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8 Download: 0

唯識學에서의 自我에 관한 연구

Title
唯識學에서의 自我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lf of the mind-only science : Focused on Manas in the 〈Ch’eng wei-shih lun〉
Authors
윤수민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자경
Abstract
이 논문은 󰡔성유식론(成唯識論)󰡕의 말나식(末那識)을 중심으로 유식학(唯識學)에서의 자아(自我)에 대해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식학은 제8아뢰야식(阿賴耶識), 제7말나식, 제6의식(意識), 전5식[前五識: 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의 여덟 가지[八識]로 마음을 구분한다. 그리고 인간[我]과 세계[法]의 존재 근거를 아뢰야식에서 찾아 인간의 심리현상과 세계의 양상 등 일체를 해명한다. 그런데 아뢰야식은 경계 없는 전체이기 때문에 우리의 일상의식은 그것을 자각하지 못한다. 이는 마치 우리가 공기를 호흡하면서 살아가지만 그 존재를 의식하지 못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우리는 공기의 있고 없음의 경계를 통해 공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지만 아뢰야식은 일체를 포괄하는 전체로서 경계가 없기 때문에 우리의 일상의식으로는 아뢰야식의 존재 및 작용을 파악할 수 없다. 그리하여 주관인 자아와 그 대상이 되는 객관세계가 아뢰야식으로부터 분화된 것[識所變]으로서 파악되지 않고 실체화된 개체로서의 집착된 자아[我執]와 집착된 세계[法執]로 인식된다. 이처럼 인간존재의 근거로서 아뢰야식만으로는 현실에서의 아집적인 인간존재를 충분히 설명해주지 못한다. 이에 유식학은 아집적 인간 존재를 해명해주는 말나식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말나식은 자아를 설명하는 핵심열쇠가 되었다. 즉, 인간은 선험적으로 모든 것에 대해 ‘나’를 중심으로 헤아리고 생각하는데[恒審思量] 이는 바로 말나식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그런데 말나식이 ‘나’로 헤아리는 것은 아뢰야식이 전변하여 세계 전체를 형성해내는 활동 자체이자 주관적 인식활동[見分]이다. 이것을 말나식이 ‘자아’로 삼아 실체화하고 집착[我執]한 것이다. 이와 동시에 아뢰야식의 견분의 활동으로 대상 세계 전체[相分]가 형성되는데 그것은 사유대상으로서의 개념[種子]과 몸[有根身]과 몸이 거하는 환경인 물질세계[器世間]다. 이 역시 말나식에 의해 객관대상으로서 실체화되고 집착[法執]된 것이다. 이렇게 주관적 자아와 객관적 대상세계는 아뢰야식의 변현(變現)에 의한 견상 이원화(見相 二元化)와 의식·말나식의 분별(分別)에 의해 개체화된 실체로 인식되고 집착[我執・法執]된 가유(假有)다. 범부(凡夫)는 말나식이 ‘나’로 규정한 ‘개체적 자아[個我]’의 범위 내에서 자신을 협소하게 경계 짓고 자기정체성으로 삼는다. 욕망과 집착의 자아의식이 바로 말나식인 것이다. 자아는 말나식이 아뢰야식의 견분을 자아라고 설정한 것이므로 가상(假相)이다. 따라서 자아는 무상(無常)하며 무아(無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부의 자아의식인 말나식은 자아를 다른 것과 구분되는 실체로 여겨 집착하기 때문에 자아는 항상 아치(我癡), 아견(我見), 아만(我慢), 아애(我愛)의 번뇌와 고(苦)를 동반한 망상(妄想)이 된다. 그러나 인간존재의 진정한 정체성은 말나식이 설정한 개체적 자아가 아니다. 그것은 말나식이 지혜로 전환[轉識得智]되었을 때 비로소 자각되는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으로서의 ‘참된 자기’ 즉, 일심(一心) 혹은 진여(眞如)다. 인간존재의 참된 자기정체성은 마치 바탕에 그려진 그림이 다 사라져야 드러나는 흰 도화지처럼 말나식 차원의 개체적 자아의식이 소멸될 때 확인된다. 그것은 말나식이 평등성지(平等性智)로 전환[轉依]되어 일체가 차별 없는 자타불이(自他不二)의 전체로서 자각되는 근원적 자기인 것이다. 말나식이 전의(轉依) 전에는 개체적 자아에서 자기동일성을 가지지만 전의 후에는 참된 자기로서의 일심[진여]에서 자기동일성을 가진다. 표층 차원의 인간은 비록 찰나생멸하는 무아(無我)의 모습이지만 심층 차원의 인간은 우주를 포괄하는 전체로서의 자기자각성을 가진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이 두 차원의 자기정체성 가운데 일상적 차원의 자아를 자기로 집착하면서 많은 갈등을 겪는다. 아집은 개인을 넘어 집단적 자아로 확장되어 집단적 아집과 법집의 양상을 보인다. 타(他)가 배제된 아집적 자아는 현세 지향적 이기주의를 향해 치닫거나 아집적 자아의 무상함에서 오는 허무주의에 빠진다. 문제는 이 두 경향성 모두가 근원적 자기인 ‘참된 자기’, 즉 일심[진여]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 󰡔성유식론󰡕에서의 말나식(末那識)에 대한 논의는 현실에서 이기주의 및 허무주의에 빠지지 않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전망을 갖게 한다. 말나식을 통해 드러나는 표층 세계[世俗諦]의 자아의 허망성(虛妄性)은 그 너머 해탈 세계[勝義諦]의 일심[진여]이 참된 자기임을 입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말나식은 개체적 자아로 향하는 아집적 에너지가 참된 자기로 향하는 보살의 대자대비(大慈大悲)의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로써 󰡔성유식론󰡕에서의 말나식은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자아[假我]를 확인하고 무경계인 전체로서의 ‘참된 자기’, 즉 일심[진여]에서 자기정체성을 찾을 것을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Self(自我) in the mind-only science(唯識學), focusing on Manas(末那識) of the 󰡔Ch’eng wei-shih lun󰡕(成唯識論). The doctrine distinguishes the mind(consciousness) into the eight different categories: Alaya-vijnana(阿賴耶識) or the eighth consciousness; Manas(末那識) or the seventh consciousness; Mental faculty(意識) or the sixth consciousness; Tactile perception; Taste perception; Olfactory perception; Audio perception; Visual perception.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human being[我] and the world[法] is found in the Alaya-vijnana, which explains all aspects such as human psychology phenomenon and the world appearances. In other word, the mind-only science explains human existence from a worldly standpoint(世俗諦) on the basis of Sunyata(空) as the primal or ultimate truth(勝義諦). Our everyday consciousness does not aware of Alaya-vijnana(阿賴耶識) because it is a whole without boundaries. It is the same case as we live in breathing air but are not aware of it.