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7 Download: 0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와 재난 유형이 공중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와 재난 유형이 공중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risk uncertainty messages and disaster types on public responses : Analysis of spontaneous evaluation, control level, victim-blame,empathic anger, and social support
Authors
함승경
Issue Date
2019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이 연구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발생한 대규모 재난에서 피해자 비난이 발생한 것에 주목해서, 재난 상황에서 피해자 비난을 중심으로 공중들의 다양한 반응을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와 재난 유형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재난으로부터 사회가 회복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일반적으로 인적 재난은 통제할 수 없는 재난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감정 반응을 일으키고, 불확실성 인식은 사람들에게 규범적 반응을 강화시키거나 반규범적 반응을 초래하기도 한다. 과실통제 모델에 따르면 위험에 대한 부정적 감정반응인 즉각적 평가는 피해자의 통제 수준을 높게 판단하게하고, 피해자 비난을 타당화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피해자의 고통에 공감하는데, 이 연구는 피해자와의 단순한 공감을 넘어서 재난으로부터 회복에 기여하는 이타적 동기로서 공감적 분노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한 단계 더 나아가 피해자 비난을 설명하는 과실통제 모델을 확장시켜 피해자 비난과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공감적 분노를 설명하고 재난으로부터 회복 방안으로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들에 따라 재난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 영향을 구체적으로 불확실성 진술이 있고 없는 메시지로 유형을 구분해 분석했을 뿐 아니라 단일한 재난 메시지를 통해 공중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불확실성까지 분석해,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 연구 방법과 이론적 논의를 확장시키고자 했다. 연구1의 분석 결과 재난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는 불확실성이 없는 메시지에 비해 즉각적 평가와 공감적 분노를 높였다. 그리고 인적 재난은 자연 재난에 비해 즉각적 평가, 통제 수준, 공감적 분노를 높이고 사회적 지지를 감소시켰다. 재난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는 자연 재난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켰고, 인적 재난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감소시켰다. 각 변인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난에 대한 부정적 감정 반응인 즉각적 평가가 높을수록 피해자의 재난 통제 수준과 피해자 비난도 감소하였다. 그러나 피해자의 재난 통제 수준이 높다고 판단할수록 피해자 비난은 증가하였다. 피해자에 대한 비난과 공감적 분노가 높을수록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증가했다. 반면 통제 수준을 높게 판단할수록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감소했다. 간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즉각적 평가- 통제 수준- 피해자 비난의 간접 효과가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즉각적 평가- 피해자 비난 - 사회적 지지의 간접효과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즉각적 평가- 공감적 분노- 사회적 지지 간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각적 평가가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데에는 피해자 비난과 공감적 분노의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재난 위험의 불확실성 유무와 재난 유형에 따른 경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재난 위험의 불확실성이 있고 없음에 따라 변인들 간의 경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난 유형에 따라서는 통제 수준- 공감적 분노, 피해자 비난-사회적 지지, 그리고 통제 수준-사회적 지지 간의 경로에서 자연 재난과 인적 재난의 차이가 나타났다. 자연 재난에서는 통제 수준-공감적 분노가 정적으로 유의미했고, 인적 재난에서는 피해자 비난-사회적 지지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미했다. 연구2은 주관적으로 인식된 재난 위험의 불확실성과 재난 유형이 반응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관적으로 인식된 재난 위험의 불확실성은 즉각적 평가, 통제 수준 판단, 피해자 비난, 공감적 분노 그리고 사회적 지지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분석결과 고연령 집단에서 주관적으로 위험의 불확실성이 높은 사람들이 위험의 불확실성이 낮은 사람들보다 공감적 분노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재난 유형은 즉각적 평가, 통제 수준의 판단, 공감적 분노, 사회적 지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 재난에 비해 인적 재난은 재난에 대한 즉각적 평가, 피해자의 재난 통제 수준판단, 피해에 대한 공감적 분노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반응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경로는 연구1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즉각적 평가가 피해자의 통제 수준 판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과 재난에 대한 즉각적 평가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연구1과 다르게 나타났다. 각 변인 간의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즉각적 평가-피해자 비난-사회적 지지 간의 간접효과는 실험1과 동일하게 부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즉각적 평가-공감적 분노-사회적 지지 간의 간접 효과도 실험1과 동일하게 정적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 간의 경로에서 재난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즉각적 평가-공감적 분노 경로와 즉각적 평가- 사회적 지지 경로에서 인적 재난과 자연 재난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 재난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인적 재난에서는 재난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피해에 대한 분노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반면 인적 재난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자연 재난에서는 즉각적 평가가 사회적 지지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연구1과 2를 통해서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 효과는 공중들이 메시지를 통해서 주관적으로 인식한 불확실성 효과보다 구체적으로 불확실성이 진술된 메시지에 의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 위험의 불확실성 메시지와 재난 유형은 피해자 비난에 유의미한 차이 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연구1과2에서 공통적으로 피해자 비난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은 정치적 성향이었다. 보수적 성향이 높을수록 피해자 비난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문화적 접근에서 위험은 정치적이고 가치 판단의 대상으로 누군가에게 위험을 책임지우면서 내집단의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그런데 그 책임을 전가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사람들의 사회적 관계와 규범에 의해 형성된 문화적 세계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Douglas, 1992). 문화이론에 따르면 기존 사회 질서를 유지하려는 위계적 경향이 높은 사람들은 재난 상황에서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시킴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혼돈 속에서 사회 질서를 유지하려고 한다. 이 연구에서도 현상을 유지하고 안전을 추구하는 보수적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재난 피해자들에게 재난의 책임을 지우면서 재난의 혼란 속에서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피해자 비난은 재난에 부정적 평가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상대성을 보였다. 하지만 피해자의 통제 수준을 높이 판단할수록 피해자 비난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피해자 비난이 원인 통제에 대한 평가와는 비례하지만 재난 자체의 부정적 감정과는 반비례했다. 이는 비난이 인지적이면서 감정적인 양면적 특성을 갖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공중관계에서 피해자 비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인지적 측면을 강화하는 메시지 전략이 필요하다. 피해자가 재난을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했고, 어쩔 수 없는 상황의 피해자라는 측면을 부각시키는 메시지 전략이 요구된다. 공중들이 피해자를 비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피해자 비난을 다양한 접근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피해자 비난이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는 이 연구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방어적 귀인 이론이 도움이 된다. 