 나이 지각에 기여한다는 가설에 의문점이 제기된다. ;Adaptation aftereffect has been used as a tool to infer neuron populations that engage in face perception.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facial age adaptation aftereffect using adult images(range: 20-70 years old). Also, recent studies have examined cross-category adaptation aftereffect in facial attributes such as gender and emotion, and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visual attributes of the various categories belonging to a same higher concept are represented by a same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baby scehma, a set of baby attributes that cause cuteness perception, contributes to age perception using the baby and adult stimuli distinguished by the attributes of cuteness. Also we investigated that various body information containing baby schema properties affects age perception through shared mechanism. In Experiment 1, we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visual attributes of various categories belonging to a same high-level representation could be represented by a common neurophysiological mechanism by observing the facial age aftereffect between baby and adult. In Experiment 2, we examined whether adaptation to the body images of each age group causes adaptation aftereffect in facial age perception.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termine whether the test faces that morphed at a certain ratio of the face of baby and adult were perceived as "baby" or "adult" after being adapted. The result of Experiment 1 showed that after being adapted to baby faces, test faces generated by morphing from baby to adult faces, appeared to be adult. On the other hand, after being adapted to adult faces, test faces were more seemed to be baby. So, facial age aftereffect between baby and adult was confirmed. In Experiments 2A and 2B, the same age determination tasks were conducted as in Experiment 1 using baby and adult body silhouettes and hand images as the adaptation stimuli,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e perception did not change or biased in the direction of assimilative aftereffect after adapted to body silhouette and hand respectively. In other word, there was no cross-category age aftereff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a contrastive bias in the perception of facial cuteness in test faces as a function of adaptor facial age, suggesting that facial features of baby and adult are coded in a opposite direction in face space. (2) The hypothesis that the body and face features of the baby schema are processed by a common mechanism wasn’t confirmed, because adaptation to the baby's various physical features (face, body size versus body size, hand, etc.) did not bias the facial age judg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