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사회과학분야 연구자의 기관 리포지터리 인식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사회과학분야 연구자의 기관 리포지터리 인식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ctivation Plan on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in Social Scientists
Authors
고정원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동열
Abstract
기관 리포지터리는 오픈 액세스 환경의 영향을 받아 출현한 시스템으로 학술정보 유통의 자율적 환경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연구소의 기관 리포지터리에 대한 참여 및 운영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연구소의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의 기관 리포지터리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기관 리포지터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국·내외 기관 리포지터리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관의 리포지터리 운영 여부에 따라 연구자들의 인식이 다르고, 연구경력 및 학술자료 생산량에 따라 기관 리포지터리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연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사회과학 연구자를 대상으로 기관 리포지터리 운영 기관과 비운영 기관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설문대상은 할당표집으로 기관 리포지터리를 운영 중인 기관에서 90명, 비운영 기관에서 182명을 추출하여, 총 272명이 배정되었다. 그러나 협조가 어려운 기관 등의 이유로 배포된 설문은 총 244부였고 이 중 회수된 설문은 152부(62.3%)였으며, 최종 통계 분석은 운영 기관에서 39부, 비운영 기관에서 101부로 총 140부이다. 이 자료는 PC용 SPSS 23.0 버전을 이용하여 기초통계를 조사하고 t검증을 실시하였다. 사회과학 연구자들의 기관 리포지터리 인식조사에 대한 결과 및 기관 리포지터리 활성화 방안을 기관 리포지터리 서비스 측면과 기능적 측면, 그리고 정책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기관 리포지터리 서비스 측면에서는 기관 리포지터리 홍보 및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총 140명의 연구자 중 95명(67.86%)이 리포지터리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기관 리포지터리를 운영 중인 기관의 연구자 39명 중 20명(51.28%)은 기관에서 운영 중인 리포지터리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서비스 측면에서 기관 리포지터리 담당부서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리포지터리 사이트에 대해 적극적으로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담당부서는 홍보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에게 리포지터리 사용에 대한 교육도 함께 진행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 측면에서 강조할 또 다른 요소는 콘텐츠 강화이다. 기관 리포지터리 이점에 대한 조사에서 연구자들은 리포지터리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는 기관 대표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와는 차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기관 리포지터리에 등록할 콘텐츠의 종류에 대한 조사에서 발표 전 학술논문(pre-print)은 리포지터리 운영 기관에서는 2.56%, 비운영 기관에서는 10.89%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국외 기관 리포지터리 사이트에서는 발표 전 학술논문(pre-print)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자료, 포스터, 사진, 강의 동영상 등 비정형 자료들을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었다. 따라서 담당부서에서는 기관 대표 홈페이지와의 차별성을 생각하여 발표 전 학술논문(pre-print) 및 비정형 자료들도 수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자 맞춤형 서비스도 강화해야 한다. 연구경력에 따라 학술자료 무료공개 및 개인의 연구 성향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 집단을 연구경력 하위 25% 연구자 그룹과 연구경력 상위 75% 연구자 그룹으로 나눴고, 두 집단을 구분하는 기준점은 연구경력 3.5년 미만이다. t검증 결과, 학술자료 무료공개 중, ‘학술자료 공개에 대한 책임감’ 부분에서 p<.1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연구경력이 많을수록 학술자료 공개에 대해 책임감을 더 느끼고 있었다. 다음으로 학술자료 생산량에 따라 학술자료 무료공개 및 개인의 연구 성향과의 연관성 분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자 집단을 학술자료 생산량 하위 25% 연구자 그룹과 학술자료 생산량 상위 75% 연구자 그룹으로 나눴고, 두 집단을 구분하는 기준점은 학술자료 생산량 1편이다. t검증 결과, 학술자료 무료공개 중, ‘동료들의 연구자료 공유 성향’ 부분에서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학술자료 생산량이 많은 연구자일수록 동료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자료를 더 활발하게 공유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담당부서는 기관 리포지터리 활성화를 위해 연구경력이 많고 학술자료 생산량이 많은 연구자를 중심으로 기관 리포지터리 핵심세력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학술자료 생산량에 따라 개인의 연구 성향과의 연관성 분석에 대한 t검증 결과, 학술자료 생산량이 많은 연구자일수록 ‘최신 연구이론 또는 실험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항목 역시 p<.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담당부서는 학술자료 생산량이 많은 연구자에게 연구에 도움이 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기관 리포지터리 기능적 측면에서 연구자들의 기관 리포지터리 참여 유도를 위해 연구성과지표인 Altmetrics와 같은 인용정보 제공 및 가시적인 통계 기능 제공, 해외 저명 학술지 관련 자료 제공, 연관 논문 추천 기능 제공, 타 기관 리포지터리와의 연계 기능 및 연구자 페이지 기능을 강화해야한다. 마지막으로 기관 리포지터리 정책적 측면에서는 저작물 이용 허락 표시 제공 및 저작권 정책 등 정책과 관련된 내용을 강화해야 한다. 국내 기관 리포지터리 사이트는 연구성과물 수집, 이용, 보존 등 정책과 관련된 내용을 사이트에서 찾아보기 어려웠다. 반면 국외 기관 리포지터리는 정책과 관련된 내용들을 사이트 상단 도움말 부분이나 사이트 하단에서 안내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관 리포지터리 담당부서에서는 정책에 대한 상세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이를 사이트에 공지할 필요가 있다. 학술자료 무료공개 시 우려요인 부분에서 t검증 결과 p<.05수준에서 기관 리포지터리 운영 기관과 비운영 기관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우려요인 중 ‘표절’부분에서 기관 리포지터리 비운영 기관의 연구자들은 운영 기관 연구자들에 비해 표절을 더 우려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관 리포지터리에서 서비스되는 각 자료에 공공누리유형 또는 CCL을 명시하여 표절 문제와 저작권 문제에 대해 우려를 불식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기관 리포지터리 담당부서에서는 모든 자료에 DOI를 부여하여 서비스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연구소들의 기관 리포지터리 구축 및 운영은 아직 활발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는 기관 리포지터리를 운영 중인 기관과 비운영 기관에서 리포지터리 개선 또는 구축에 필요한 참고할 만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Institutional Repository (IR) has been introduced from the open-access resources and promoted scholarly work to be easily available in academic areas. However,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which belongs to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and is underused or inactiv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ctivation plans of an institutional repository through a perception survey among researchers who work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ith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current circumstance of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were investigated. Since it was considered to have a difference depending on 1) whether researchers ever used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2) the length of time that they have been involved in research 3) the number of papers they have published, researchers were targeted for the population of the perception survey.