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朝鮮 17-18세기 觀音三尊像 硏究

Title
朝鮮 17-18세기 觀音三尊像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riad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Joseon Dynasty : The Influence of the Water Moon Avalokiteśvara Paintings of Joseon Dynasty
Authors
김민지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미
Abstract
본 논문은 觀音三尊像의 조성 배경과 의의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관음삼존상은 관음보살을 주존으로 협시가 나타나는 상이다. 관음삼존상은 협시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특성은 관음삼존상을 이해하는데 혼동을 준다. 본 논문은 관음삼존상의 협시상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나아가 관음삼존상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수월관음도상의 양상을 살핌으로써 관음삼존상과의 영향관계를 다루었다. 조선중기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전쟁으로 인한 피해와 ‘庚申大飢饉’, ‘乙丙大飢饉’과 같은 재해로 인한 질병, 기근이 이어진 상황에서 현세구복적인 관음신앙이 유행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佛頂心陀羅尼經』은 한꺼번에 천여 권을 간행할 정도로 유행하게 되며 경전의 내용과 함께 『佛頂心陀羅尼經』에 수록된 수월관음도가 대량 유통되기 시작한다. 또한 비슷한 시기〈관음보살판화〉가 제작됨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두 가지 판화에 영향을 받은 불화 수월관음도의 양상도 확인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관음삼존상은 총 7점으로 가장 이른 시기인 1655년에 제작된 법주사 원통보전에 안치된 목조관음보살좌상과 협시상, 1670년에 제작된 운흥사 목조수월관음불감, 17세기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남해 보리암 목조관음보살불감, 안양암 목조관음보살좌상, 중앙박물관소장의 목조관음보살불감, 1701년에 제작된 흥천사 목조관음보살좌상과 협시상, 석조로 제작된 금릉 덕천리 석조관음보살입상이 있다. 한국에 전하고 있는 7점의 관음삼존상은 3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관음보살을 주존으로 용왕과 동자가 협시되는 관음삼존상을 『佛頂心陀羅尼經』의 영향을 받은 Ⅰ유형으로, 위태천과 동자가 협시되는 관음삼존상을 〈관음보살판화〉의 영향을 받은 Ⅱ유형으로, 동자와 나머지 상에서 용왕과 위태천의 양식이 함께 나타나는 관음삼존상을 혼합 Ⅲ유형으로 나누었다. 이를 통해 관음삼존상은 『佛頂心陀羅尼經』에 수록된 수월관음도와 〈관음보살판화〉의 수월관음형식에 영향을 받아 2가지 유형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혼합되는 양상까지 파악하였다. 수월관음도와 관음삼존상의 영향관계를 고려하면 전해지는 7점의 관음삼존상은 조선의 수월관음상으로 기본적인 수월관음도상에 수월관음으로 부각시켜줄 인물상을 추가하여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수월관음의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관련 모티프인 대나무, 암벽의 표현을 나타내거나 관련 인물인 동자와 용왕, 위태천을 포함하여 관음삼존상을 제작한 것이다. 또한 송대부터 청대의 중국에서 제작된 관음삼존상의 형식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전해지는 관음삼존상은 대부분 용왕 또는 위태천과 동자가 협시로 나타나고 있으며 용녀가 표현된 예는 없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는 용녀와 동자 또는 용왕과 용녀 조합을 선호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의 관음삼존상이 중국의 것을 완전히 모방하지 않고 조선이 원하는 선호에 따라 선택, 제작하였음을 나타낸다. 아울러 불전에 안치되는 상부터 불감으로 제작된 관음삼존상을 폭 넓게 살펴본 결과 관음삼존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중 주목되는 것은 유희좌상으로 표현되는 관음삼존상을 시작으로 보타락가산으로 생각되는 암벽에 유희좌로 앉은 자세와 발이 생략되는 표현, 경직된 손과 그 위치, 천의의 표현이 정형화된 유사한 상들이 계속해서 제작됨을 밝혀내었다. 이는 크게 불교조각사를 구성하는 여러 관음보살상 형식 중 중국과는 구별되는 조선의 특색을 강하게 보여주는 부분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유희좌 관음보살상은 17-18세기에 발견되는 또 하나의 특별함이다. 관음삼존상은 그 시대의 역사, 경전의 발행, 판화와 불화의 유통을 담고 있는 조선시대의 소중한 사료이며 조선의 새로운 수월관음도상과 조각양식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여겨진다. 그리고 관음삼존상에서 표현되는 위태천의 도상양식은 조선시대 관음보살과 위태천의 밀접한 관계와 위태천의 비중이 커지는 과정을 실물로 보여주고 있어 의미를 가진다. ;This thesis takes a closer look at how the faith i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hat became increasingly popular after the mid-Joseon period, which consequently led to the increase in the publication of the Nilakantha Dharani (The Great Compassion Mantra) as well as the circulation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Woodblock Print,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riad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century Joseon dynasty. During the Joseon dynasty, two types of Water-Moon Avalokiteśvara paintings that differ from those of the Goryeo dynasty had been circulated. The circulation of images affected the production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riad. As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riad indicates th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 terms of its production and shows iconographies of Water-Moon Avalokiteśvara that is unique to Joseon, it is of great importance. A total of seven pieces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riad have been found in Korea. Along with Donja and the Sea God,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located in Wontongbojeon Hall of Beopjusa Temple in Boeun, is the earliest example of the kind and dated 1655. Others include the Portable Shrine of Wooden Water-Moo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of Woonheungsa Temple (1670),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and statues of Dongja and the Sea God in Heungcheonsa Temple (1701), the Portable Shrine of Woode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n NamhaeBori-am Temple, which is attributed to the seventeenth century,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n Anyang-am Temple, the Portable Shrine of Woode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currently locat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Standing Bodhisattva in Deokcheon-ri, Geum neung, which was made out of ston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sculptures had consistently been produced throughout the ages, for it was believed to be a savior who heals the sick and grants people’s wishes. In this sense, their styles and forms had been changed over tim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Unified Silla perio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was depicted as an attendant of the Sakyamuni Buddha. In the Goryeo dynasty in which the reverence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was at its highest, the iconography of the Water-Moon Avalokiteśvara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nd a number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statues as well as exquisite Water-Moon Avalokiteśvara paintings were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 new form of Water-Moon Avalokiteśvara, different from Goryeo’s counterpart, appeared in Water-Moon Avalokiteśvara paintings in Nilakantha Dharani (The Great compassion Mantra) and i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Woodblock Print. What was new is that, based on Goryeo’s Water-Moon Avalokiteśvara, iconographies of the Sea God or Skanda were additionally represented in the Joseon period. Such changes evident in the Water-Moon Avalokiteśvara images was also similarly shown in th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riad. In the aftermath of damage resulted from continuous wars such as the Japanese invasions (1592-1598) and the Qing invasion (1636-1637), as well as subsequent plagues caused by Great Gyeongsin Famine (1670-1671) and Great Eulbyeong Famine (1695-1696), faith in Avalokiteśvara Bodhisattva became popular and was regarded as a means of finding salvation. Nilakantha Dharani (The Great Compassion Mantra) became so popular that a thousand copies of the book was made all at once, an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Woodblock Print were also circul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