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9 Download: 0

가정 내 아동학대 경험이 청소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 내 아동학대 경험이 청소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Domestic Abuse Experience on Adolescents’ Aggressiveness : Moderating Role of Self-Resilience and Peer Attachment
Authors
강슬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상미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 내 아동학대의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영향에 있어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신뢰,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적절한 실천적 개입 근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가정 내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가정 내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셋째, ‘가정 내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에서 또래애착은 조절효과를 가지는가?’이다. 분석의 대상은‘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패널 데이터에서 초1패널 7차년도 자료를 활용, 설문에 응답한 중학교 1학년 2,002명이다. 연구모형 검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내 아동학대 경험은 청소년의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대를 많이 경험할수록 청소년의 공격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가정 내 아동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로서 자아탄력성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이라도 자아탄력성이 높으면 자아탄력성이 낮은 청소년보다 공격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가정 내 아동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또래애착을 두 가지 변인(신뢰, 의사소통)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또래애착(신뢰, 의사소통) 모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절변수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이 주변 또래와의 애착이 높다고 하더라도 학대를 받으면 공격성이 유의하게 낮아지지는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에 따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함의로는, 연구대상을 청소년 중에서도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초기청소년을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적 개입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학대를 행하는 가해자의 범위를 가정 내 부모(보호자)로 설정하여 발견이 어렵고 세대 간 학대의 되물림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소지가 있는 가정 내 학대를 중점으로 분석함으로써 아동 학대에 대한 사회의 적극적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남겼다. 다음으로 실천적 함의로는, 가정 내에서 학대를 받은 청소년이 건강하고 올바르게 성장하여 사회 구성원으로서 원활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청소년의 공격성 수준을 파악하고, 공격성을 완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학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된 자아탄력성에 대한 프로그램은 적극적으로 개발·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함의로는, 학대를 경험한 아동에 대한 개입은 정부 차원에서의 적극적 보호와 공공성 확대가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공 차원에서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정 내 학대 발견을 높이고, 학대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은 학대 의심사례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예방적 차원에서 상황과 사건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공적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아동학대 신고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학대를 경험한 아동·청소년에 대한 민간과 공공의 적극적 개입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앞으로 가정 내 학대에 의한 청소년 공격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환경을 조성하고, 근거 기반의 적절한 실천적 개입 방안이 모색되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domestic abuse experience on adolescents’ aggressiveness, and the moderating role of self-resilience and peer attachment (trust, communica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veness, in order to verify the importance of safe and sound environment during the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to provide evidece base for effective interventions to address the issue of domestic abuse and adolescents’ aggressiveness. The study set out to answer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Does the experience of domestic abuse affect adolescents’ aggressiveness?’; second, ‘Does the self-resilience play a role as a moderator in the pathway from abuse experience all the way to adolescents’ aggressiveness?’; and finally, ‘Does the peer attachmen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buse experience and adolescents’ aggressiveness?’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nd selected samples from its 2,002 middle school first-year students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the panel for seven years as of the 2010 survey). For this study, it employed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22.0, and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domestic abuse had a positive (+) effect on adolescents’ aggressiveness. That is, it proved that the more adolescents experience domestic abuse, the higher their level of aggression is. Second, it showed that self-resilience had a negative (-),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buse experience and adolescents’ aggressiveness, and that this moder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we found that among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abuse, those who have higher self-resilience show lower level aggressiveness compared to those who have lower self-resilience. Third, in our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in terms of trust and commun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buse experience and adolescents’ aggressiveness, we found that both factors (trust and communications) had a negative (-) impact, and yet,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to say, it showed that the fact that adolescents have a high level of attachment to their peers does not guarantee the reduction in the effect of domestic abuse on aggressivenes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of all,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it has provided the evidence stressing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s that are focused on early stage of adolescence, by conducting in-depth analysis of the first-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Also, by limiting abusers only to parents and other domestic caregiver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raw attention to the domestic abuse issue which is hard to detect and has the potential to result in many other social problems, including passing down the abus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Next,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ts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for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domestic abuse to lead a healthy and fulfilling life, we consider developing programs that can examine the level of aggressiveness among adolescents and provide support for those who show high level of aggressiveness. Especially, given this study’s finding demonstrating the important buffering role of self-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domestic abuse experience and adolescents’ aggressiveness, it is needed to develop programs that promote and strengthen self-resilience. Finally, this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to address domestic abuse and help children and youth who have experienced such abuse, it requires an active involvement of the government, intervening to prevent and protect children and youth. For instance, the government may consider measures, by employing big data, to improve the sensitivity of detecting domestic abuse cases, and to systematically monitor the high-risk groups to tackle in a timely manner.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increase in child abuse cases reported in recent years.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an urgent imperative for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to address the issue, particularly ways in which we help children and youth who have experienced abuse. In this regard, it is needed follow-up research on domestic abuse and adolescents’ aggressiveness, so that we as a society find an effective way to tackle such issue with evidence-based interventions, and by doing so, ensure a healthy and safe environment for children and you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