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ses are as follows: while we can be conscious of the existence of air at the boundary of air and nothing(vacuum), we can not grasp the existence and function of the Alaya-vijnana in our daily consciousness. The reason is that the eighth consciousness is a whole which encompasses all things and has no boundaries. Thus, both the subject's self and the object-world are perceived as a real self[我執] and a real world[法執] instead of as deceptive apparitions, i.e. the manifestation of the storehouse of consciousness, or the Alaya-vijnana. The human beings holding to the concept of ego in the real world cannot be fully explained only with the Alaya-vijnana as the basis of human existence. Thus, Manas(末那識) is assumed as the key to explaining the delusive self in the mind-only science(唯識學). In other words, human beings innately think of everything focusing on ‘me’[恒審思量], which is merely the outcome of the Manas activities. What Manas reckons as ‘me’ is in fact the seeing part of the consciousness[見分] or the activity itself to making the world transformed from Alaya-vijnana. When Manas looks at the seeing part of the Alaya-vijnana, it considers that it is ‘subjective self[我執]’, which is actually not. At the same time, the object world - the concept[種子] as object of thought, the body[有根身], and the material world[器世間] as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body dwells - is formed by the activity of the seeing part of consciousness[相分]. The objective part of consciousness is also considered as ‘the real world[法執]’ by Manas. In a word, both the subjective self and the object world are imaginary and unreal existence[假有] derived from the dual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onsciousness. An ordinary person narrowly confines ‘self’ within the scope of the ‘individual self[個我]’ which Manas(末那識) defines as ‘I’. In other words, Manas is the self-consciousness of desire and obsession. What is referred to as the self is not real and constant. Nevertheless, since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ego regards the self as an entit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the ego is always obsessed with the agony of ‘mine’, the fundamental cause of all greed and sufferings. The true identity of human existence is not the individual self of Manas(末那識). Rather, the cosmic mind that pervades the whole universe(一心) or true-suchness(眞如) is the reality recognized only when Manas(末那識) is converted to wisdom[轉識得智]. In other word, The true self-identity of human being is recognized only when the individual self-consciousness of Manas layer disappears. It is the fundamental self that sees the whole world without discrimination of the me and the not-me(自他不二), which rises from the equality wisdom(平等性智). Identity falsely means ‘individual self’ before the conversion of Manas, but ‘true self’ as the single cosmic mind is perceived after the conversion is done. It suggests: although human beings on the surface level are in the form of selflessness that lives at a moment of extinction, human beings in the in-depth level have self-awareness as a whole encompassing the universe. In general, human beings suffer from their obsession to the mundane self of the two dimensions of self-identity. Moreover, attachment to oneself extends beyond the individual to the collective self, showing the swelled obsession to the delusive self and world imagery. The self in contrast to the other either leads toward the world-oriented egoism or falls into the nihilism that comes from the vanity of ego-centered selfness. The problem is that both tendencies stem from the ignorance of the original self of the cosmic mind(一心) or true-suchness(眞如). Discussions on Manas(末那識) of the 󰡔Ch’eng wei-shih lun󰡕(成唯識論) give us a vision of how to live without being mired in egoism or nihilism in the secular world. The delusion of the self in the superficial world, which is falsely perceived by Manas, proves that the true-suchness in the world of Haetal or liberation is the “True Self.” This paper highlights on the Manas of the 󰡔Ch’eng wei-shih lun󰡕, calling for identifying the “True Self” as the whole borderless self of the single cosmic mind or true-such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