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9 Download: 0

최한기의 기학적 사회관 연구

Title
최한기의 기학적 사회관 연구
Other Titles
Choi Han-gi’s Chi-hak(氣學) perspective on the society : the people[民]’s status and their roles
Authors
문석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자경
Abstract
본 논문은 혜강 최한기(惠岡 崔漢綺, 1803~1877)의 사회관의 전환과 그 의의를 민(民)의 위상과 역할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민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검토함으로써 민이 유학 내에서 가진 위상을 확인한 후, 최한기의 기학적 사회관 내에서 포착되는 민의 위상과 역할의 변용에 대해 논할 것이다. ‘민본(民本)’이란 하늘[天]과 연결된 백성[民]을 근본으로 놓는 유가의 정치 이념이다. 천명(天命)을 근거로 천(天)의 의지가 곧 민의(民意)라 풀이하고, 군권(君權) 견제를 위한 사회의 이론장치로써 민은 위치하게 되었다. 선진유가부터 민본은 하나의 사상으로 정립되어 통치자[君]에게 민을 위하는 도덕성을 갖도록 요구했으며, 민의 사정(私情)과 저항성을 고려한 실질적 안민(安民) 정책들의 중요성을 인지하게끔 만든 사상이었다. 또한 민은 유가가 긍정하는 보편적 인간에 포섭될 수 있는 자들로서 성장할 수 있는 존재로도 볼 수 있었다. 최한기는 위와 같은 유가 민본의 본의(本義)를 원용하고자한 후대 유학자였다. 그가 살던 세도정치기는 정치 폐단으로 인해 민이 피폐해지고 있었다. 조선의 사회 담론인 성리학은 안민을 위한 정치 주체로서 사(士) 계층을 부각시켰는데, 사회가 안정화될수록 사대부들은 점차 본의를 잊고 권력을 독점하려 했다. 조선후기에는 그 양상이 극에 달했고, 당대 지식인들은 보다 넓은 범위의 인간들의 능력을 긍정하여 문제를 해결코자 했다. 유가가 가진 보편적 인간관을 이용해 민본에서 개개 민의 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 논리로 전개했던 것이다. 조선의 사회문제를 타개하고자 한 최한기는 기존 성리학의 변질 원인을 천지인(天地人)에 관통되는 유형(有形)의 운화기(運化氣)를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보았다. 성리학은 마음에 경험 축적으로 습염된 것을 리(理)로 부르며 고정시켰고, 점차 절대성을 부여하여 사회변동에 대응하지 못하게 만들었다는 것이 그의 주된 비판이다. 그는 기를 중심으로 사회변동을 설명 가능한 독자적인 학문 체계인 ‘기학(氣學)’을 세웠다. 인간이 선험적 진리를 갖고 태어나지 않았다고 본 그는 기학이‘외부대상에게로 나아감[格物]’로부터 시작해야 함을 역설했다. 이때 외부세계로 향하는 경험 활동은 계속 축적되면서도 수정 가능한 것이다. 그는 이러한 제반 활동에 ‘추측(推測)’이라 이름붙이고서 인간의 능동성이 발휘될 수 있는 기본이론으로 전개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추측(推測)은 타인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자신의 사유 체계 내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매순간 증험하여 변통(變通)해야 하는 것이다. 추측의 변통은 사회적 소통[通]의 의미로서 기능하며, 적용영역을 사회로 확장하여 시대적 변화 가능성과 사회 규범의 수정 가능성을 보장했다. 최한기는 변통하는 사회 규범의 준적(準的)으로 대기운화(大氣運化)란 기준을 명확히 한다. 이는 운화기라는 근원적 동일성의 근거를 따라야만 하는 인간사회의 수동성을 의심케 만들 수 있으나, 단지 주어진 자연 상황에 따르라는 요구가 아니다. 자연과 연결된 생긴 대로의 이치[生之理]에 맞추어 인간의 결정권을 긍정한다고 볼 수 있다. 기의‘변동성’을 핵심으로 하는 기학적 인간관과 사회관은 민의 위상과 역할을 새롭게 조망하는 데까지 이른다. 군주가 민의 추대에서 비롯된 자라는 인식과 공직 선출을 민원(民願)에 근거한 공론(公論)에 따를 것을 제안했다. 더욱 주목할 바는 추상적 집단으로의 민이 아닌 개별 민의 사정(私情)을 존중하는 일면을 보였다는 것이다. 또한 태어날 때부터 가진 선험적 진리를 인정하지 않았기에 민에게 더욱 확장된 교육을 가능케 했다. 최한기 역시 기질적 차이를 말하지만, 차별의 근거로 사용하지 않고 노력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는 문제로 보았다. 최한기는 이러한 입장을 통해 조선후기의 한 지식인으로서 더욱 확장된 범위의 인간을 긍정하기에 이르며, 사농공상을 신분보다는 직분(職分)으로 해석하는 단계로 나아간다. 하지만 천민에까지 확장하지 못하며 신분제 자체를 부정하지 않은 것, 오륜 등의 전통 가치체계는 변동하지 않을 것이라 낙관적으로 조망한 것 등은 그의 시대적 한계로 남아있다. 그럼에도 그는 기 중심의 학문을 통해 사회변동을 반영하려 시도했고, 기학 체계 내에서 민이란 존재는 달리 설정될 수 있었다. 최한기가 바라본 민은 정치 영역에서도 개개의 의견을 존중받을 수 있는 존재이자 교육을 통해 상등(上等)으로 성장할 수 있는 존재였다. 공상(工商) 문제에 있어서는 사회의 필요한 존재이자 직업으로 인정하는 등 사회를 구성하는 한 주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인식이 드러나며, 기학은 조선 신분제의 균열과 변동을 보여주는 유의미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기학이 전제한 기의 변동성은 기학적 인간인 민이 사회 중심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사실을 함축한 관점이라고도 평가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sider change of perspective on society and the importance of Hyekang Choi Han-gi(惠岡 崔漢綺, 1803~1877) based on the people[民]’s status and their role. Firstly, confirming the people’s status on Confucianism by reviewing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eople’s concept. Then we will discuss the people’s status and transformation of their role which is captured within Choi’s Chi-hak perspective on society. ‘People orientedness(民本)’is a confucianism’s political thoughts which is based on the people[民] connected with the heavens[天]. The will of the heavens is interpreted as the will of the people based on the heaven’s decree, so the people is in charge of socially theorical equipment for checking power of king. People orientedness which is one of the thoughts from Confucian scholor required ruler to have morality for the people and was the idea for recognizing importance of practical welfare[安民] policies considering the people’s circumstances and resistance. Also, the people would be viewed as a existence to grow futher for Confucianism embraces them as an universal human being. Choi Han-gi was a Confucian scholar of the latter Confucianism. In the period of Sedo politics when he lived,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was devastated due to the negative effect of politics. Neo-Confucianism, the social discussion of Chosun, gave prominence to the class of classical scholar[士]s