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0 Download: 0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증상클러스터와 약물복용이행, 삶의 질과의 관계

Title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증상클러스터와 약물복용이행, 삶의 질과의 관계
Other Titles
Symptom Clusters, Medication adhere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on Hormone Therapy
Authors
이지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지영
Abstract
본 연구는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증상클러스터를 확인하고 약물복용이행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는 2018년 3월 16일부터 4월 24일까지 서울시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수술을 받고 항암치료를 종료 후 항호르몬요법 중인 유방암 환자 14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증상 측정을 위해 Sarrel이 개발한 Menopause Symptom Index 를 송노순과 박희옥이 한국인에 맞게 수정한 도구와 Portenoy 등이 Memorial Symptom Assessment Scale 의 증상조사표를 토대로 유방암 전문가 집단 10명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을 받아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약물복용이행은 처방약물복용 이행도와 Morisky 등의 Adherence Scale 을 김세중과 김명욱이 번안한 도구로 복약순응도를 측정하였으며, 삶의 질은 Baker 등의 Satisfaction with Life Domains Scale 을 송지은과 소향숙 번안 및 수정한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요인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은 46.11세로 40-49세(40대)가 58.9%였고, 대상자의 82.3%가 폐경 상태였다. 유방보존술을 한 대상자는 73.8%이었고, 수술 후 기간은 평균 34.23개월, 진단 병기는 stage II가 56.7%로 나타났다. 항암화학요법 + 방사선치료를 한 대상자가 54.6%였으며, 항암화학요법 종료 시기는 평균 29.60개월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본 연구의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을 4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36개의 증상 항목 중 얼굴이 확확 달아오름 2.25점, 잘 잊어버림 2.24점, 에너지 부족 2.21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혼자 외출하기 겁남 .61점, 허무하고 죽고 싶은 생각 .90점, 식욕저하 1.04점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처방약물복용 이행도는 92.38%이며, 복약순응도는 평균 3.03점(가능한 점수의 범위: 0~4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평균 79.90점으로 보통(가능한 점수의 범위: 18~126점)수준이었다. 3. 대상자의 증상클러스터 규명을 위해 주성분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9개의 증상클러스터가 확인되었다. 정신적 어려움 클러스터(Cluster 1)는 서러움-노여움, 불안-우울, 자기애 저하, 허무하고 죽고 싶은 생각, (젊음, 여성)인생 끝난 느낌, 걱정, 쉽게 흥분하고 화를 냄, 혼자 외출하기가 겁남, 식욕 저하로 구성되었다. 신체증상 클러스터(Cluster 2)는 체중 변화, 손발이 저리고 쑤심, 사지 부종, 얕은 숨, 무딘감-저린감, 오심, 피곤-전신에 힘이 없음, 관절통으로 구성되었다. 두통-어지러움-두근거림 클러스터(Cluster 3)는 머리가 자주 아픔, 가슴이 답답하거나 아픔,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운 증상으로 구성되었다. 에너지-인지기능 저하 클러스터(Cluster 4)는 집중력이 저하, 에너지가 부족, 신경과민, 잘 잊어버림으로 구성되었다. 홍조-식은 땀 클러스터(Cluster 5)는 얼굴이 확확 달아오름, 땀을 많이 흘림으로 구성되었다. 수면장애 클러스터(Cluster 6)는 잠들기가 힘듦, 수면장애로 구성되었다. 성욕 저하 클러스터(Cluster 7)는 성욕 없음, 부부 관계 불편으로 구성되었다. 건조-탈모 클러스터(Cluster 8)는 질 분비물이 없어 건조, 탈모, 피부나 머리카락 건조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배뇨 장애 클러스터(Cluster 9)로 기침할 때 소변이 나옴, 소변을 자주 봄으로 구성되었다. 4.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증상클러스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득이 낮은 대상자 그룹이 높은 대상자 그룹보다 정신적 어려움 클러스터, 건조-탈모 클러스터에서 증상 강도가 높았고, 직업이 있는 대상자의 그룹이 직업이 없는 대상자의 그룹보다 신체증상 클러스터에서 높은 증상 강도를 보였다.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요인으로는 수술 종류에 따라 유방전절제술 + 재건술을 한 대상자의 그룹이 유방전절제술을 한 대상자의 그룹보다 정신적 어려움 클러스터, 두통-어지러움-두근거림 클러스터와 에너지-인지기능 저하 클러스터에서 높은 증상 강도를 보였다. Stage III 그룹이 Stage I 그룹보다 성욕 저하 클러스터에서 높은 증상 강도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에너지-인지기능 저하 클러스터 증상의 강도가 높을수록 약물복용이행은 낮아지고, 정신적 어려움 클러스터, 신체증상 클러스터, 두통-어지러움-두근거림 클러스터, 에너지-인지기능 저하 클러스터, 홍조-식은 땀 클러스터, 수면장애 클러스터, 건조-탈모 클러스터의 증상의 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진다. 본 연구의 결과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다양한 증상들은 9개의 증상클러스터로 구분되며 증상클러스터에 따라 약물복용이행과 삶의 질 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사는 약물복용이행과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증상클러스터를 파악하고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명상요법, 스트레스 관리, 운동 요법 등과 같은 중재 방법을 개발하여 환자 스스로 증상을 관리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도움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증상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환자의 약물복용이행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ymptom clusters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are undergoing hormon therap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quality of lif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41 breast cance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hormone therapy after surgery and chemotherapy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data collection took place between, March 16 and April 24, 2018. Instruments used were Menopause Symptom Index developed by Sarrel for symptom measurement and modified by Song and Park for the Korean suitability and Portenoy et al. tool based on the Symptom Assessment Scale modified after content validity test by 10 breast cancer experts. Medication adherence was measured by calculating the prescribed hormone therapy tablets and Adherence Scale by Morisky et al. which was adapted by Kim and Kim.