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9 Download: 0

성인애착,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에 따른 관계중독 성향의 차이

Title
성인애착,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에 따른 관계중독 성향의 차이
Other Titles
The Difference between Relationship addiction trait Depending on Attachment, Abandonment schema, and Self-concept clarity : Application of Latent Profile Analysis
Authors
박소정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인간은 누구나 의미 있는 관계 맺기를 추구한다. 특히 성인진입기에는 연인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부적응적이며 미성숙한 연인관계 양상 중 하나인 관계중독을 경험할 경우 개인의 심리적 안녕과 건강한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 사회적 관계의 형성과 발전에는 타인에 대한 인식 및 관계에 대한 표상인 애착과 유기도식, 그리고 자기에 대한 핵심적 도식인 자기개념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인의 고유한 내적 특성이자 관계중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이 세 변인들은 상호적 영향으로 인하여 통합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자신에 대한 이해는 개인차를 고려한 개입과 치료적 접근에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애착, 유기도식, 자기개념을 통합한 자기(self) 구조에 존재할 수 있는 여러 잠재 프로파일 유형들을 파악해 보고 하위 유형별로 관계중독 양상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 자기구조 하위 유형에 따른 관계중독의 정도에서 차이가 존재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성인진입기 만 18-25세 대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 관계중독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변인들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후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자기구조의 프로파일 유형을 파악하고, 분산분석을 통해 자기구조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관계중독에 차이가 있는지와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남자 집단의 경우, 자기개념 명확성, 관계중독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 집단의 경우 애착불안, 애착회피, 유기도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제 상태에 따라 관계중독 양상에 차이가 발견되었다. 남성의 경우 교제 중인 집단의 사랑중독 수준이 낮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교제 중인 집단의 사람중독과 전체 관계중독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녀 집단 모두 애착불안, 애착회피,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 관계중독 간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관련성의 정도에서 약간의 성차를 보이는 변인들이 존재하였다. 셋째,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자기구조 하위요인에 따라 몇 개의 잠재 프로파일이 존재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구조 안정형, 혼재형, 불안정형의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특성을 살펴보면 모든 하위요인에서 안정적으로 나타난 자기구조 안정형과 대조적으로 혼재형은 애착회피 수준은 높으나, 애착불안,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이 평균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기구조 불안정형은 자기구조가 가장 부적응적인 집단으로 애착불안, 애착회피, 유기도식 수준이 모두 높고 자기개념 명확성은 낮았다. 넷째, 자기구조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관계중독 및 관계중독의 하위요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자기구조 불안정형, 혼재형, 안정형의 순서로 관계중독 및 하위요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남녀 집단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 자기구조 불안정형은 남성의 경우 관계중독의 하위요인에서 사랑중독과 성중독 성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며, 여성의 경우 사람중독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관계중독 수준에서의 성차를 확인했다. 본 연구는 개인 내에서 애착불안, 애착회피,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 수준의 양상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어떠한 방식으로 유형화되는지 검증하였으며, 자기구조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관계중독의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개인 내의 다양한 심리내적 특성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파악하고 성차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남성과 여성은 교제 상태에 따라 관계중독의 수준 및 양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동일한 자기구조 프로파일 유형을 가졌다고 하더라도 관계중독의 하위 유형에서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성별 및 자기구조 유형에 따라 관계중독에 대한 치료적 개입 계획을 세우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self-construction profiles of emerging adulthood and examin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lationship addiction according to types of drawn profiles and gender. 491 undergraduate students from several universitie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s. For the collected dat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also analyzed latent profile, in order to draw self-construction latent groups of attachment, abandonment schema, and self-concept clarity. And then compared differences in relationship addiction according to drawn profiles and gender.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x differences appeared in the main variables. Self-concept clari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level were high in male group, on the other hand,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bandonment schema, and depression level were higher in female group.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relationship addiction pattern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were dating. For males, the level of love-addiction was low in the group with whom they were in love, while women showed high level of person-addiction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the group with when they were in lov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bandonment schema, self-concept clarity, relationship addiction, and depression in both group, and there were some gender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relevance. Third, a latent profile analysis to draw the self-construction latent profiles of attachment, abandonment schema, and self-concept clarity that influence emerging adulthood’s relationship addiction, and depression was conducted. And then 3 profiles of self-construction, such as ‘self-construction stable type’, ‘self-construction mixed type’, ‘self-construction unstable type’ were drawn. Self-construction stable type is a group with low level of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bandonment schema, and high level of self-concept clarity. And it is the most healthy group. Self-construction mixed type showed the average level of attachment anxiety, abandonment schema, self-concept clarity, and high level of attachment avoidance. Self-construction unstable type was the most maladaptive group with high level of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bandonment schema, and low level of self-concept clarity. Four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ddiction between such group profiles. Levels of relationship addiction is highest in the latent profile with self-construction unstable type, whereas it is lowest in the latent group with self-construction stable type. As a result of dividing the male and female groups, self-construction unstable type is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love-addiction and sex-addiction in male group. In self-construction mixed type men, the tendency of person-addiction was rel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women showed a tendency to person-addiction in the latent profile with self-construction unstable type. Results suggests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lationship addic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self-construction type and gender. And also revealed that individuals with healthy self-construction type form positive relationship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s the interactions of various psycho-intrinsic characteristics in the individual at the same time and confirms the sex difference. Thi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s for establishing a therapeutic intervention plan for relationship addiction according to gender and type of self-construction. In conclusion, there are discussions and the significance i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a follow-up research are pres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