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청년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대한 영향요인분석

Title
청년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대한 영향요인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precarious work in young adult disabled wage workers : Focusing on job characteristics and human capital
Authors
한수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윤
Abstract
본 연구는 청년 장애인의 불안정 노동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자리특성과 인적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청년 장애인의 불안정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2016년 장애인 고용패널조사(2차웨이브 1차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만19세~만39세의 청년 장애인 임금 근로자 684명이다. 연구설계에서 종속변수는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의 기준에 모두 해당되는 불안정 노동이다. 독립변수는 일자리 특성(직종, 사업체 규모, 노동조합 유무)과 인적자본 특성(학력, 자격증 유무, 근속기간)이며,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장애유형, 장애정도)은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불안정 특성을 살펴보면, 전체 청년 장애인 임금근로자 중 임금 불안정에 해당하는 비율은 23.2%, 고용 불안정에 해당하는 비율은 49.1%, 사회보험 불안정에 해당하는 비율은 27.3%로 나타났고,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에 모두 해당하는 불안정 노동자의 비율은 13.2%로 나타났다. 둘째, 불안정한 노동집단과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장애유형, 장애정도), 일자리 특성(직종, 사업체 규모, 노동조합 유무), 인적자본 특성(학력, 자격증 유무, 근속기간) 모두 불안정한 노동집단과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종, 사업체 규모, 자격증 유무, 근속기간, 성별, 장애유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자리 특성 중 서비스·판매·단순노무직, 5인 미만의 사업체의 청년 장애인 근로자가 불안정 노동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다섯째, 인적자본 특성 중 자격증을 보유하지 않을 경우 청년 장애인 근로자가 불안정 노동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근속기간은 불안정 노동과 부적관계를 형성하며, 근속기간이 증가할수록 불안정 노동에 속할 확률이 감소했다. 여섯째, 개인적 특성 중 여성과 정신적 장애인(지적장애, 자폐성(발달)장애, 정신장애)이 불안정 노동에 속할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노동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 서비스·판매·단순노무직과 5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청년 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일자리 창출이 대규모 사업체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청년장애인의 고등교육을 지원하기보다 산업변화에 따른 새로운 직업을 개발하고 장애인 고용공단 산하의 공공, 민간훈련기관과 직업능력개발원에서 이에 맞춘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청년 장애인 근로자가 직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성에 부합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매칭하고, 근속기간이 짧은 직종과 소규모 사업체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청년 여성, 정신적 장애인에 대한 개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여성과 정신적 장애인의 경우 취업률도 낮고, 취업을 불안정 노동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공공부문과 사회적 기업의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장애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청년 장애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청년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장애인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연구와 달리 불안정 노동을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으로 구성하였고, 이들 조합으로 구성된 불안정 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4차 산업혁명으로 장애인 노동시장은 더욱 불안정 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변화에 가장 취약한 세대는 청년 세대 일 것이다. 따라서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은 시의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과 이에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불안정 노동을 개선하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장애인 근로자는 청년의 특성과 장애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으므로 비장애 청년과 중장년층, 노년층의 장애인과의 비교가 필요하나, 본 연구에서는 청년 장애인 근로자만을 연구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장애 및 비장애 청년, 중장년층 및 노년층 장애인과의 비교를 통해 청년 장애인의 특성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년 장애인 근로자를 불안정한 노동자와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자로 이분화하여 불안정 노동을 분석한다. 그러나 임금 불안정, 고용 불안정, 사회보험 불안정의 조합에 따라 불안정 수준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불안정 노동의 수준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불안정하지 않은 노동집단으로 분류된 근로자라도 이들의 노동이 모두 안정적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없다. 셋째, 연구결과에서 청년 장애인 근로자의 불안정 노동에 인적자본 특성보다 일자리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인적자본 특성인 학력, 자격증 유무, 근속기간의 편차가 크지 않아 인적자본 특성의 영향력이 일자리 특성보다 적게 나타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carious work of young adult disabled people, focusing on job characteristics and human capital,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recarious work of young adult disabled people. The study conducts by utilizing the raw-data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2nd Wave 1th) in 2016 and 684 young adult disabled wage workers aged 19 to 39 were surveyed. In research design,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precarious work that meets all criteria for wage instability, employment instability, and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job characteristics (type of occupation, size of enterprises, labor union) and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certificat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age, disability type, disability level). SPSS 18.0 was used as a tool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d test, t-test,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n the prec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23.2% of the total young adult disabled wage workers are in wage instability, 49.1% of those who are in employment instability, and 27.3 percent of those who are in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unstable and non-unstable group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stable and non-unstable group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age, disability type, disability level), job characteristics (type of occupation, size of enterprises, labor union),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certificat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Third,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carious work of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showed that type of occupation, size of enterprises, certificat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sex, and disability types affected. Fourth,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in enterprises with less than five employees and service and sales, elementary job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precarious work. Fifth, I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apital if they do not have a certificate,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are more likely to be in precarious work. Also, Th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hav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precarious work, and as th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precarious work declined. Sixth,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men and the mentally disabled(intellectual disability, autism, mental disorder)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precarious work.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recarious working conditions of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are as follows: First, policy support is needed for young disabled workers who work in small workplaces with less than five employees and services, sales, and elementary job which are shown to be vulnerable to precarious work. And also, job creation should be expanded to larger businesses. Second, rather than supporting the higher education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new jobs should be developed as a result of industrial change a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llowing industrial changes at public and private training institutions and vocational ability development institutes. Also, It should seek ways to match jobs that can suit the aptitude of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to maintain jobs, and to provide job security for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in services, sales and elementrary jobs, small-business. Third, individual support for young adult women and mentally disabled is needed. Women and the mentally disabled need to create jobs in the public sector and social enterprises for low employment rates and the high possibility of precarious work.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an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young adult disabled people by conducting study on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in the face of lack of study on young adult disabled people. Second, unlike the existing studies on instability in the disabled labor market, that precarious work multi-dimensionally consisted of wage instability, job instability and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is significant. Thir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expected to further destabilize the disabled labor market, and the generation most vulnerable to this change will be the younger generation. Therefore, it is timely to study precarious work for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Fourth, it is meaningful that the precarious work of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and affecting factors can be analyzed empirically for improving precarious work.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have both characteristics of youth and disability, so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m with youth without disabilities, the disabled middle aged, disabled elderly. therefore,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adult disabled people by comparing them with youth without disabilities, the disabled middle aged, disabled elderly. Second, this study analyzes precarious work by dividing young adult disabled workers into unstable and non-unstable workers. however, the level of instability can vary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wage instability, job instability and social insurance instability.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the level of precarious work can not be varied. In addition, even workers classified as non-stable work groups can not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ir work is all st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