방어적 귀인 이론에 따르면 피해자 비난은 피해자를 외집단화해서 그들에게 재난에 대한 책임을 물음으로써 재난의 위협으로부터 통제감을 갖고자 하는 것이다. 피해자 비난을 통해 재난에 대한 통제감을 확인하고, 피해자 비난을 통해 확인된 재난에 대한 통제감은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Taking note of blames on victims in the recent major disasters in our society, this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of generating blame on victims in disaster situ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risk uncertainty messages and disaster types and seeks out ways for society to recover from disasters. Man-made disasters are generally considered as controllable disasters and risk uncertainty messages cause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o people and psychological perception of uncertainty sometimes strengthens normative responses to people or causes anti-normative reactions. According to the culpable control model, spontaneous evaluation which is this kind of negative emotional response to risk causes one to judge victims’control level unreasonably higher (than real) and justifies blame on victims. While people generally empathize with the pains suffered by the victims, this study moves beyond mere empathy and focuses on empathic anger as an altruistic motive which contributes to recovery from disasters. For this reason, study extends Culpable Control Model which explains blames on victims into a model which explains social support, and seeks out the variables which promote or hamper social support. Study 1 analyzes the effects of uncertainty messages and Study 2 analyzes the effects of disaster risk uncertainty which the public subjectively perceives through disaster messages on response variables of the public. Through this, study analyzes public perception of disaster risk uncertainty from a multi-layered perspective of message effect and subjective composition, and discusses its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1, the messages of disaster risk uncertainty were found to increase spontaneous evaluation and emphatic anger compared with the messages without uncertainty while man-made disasters increase spontaneous evaluation, control level and emphatic anger and decrease social support when compared with natural disasters. Messages of disaster risk uncertainty increase social support in natural disasters and decrease social support in man-made disasters.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higher the level of spontaneous evaluation which is a negative emotional response to disasters, the lower the victims’control level and blames on the victims. The higher the judgement on victims’disaster control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blames on the victims. The higher the blames and emphatic anger on the victims are,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for the victims whereas the higher the judgement on the control level, the lower the social support for victims.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direct effects demonstrate that indirect effect of spontaneous evaluation - control level – blame on victims is positively significant while indirect effect of instant evaluation – blame on victims - social support is negatively significant, and the relationships among spontaneous evaluation – emphatic anger - social support are positively significant, which is interpreted that blames on victims and emphatic anger have mediating effect on either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f instant evaluation on social support. Finally, as a result of analysis on whether or not there is disaster risk uncertainty and difference in the paths based on the types of disaster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aths among variables based on whether or not there is disaster risk uncertainty. Whereas, depending on the types of disaster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natural disasters and man-made disasters in the paths among control level - empathic anger, blame on victims - social support and control level - social support. The path of control level - empathic ang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atural disasters whereas the path of blame on victims -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an-made disasters. Study 2 analyzes the effect of disaster risk uncertainty subjectively perceived and types of disasters on response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sis, disaster risk uncertainty subjectively perceived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spontaneous evaluation, judgment on control level, blame on victims, emphatic anger and social support. Further analysis found that old-age groups with subjectively high uncertainty tend to have higher emphatic anger than those with low uncertainty. On the other hand, disaster types were significant in spontaneous evaluation, judgment on control level, emphatic anger and social support. Compared with natural disasters, man-made disasters are found to increase instant evaluation on disasters, judgment on victims' control level on disasters and emotional anger about damages.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ponse variables, most paths are similar to the results of Study 1. Nonetheless, the fact that spontaneous evalu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judgment on victims’ control level and the fact that spontaneous evaluation on disasters does have effect on social support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Study 1. As a result of analysis on indirect effects of each variable, indirect effects among spontaneous evaluation - blame on victims -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negatively significant as in Experiment 1. Additionally, indirect effects among spontaneous evaluation- emphatic anger - social support were positive also as in Study 1.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the path among variables based on the types of disaster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man-made disasters and natural disasters in the path of spontaneous evaluation - empathic anger and in the path of spontaneous evaluation - social support. While not significant in natural disasters, negative emotions about disasters significantly increase anger about damages in man-made disasters. On the other hand, while not significant in man-made disasters, spontaneous evaluation significantly increases social support in natural disas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