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2 Download: 0

한 · 중 품사 통용의 대조 연구

Title
한 · 중 품사 통용의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word class conversions in Korean and Chinese
Authors
XUE, YINGYING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형용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품사 통용에 대한 것으로, 두 언어에서 나타나는 품사 통용 양상에 대한 대조 연구를 전개하였다. 기존의 한·중 품사 통용 연구에서는 항상 한국어와 중국어의 품사 분류 기준과 품사 체계를 각각 정리한 뒤, 이를 중심으로 두 언어의 품사 통용을 대조하고 연구하였다. 반면 본고는 한·중의 품사 분류 기준, 품사 체계, 품사 통용의 개념과 범위를 모두 통일하고 일관된 기준 아래에서 한·중 품사 통용을 대조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연구 방법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한·중의 품사 분류 기준과 품사 체계를 연구하기 위한 일관된 체계를 세웠다. 한·중 품사 분류 기준에 대해 ‘의미’, ‘기능’, ‘형식’, ‘분포’ 네 가지 기준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 ‘기능’과 ‘의미’를 한·중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품사 분류 기준으로 간주하였다. 한·중 두 언어의 품사 체계는 차이가 크기 때문에, 본고는 ‘의미’와 ‘기능’을 근거로 한·중의 품사 체계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한·중의 공통된 품사 체계로 명사, 대명사, 수사, 의성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의 10품사를 정하였다. Ⅲ장에서 한·중에서 공통적으로 쓰일 수 있는 품사 통용의 개념과 범위를 검토하였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품사 통용 개념은 대개 ‘한 단어가 두 가지 혹은 두 가지 이상의 품사를 가지는 현상’으로 정의되는데, 품사 통용을 판별하려면 이러한 기본 개념 외에도 판별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한·중 각각의 품사 통용 판별 기준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하나의 단어여야 한다는 점과 의미적으로 상관성을 가져야 한다는 점의 두 가지 기준을 한·중 품사 통용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판별 기준으로 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에서 세운 동일한 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품사별로 한·중 품사 통용의 유형별 구체적 예시를 제시하였다. 논의의 편의를 위해 한국어는 명사, 부사, 의성사, 대명사, 수사, 형용사 관련 품사 통용으로 나누어 품사 통용 유형을 제시하였다. 중국어의 경우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대명사, 수사, 의성사, 감탄사 관련 품사 통용으로 나누어 품사 통용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한·중 품사 통용 양상을 밝힘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 각각의 품사 통용 특징을 밝혔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품사 통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This study is based on a contrasting study of word class conversions in Korean and Chinese. However, it is not a direct comparison in word class convers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 word class conversions on the basis of the same word classification standards, word system, concept and scope of word class conversions in Korean and Chinese. The chapter Ⅰ served as an introduction, including the purpose, necessity, scope of the study and methods, pre-research. The chapter Ⅱ studied the same Korean and Chinese word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word system.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studied the four classification standards of 'meaning', 'function', 'form' and 'distribution' and selected 'function' and 'meaning' as the unified standards for the classification of words in Korean and Chinese. Becaus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rd system so this study used the 'meaning' and 'function' as the basis to study the same word system of Korean and Chinese. The unified word system of Korean and Chinese in this article are noun, pronoun, numeral, adjective, adverb, postposition, verb, onomatopoeia, determiner and interjection. The chapter Ⅲ studied the unified concept and scope of word class conversions in Korean and Chinese. The basic concept of word class conversions in Korean and Chinese is a phenomenon in which a word has two or more parts of speech. However, in case of judging the word class conversions, the criteria beyond the basic concept is needed. After discussing their respective standards for judgment of the word class convers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is study used the same word and significance correlation as the same standards for the judgment of the word class conversions in Korean and Chinese. The chapter Ⅳ showed concrete examples of the word class conversions in Korean and Chinese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order to facilitate the narrative, Korean uses the noun, adverb, onomatopoeia, pronoun, numeral, adjective to display the examples of the word class conversions. Chinese uses the noun, pronoun, numeral, adjective, verb, onomatopoeia, determiner and interjection to display the examples of the word class conversions. Refer to the above, this study fou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word class convers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