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 total number of 272 researchers was selected from the institutes where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was operated (90) and not operated (182). A total number of 244 copies were distributed, 152 (62.3%) copies were collected, and 140 copies (operated 39 and not operated 101). were analyzed eventuall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 result of the survey and the activation plan of institutional repository among social sciences researchers were discussed in aspects of operation, function, and policy. In terms of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publicity as well as education for researchers to promote the usage of an institutional repository. Out of 140 sampled researchers, 95 (67.86%) did not know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Surprisingly, more than half (51.28%) of the researchers whose research institute has the accessibility to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were not even aware of it. Therefore, institutional repository staff should advertise their website and educate researchers on how to use the websit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vided to researchers. From the survey, researchers wanted to have new information from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which is not overlapped from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main website of the research institute. Notably, pre-print publication was the least requested content from both institutes where institutional repository was operated (2.56%) and not operated (10.89%). In foreign countries, various materials such as multimedia, posters, photographs, and videos were offered on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websites in addition to the pre-print publication. Consequently, institutional repository staff is required to collect and provide diverse contents on their website to differentiate from the main website of the research institute. Also, a new service which is customized to researchers is preferr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d of research experience and openness of scholarly work was examined by t-test. Researc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research experience of less than 3.5 years, one group below 25% and another group above 75%. The time period of research experie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sponsibility of opening their scholarly content to the public (p<.1). This indicated that more experienced researchers are likely to have greater responsibilities for opening scholarly works. A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ublications and openness of scholarly work was also determined using t-test. The amounts of publications divided researchers into two groups, one below 25% and another above 75%, was a single paper. Substantially,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tendency of sharing scholarly material with their coworkers (p<.05). This implied that researchers who have a large number of publications are more likely to share their scholarly work to colleagues. Consequently, institutional repository staff should target and nurture researchers who have either long periods of research experience or large amounts of publications to activate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A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ublications and individual traits of researchers was investigated using t-test. As a result, the researchers who have published a large number of papers are more expected to apply the latest research theories and methodologies (p<.1). Thus, institutional repository staff should offer personalized services which are helpful to researchers generating large numbers of publications. In terms of function, a variety of personalized service such as citation, visualized statistics, international journals, recommended articles and individual pages for researchers on the website should be provided to encourage researchers to participate in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At last, a policy statement of institutional repository needs to be implemented for the users and researchers. Institutional repositories operated in foreign countries offered the policy statement on their website whereas those operated in Korea barely mentioned policies. Hence, institutional repository staff should develop the guidelines and post the policies on their websit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search institutes whether operating institutional repository or not in terms of concern when the scholarly material was released without charge (p<0.05). The researchers belonging to institutes without institutional repository were more worried about plagiarism than those belonging to institutes with institutional repository. For this reason, the concerns of plagiarism and copyright need to be alleviated by issuing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or creative common license (CCL) to individual material offered by institutional repository. Furthermore, institutional repository staff may assign a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to every material item.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stitutional repository owned by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re still scarce. Thu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ither establishing the repository for the research institutes in the absence of institutional repository or improving the repository for the research institutes with institutional reposito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