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Satisfaction with Life Domains Scale developed by Baker et al., which was adapted and modified by Song and Soh after revising it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Frequencies,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factor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46.11 years; 58.9% of the participants were 40-49 years old, and 82.3% of them had experienced were menopause. 73.8% of the participants had breast-conserving surgery. The mean duration of post-surgery period was 34.23 months.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56.7%, were in stage II. 54.6% of the participants had received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after the surgeries. Mean time period after the chemotherapy termination was 29.60 months. 2. Among 36 symptom items, particiapnts most frequently experienced face blush (2.25/4), followed by forgetfulness (2.24/4), lack of energy (2.21/4) On the other hand, fear of going-out alone (.61/4), sense of vain and suicide impulse (.90/4) loss of appetite (1.04/4) were the lowest experienced symptoms. The percentile value calculated by prescribed medication adherence of tablet was 92.38 out of 100, and their medication adherence score was 3.03 out of 4. Their quality of life was 79.90 (range of possible score: 18~126). 3. As a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9 symptom clusters were identified. Mental difficulty cluster (Cluster 1) was comprised of resentment-anger, anxiety-depression, lowering self-esteem, sense of vain and suicidal impulse, feeling the end of life (youth, womanhood), worry, emotional turmoil, fear of going-out alone, and loss of appetite. Physical symptom cluster (Cluster 2) was comprised of weight change, numbness of hands and feet, limb edema, shallow breath, loss of sensitivity, nausea, tiredness, and arthralgia. Headache-dizziness-palpitation cluster (Cluster 3) was comprised of frequent headache, chest pain, palpitation, and dizziness. Energy-cognitive function decline cluster (Cluster 4) was comprised of concentration decline, lack of energy, hypersensitivity, and forgetfulness. Blush-cold sweat cluster (Cluster 5) was comprised of face blush and heavy sweating. Sleep disorder cluster (Cluster 6) was comprised of having difficulty in falling asleep and insomnia. Sexual drive cluster (Cluster 7) was comprised of sexual drive decline and uncomfortableness in sexual intercourse. Dryness-hair loss cluster (Cluster 8) was comprised of vagina dryness, hair loss, skin and hair dryness. Finally, micturition disorder cluster (Cluster 9) was comprised of urinary leakage when coughing and frequent urination. 4. The differences in symptom cluster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Low-income group had higher symptom intensity of mental difficulty cluster and dryness-hair loss cluster compared to the high income group, in participants who were employed showed higher symptom intensity in physical symptom clust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terms of the factors depending on the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nd surgery type, the group with mastectomy + reconstruction surgery showed higher symptom intensity of mental difficulty cluster, headache-dizziness- palpitation cluster and energy-cognitive function decline cluster compared to the group with mastectomy. Stage III in diagnosis group showed higher symptom intensity in sexual drive decline cluster than Stage I group. 5. As the participants’ medication adherence decreased, the intensity of energy-cognitive function cluster increased. As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became lower, their symptom intensity in mental difficulty cluster, physical symptom cluster, headache-dizziness-palpitation cluster, energy-cognitive function decline cluster, blush-cold sweat cluster, sleep disorder cluster, dryness-hair loss cluster became higher. Nine symptom clusters of breast cancer patients who are undergoing hormone therapy were identified. Also,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medication adherence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symptom clusters were confirmed. In light of this finding, nurses have better opportunities to understand symptom clusters which negatively affect breast cancer patients’medication adherence and quality of life, tailored interventions to alleviate targeted symptoms clusters c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medication adherence and quality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