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지-
dc.contributor.author장유련-
dc.creator장유련-
dc.date.accessioned2019-02-18T16:30:39Z-
dc.date.available2019-02-18T16:30:39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otherOAK-0000001533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336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8540-
dc.description.abstractThis research highlights the negligence that young Korean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received in the academic field despite various problems they face in their daily lives living alone. Young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are considered as a group particularly vulnerable to crime because they are women living alon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volves around young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concern about safety and whether their perception of safety i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Since perception of personal safety for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is generally negative, this research proposes that their life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through positive perception of community’s safety. In the analyses, this study found that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significantly low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people living with others. Also,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significantly more negative perception of safety, even compared to other women. Moreover, it was foun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positive perception of safety is associated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For male single-person households, positive perception of personal safety is associated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In contrast,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positive perception of community’s safety is associated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while perception of personal safety has no significant relation. For female multi-person households, “informal social control”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lthough this variable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life satisfaction. The meaning of these results and what kind of rights and policy improvements are needed for young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are discussed. ;1인가구라는 용어는 한 유형의 집단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수준의 삶을 살아가는 다양한 형태의 집단을 가리킨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젊은 여성 1인가구와 그들의 삶의 만족도에 주목 한다. 국내의 젊은 여성 1인가구들은 스스로에 대해 많은 근심걱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 그리고 이중 중요한 것이 안전문제에 관한 우려라는 사실을 다루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최근까지의 질적 연구들에 따르면, 젊은 여성 1인가구는 범죄의 희생이 될지 모른다는 두려움 속에서 일상적으로 살아가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그들은 1인가구 상태가 쉽게 범죄의 표적이 될 수도 있다는 두려움으로 인해 자신이 홀로 살아간다는 사실을 공개하지 않으려 한다. 하지만 이런 사실을 숨기는 경향은 사회로부터의 소외 같은 심각한 문제를 낳기도 한다. 젊은 여성 1인가구들이 느끼는 범죄와 안전에 대한 우려는 정신건강은 물론 생활에 제약을 가하는 억압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젊은 여성 1인가구들의 경험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명하겠는데, 그들을 젊은 남성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젊은 여성과 비교하여 여성 1인가구의 취약성에 대해 더욱 이해하려 한다. 연구 결과, 동일 연령대의 다인가구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젊은 1인 가구들은 삶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았고 다른 젠더와 가구에 비해 젊은 여성 1인 가구들은 안전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안전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여성 1인가구의 경우 개인의 안전인식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커뮤니티 안전 인식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커뮤니티 안전 인식 변수 중 비공식적 사회 통제(informal social control) 만이 삶의 만족도와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 성 1인가구의 경우 여성 1인가구와 다르게 개인의 안전 인식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지만 커뮤니티 안전 인식은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인가구 여성의 회귀분석 결과는 여성 1인가구와 비슷했다. 다만 여성 1인가구와 다르게 비공식적 사회 통제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여성 1인 가구의 삶에서 커뮤니티 안전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결론 지으며, 이러한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것이 개선되어야 할지 제시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II. LITERATURE REVIEW 3 A. Young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3 1. Terminology of Single-Person Households 3 2.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4 3. Status of Young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5 4. Past Research on Single-Person Households 7 B. Subjective Quality of Life 15 1. Subjective Well-Being 17 C. Perception of Safety 24 1. Safety and Perception of Safety 24 2.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nd Quality of Life 29 3. Gendered Victimization 32 4. The Meaning of Safety for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37 D. Research Question and Hypothesis 41 III. RESEARCH METHODS 43 A. Explanation of Data 43 B. Dependent Variable: Life Satisfaction 46 C. Independent Variables 47 1. Socio-Demographic Variables 47 2. Perception of Personal Safety 49 3. Perception of Community Safety 52 D. Analytic Strategy 55 1. T-Test 55 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57 IV. RESULT 61 A. T-Test 61 1. Gender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61 2. Household Typ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62 3. Gender Difference of Main Independent Variables 62 4. Household Difference of Main Independent Variables 67 B.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71 1.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Life Satisfaction Regressed 71 2. Male Single-Person Households Life Satisfaction Regressed 76 3. Female Multi-Person Households Life Satisfaction Regressed 79 V. DISCUSSION 82 A. Summary of Main Findings 82 B. Implication of Main Findings 87 1. Negative Perception of Safety for Female SPH 87 2. Crime Vulnerability Affects Life Satisfaction of Only Male SPH 88 3. Communitys Safety Affects Life Satisfaction of Female SPH 91 C.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Results 93 D. Limitations of Research 95 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97 VI. REFERENCE 98 Appendix 114 Abstract in Korean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0921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Perception of Community’s Safe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젊은 여성 1인가구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삶의 만족도-
dc.creator.othernameYu-Ryun Jang-
dc.format.pagevii, 11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