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41 Download: 0

국내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별 우울, 차별, 사회적 지지

Title
국내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별 우울, 차별, 사회적 지지
Other Titles
Depression, discriminatio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of immigrant worker in Korea
Authors
안가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별 우울수준, 차별지각, 사회적 지지의 지각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국내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정신건강, 차별지각에 대한 연구는 확인된 바 없으며, 기존의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응을 단순히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것으로 보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김현경, 2009; 박근수, 송병국,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고국문화와 한국문화라는 두 가지 독립적인 문화가 이주노동자의 우울, 차별지각, 사회적지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천과 대구, 경산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 9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일상적 차별감척도(Everyday and major Discrimination question), 우울 척도(CES-D), 사회적지지 척도(Assistance from neighborhood), 문화적응 척도(Acculturation)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Berry & Kim(1988)가 제시한 네 가지 문화유형 중 세 가지 유형(주변화, 통합, 분리)은 나타났으나, 동화 유형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군집분석으로 나타난 세 개의 문화유형(주변화, 통합, 분리)에 따라 이주노동자의 연령, 학력, 한국체류기간, 한국어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군집별로 학력이나 한국체류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령과 한국어 수준에서는 군집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주변화 군집의 연령이 분리와 통합 유형의 군집의 연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통합 군집의 한국어 실력이 분리 군집의 한국어 실력보다 높았으며 주변화 군집의 한국어 실력이 분리 군집보다 높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세 개의 군집(주변화, 통합, 분리)별로 차별, 사회적 지지, 우울을 경험하는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주변화 군집은 분리와 통합 군집에 비해 우울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주변화 군집은 통합 군집에 비해 차별 지각이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지지 수준에서 문화적응 유형별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 현황에 대해 탐색한 연구이며, 국내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별 차별지각, 사회적지지 지각, 우울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주변화 유형은 통합 유형에 비해 우울 수준이 높고,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차별을 지각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주노동자가 문화에 잘 적응한다는 것은 이주 노동자가 한국 문화에 일방적으로 동화되는 것이 아니며, 고국인과의 관계에만 치중하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주노동자가 고국문화를 유지하면서 한국 문화를 수용한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한국 사회에서 스트레스 상황을 이겨나가는 데 더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앞으로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을 위한 정책에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사회적 시사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한국사회 내 심리사회 적응과 정신건강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육을 마련하는 데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depression, discrimination, assistance from other people according to acculturation strategies, which among immigrant workers in Korea. Because there are no research about depression, discrimination according to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few studies in social support for immigrant worker consider acculturation as Unidimensional(김현경, 2009 ; 박근수, & 송병국. 2015). There were 91 immigrant workers investigated in the study by using Everyday and major Discrimination question, CES-D, Assistance from neighborhood, Acculturat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on strategies among immigrant worker in Korea were identified as 3 types. There are integration(high on both), separation (low acculturation and high enculturation), and marginalization(low on both), and there are not assimilation(high acculturation and low enculturation). Secondly, whil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evel of education, and period of staying in Korea,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and korean level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were confirmed. In detail, in terms of age , marginalization group are larger than separation and integration group. In terms of korean level, marginalization group are larger than Integration group. In period of stayinh in Korea, marginalization and integration group are larger than separation group. let’s take a look at the distributions of cultural adaptation types, the type of integration reaches 38% of the whole, and then followed by marginalization type, it occupies 29.6%. The other two types are the assimilation type and the separation type. They take up 18.9%, and 13.5% respectively.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rveyed at the immigration center, the type of marginalization reaches 41% and only 27% in the integration group. Surveyed at the heritage community, the type of integration reaches 60% and only 14% in the integration group. Finall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scrimination, depression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were confirmed. In terms of depression, marginalization group are larger than seperation integration group. n terms of discrimination, marginalization group are larger than Integration group. In assistance from other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hat characteristics of acculturation among immigrant workers in Korea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Unilaterally assimilating korean culture does not mean adapting korea society. In addition, maintaining heritage culture also makes immigrant workers feel a sense of alienation. If immigrant workers both maintain heritage culture and accept Korea culture, immigrant workers could actively cope with stress that they experience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