as the principal agent of politics, but as the society was stabilized, the nobleman[士大夫] gradually forgot the original purpose and tried to monopolize the pow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aspect ran to an extreme, and the intellectuals of those days tried to solve the problems by acknowledging the capacity of people in a broader scope. They developed the logic which acknowledges the potential of the individual person in the people-oriented idea by using the universal view on humans of Confucianism. Choi Han-gi who tried to break through the social problems of Chosun attributed the cause of the corruption of the existing Neo-Confucianism to the failure of discovering the tangible UnWha-chi(運化氣) penetrating heaven-earth-human(天地人). His main criticism is that Neo-Confucianism called accumulated experiences in the mind as Li(理) and fixed the concept, gradually giving it the absoluteness, which makes it unable to react the social change. He established his own academic system, ‘Chi-hak(氣學)’ which can explain the social change based on chi(氣). He thought that men is not born with the transcendental truth and emphasized that Chi-hak should be started from approaching to the external objects. On this occasion, the experience toward external world can be modified while being accumulated. He named all the activities "Chu-Cheuk(推測: infer and construct)” and developed it as a basic theory that human activeness can be demonstrated. In addition, Chu-Cheuk i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others and should be come up with by verifying in a society every moment as well as in one’s own reasoning system. The adaptability of Chu-Cheuk functions as a meaning of social communication and ensures the possibility of chronological change and the modifiability of social norm by expanding the area of coverage to the society. Choi Han-gi definitizes the standard of Daechi-Unhwa(大氣運化) as the standard purpose of a social norm. This may cause a doubt about the passivity of human society which should follow the basis of fundamental co-identity called Unhwa-chi, but it is not a demand only to follow the given natural surroundings. It can be interpreted as an affirmation of the human right of decision in accordance with the reason connected with nature. The view on the human and society of Chi-hak focused on 'the variability' of the chi, even goes as far as to take a new view of the status and role of the people. It suggested the awareness that a king is a man selected by the people and the election of the government officials should follow the people’s opinion based on the civil complaints[民願]. What is more noteworthy is that it showed the aspect of considering the private situations of individual subject[民]s, not an abstract group of the people. Moreover, it made more expanded education of the people possible because it did not acknowledge the transcendental truth a man is born with. Choi Han-gi also mentioned the temperamental differences, but he considered differences as a matter which can be changed depending upon one's effort rather than a matter of discrimination. With this stance, Choi Han-gi, as an intellectual of the late Chosun Dynasty, acknowledged the human in a more expanded scope and advanced to the stage that he interpreted the traditional four classes of society[士農工商] as jobs, not as status. However, there remains his period limitations of in that he could not extend caste system to the lowest classes of people and didn't deny it. Also he had an optimistic prospect that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such as five moral disciplines in human relations[五倫] would not change.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he tried to reflect the social change through the study focused on the chi and the existence of the people in the Chi-hak system could be established differently. The people whom Choi Han-ki viewed were the being whose opinions could be respected and who can be developed to the higher class through education. When it comes to the manufacturers and tradesmen, the awareness is revealed that they are indispensable people and jobs in the society and the Chi-hak is a meaningful work to represent the rifts and changes in the status system of Chosun. In addition, the variability of the chi which Chi-hak assumed can be appraised as the perspective implicating the fact that the people who are Chi-hak human can advance to the center of a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