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7 Download: 0

사회위험수준 인식이 노인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영향

Title
사회위험수준 인식이 노인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cial risk level perception on stigmatization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Authors
조수현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순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위험수준 인식이 노인에 대한 낙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위험수준 인식과 노인 낙인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노인에 대한 낙인에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해 낙인의 대상인 노년세대가 아닌 청년과 중년세대에 주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는 불안정한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청년과 중년세대의 노인에 대한 낙인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연구 목적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 재원으로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SSK)에서 2017년 3월부터 4월까지 실시한「2017 연령통합 설문조사」의 조사도구 및 결과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15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8~44세의 청년층 301명과 45~64세의 중년층 357명으로서 총 658명이다. 분석결과 첫째, 청년집단과 중년집단 모두 노인에 대한 낙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연령집단 모두 사회위험수준 인식은 노인에 대한 낙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를 취약하게 인식할수록 노인에 대한 낙인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연령집단 모두에게서 사회위험수준 인식과 노인에 대한 낙인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사회위험수준 인식의 확산으로 인한 낙인의 심화를 예방하는데 사회적 관계망의 중요성이 확인됨에 따라 추후 청년 및 중년세대의 사회적 관계망의 강화가 필요함이 시사된다. 특히 청년집단과 중년집단의 세대 간 고유한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 방안 모색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갈수록 고령화되는 한국 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낙인을 완화하고 세대통합을 지향하기 위해 노인에 대한 낙인의 주체인 청년과 중년집단에 주목할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에 대한 낙인 감소와 세대 간 갈등을 완화하고 연령통합적 사회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risk perception on stigmatization of the elderly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ocial net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isk level perception and elderly stigmatization. In order to intervene effectively in stigmatizing the elderly, research was carried out focusing on young people and middle-aged generations who are not elderly generations. This is due to the research purpose of reducing stigmatization of young and middle-aged elderly living in unstable society. To do this, the study used the research tools and results of the "2017 Ages Integr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Social Research Foundation (SSK) from March to April 2017.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58 people, including 301 young people aged between 18 and 44 and 357 middle-aged people aged 45 to 64, who live in 15 provinces nationwide. First, both young and middle - aged group showed high level of stigmatization of the elderly. Second, the recognition of social risk level in both age group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tigmatization of the elderly. Third, the adjustment effect of social network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social risk level and stigmatization of the elderly in both age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strengthening the social networks of young people and middle - aged people is necessary as the importance of social networks is confirmed in preventing intensification of stigma caused by the spread of social risk level awarenes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necessity of finding an individual plan consider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roup and the middle age group,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order to alleviate the stigmatization of the elderly and to integrate the generations in the aging society. Again confirming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youth and middle-aged popul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reduce the stigmatization of the elderly and to reduce the conflict between the generations and to implement a practical plan for the age - integrated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