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16 Download: 0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affecting the Moral Sensitivity of Nurses
Authors
엄소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석선
Abstract
도덕적 민감성은 환자를 둘러싼 문제 상황을 민감하게 파악하여 갈등을 인식하고 발견할 수 있는 능력으로 윤리적 의사결정의 핵심요소이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최선의 간호행위를 실천하고 윤리적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도덕적 민감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한 간호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생명 윤리 위원회(IRB) 승인 이후 2017년 12월 02일까지 시행되었다. 서울시에서 진행되는 간호학술대회 및 보수교육에 참석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으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9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현재 임상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로 본 연구 참여에 대해 자발적인 동의를 표현한 자이며, 제외기준은 임상경력 1년 미만의 간호사이다. 도덕적 민감성은 도덕적 민감성 설문지(MSQ; 조혜경, 김선아, 2017), 도덕 판단력은 한국형 도덕 판단력 검사지(KDIT; 문용린, 2004), 공감능력은 한국판 의료인용 제퍼슨 공감척도(K-JSE-HP; 류혜란, 방경숙, 2016),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상담자의 자기평가 설문지(COSE; 박향진, 이광자, 김석선, 2014)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은 4.96±0.60점, 도덕 판단력은 44.18±11.71점, 공감능력은 5.18±0.57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4.03±0.42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윤리적 특성에 따른 도덕적 민감성은 연령(F=6.092, p=.001), 임상경력(F=8.065, p<.001), 교육수준(F=5.416, p=.005)에 따라 도덕적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윤리적 특성에 따른 도덕적 민감성은 윤리교육 경험 유무(t=2.018, p=.045), 윤리교육 경험 횟수(F=10.337, p<.001)에 따라 도덕적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과 임상경력이 많고, 대학원 이상의 교육수준에서 도덕적 민감성이 높았으며, 윤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고, 윤리교육을 받은 경험이 3회 이상일 때 도덕적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본 연구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 도덕 판단력, 공감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r=.485, p<.001), 도덕적 민감성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r=.476,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이 높을수록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이 높았으며, 공감능력이 높은 대상자에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덕 판단력은 도덕적 민감성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단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Model Ⅰ에 일반적 특성 및 윤리적 특성을 투입하였고, Model Ⅱ에 공감능력, Model Ⅲ에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을 추가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Model Ⅲ의 연구결과 연령(β=.211, p=.044), 윤리교육 경험 횟수(β=.177 p=.007), 공감능력(β=.318, p<.001), 의사소통 자기효능감(β=.247, p=.001)이 도덕적 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민감성 향상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는 공감능력(β=.318)이었으며,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도덕적 민감성에 대한 35.7%의 설명력을 보였다. 즉, 윤리교육 경험 횟수가 3회 이상이고, 연령과 공감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도덕적 민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공감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도덕적 민감성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측 요인은 연령, 윤리교육 경험 횟수, 공감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을 높이기 위해 간호윤리교육은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을 함께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를 제공해야할 것이며, 간호사를 대상으로 윤리교육의 기회를 확대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판단력이 독립적인 요소로 발달해간다는 것을 미루어볼 때, 도덕성의 인지 정서적 요소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moral sensitivity of nurses and thereafter provide necess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thics education. Data had been collected until December 02, 2017 after the approval of the IRB. 194 nurses were recruited from nursing conferences and conservative education in Seoul under their consent. The criteria for subject selection were currently employed clinical nurses with more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 who have agreed to take part in this study. Moral sensitivity was measured via various tests, including the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MSQ: J0 & Kim, 2017), Korean Defining Issues Test (KDIT: Moon, 2004), Korean Jefferson Scale of Empathy (K-JSE: Ryu & Bang, 2016) and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COSE: Park et al, 2014).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moral sensitivity was 4.96±0.60, moral reasoning was 44.18±11.71, empathy was 5.18±0.57 an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was 4.03±0.42. 2. Moral Sensitiv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shown to be dependent on age (F=6.092, p=.001), clinical career (F=8.065, p<.001), and education level (F= 5.416, p=.005). Moral sensitivity based on ethical characteristics was shown to be relative to the experience (t=2.018, p=.045) and frequency (F=10.337, p<.001) of ethics education. To put it simply, moral sensitivity was higher in older nurses who were qualified with rich clinical experience, had higher levels of education (over master’s degree), and received ethics education more than three times. 3.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ion among moral sensitivity, moral reasoning, empathy an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sensitivity and empathy (r=.485, p<.001) indicat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tatic correlation. Likewise,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oral sensitivity an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r=.476, p<.001) was also observed. Thus, higher moral sensitivity in nurses was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mpathy an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Moreover, higher empathy was proportional to increase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However, moral reasoning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moral sensitivity. 4. To sequentially confirm factors determining moral sensitivity in nurse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starting with Model I involving general and ethical characteristics, ModelⅡ with empathy and finally, and Model Ⅲ with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Data from Model Ⅲ, revealed that age (β=.211, p=.044), the frequency of experience in ethical education (β=.177 p=.007), empathy (β=.318, p<.001), an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β=.247, p=.001) determined the moral sensitivity in nurses. Given this, empathy (β=.318) was the variable to have the most influence in moral sensitivity, which implies that our study provided reliable data (35.7%) for moral sensitivity using regression model. Therefore, moral sensitivity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in nurses who experienced ethics education more than 3 times with high levels of age, empathy an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Overall, empathy an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were in correlation to moral sensitivity. In particular, the major predictors of moral sensitivity in nurses were age, the frequency of experience in ethics education, empathy, an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Therefore, not only should nursing ethics education be established on a potential strategy involving the improvement of empathy and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to improve moral sensitivity in nurses,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such ethics education to nurses should also be in consideration. Furthermo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that moral sensitivity and moral reasoning would act as independent fact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thical education program that simultaneously enhances the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of mor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