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정 의문문 간접 화행 연구

Title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정 의문문 간접 화행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direct speech acts of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in Korean learning materials
Authors
최다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서의 부정 의문문 제시 양상을 파악하여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부정 의문문 간접 화행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교육 방안 마련과 관련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데 비해 실제 교육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자체에 관심을 두고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을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2장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진 여러 논의를 바탕으로 부정 의문문과 간접 화행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을 살펴보고 실제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부정 의문문의 다양한 유형과 간접 화행 기능을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부정 의문문 유형 여섯 가지(안+용언, 못+용언, 용언의 어간+ -면 안 돼?, 용언의 어간+ -지 않아?, 용언의 어간+ -는 것 아니야?, 명사+ -아니야?)와 간접 화행 기능 여섯 가지(추측, 확인, 동의 요구, 강조, 제안 및 요청, 명령)를 구성하고 교재 선정 기준에 따라 3종의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였다. 또한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분석을 위한 기준과 분석 방법을 밝혔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정 의문문의 유형과 간접 화행 기능을 분석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는 한국어 교재의 숙달도별, 한국어 교재별 특징,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3종의 한국어 교재에서 총 330회의 부정 의문문이 출현하였다. 그 중 ‘용언의 어간+ -지 않아?’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어 교재 3종에서 나타난 부정 의문문의 유형과 화행 기능이 교재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별로 살펴본 결과 ‘추측’기능이 가장 많이 제시되고 있고 ‘명령’기능은 낮은 빈도로 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한계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에 제시되어 있는 부정 의문문과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을 살펴보았다는 점과 한국어 교재별·한국어 교재의 숙달도별·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기능별로 분석 결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한국어 부정 의문문의 간접 화행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기를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이고 다양한 교육 자료와 교육 방안이 개발되어 한국어 학습자의 부정 의문문 학습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ay out ways in which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presented in Korean learning materials in hopes to help develop basic teaching materials on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negative interrogatives for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o do so,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the non-interrogative sentences in the selected learning materials were analyzed. The description of each chapter is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purpose and the need of the study, as well as relevant findings from empirical research.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show that there already is a plethora of discussion on effective ways of teaching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to learner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analyzed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based on the teaching materials that are actually utilized in practice. Chapter 2 discusses relevant theories on negative interrogatives and indirect speech acts from previous research, and establish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study. The chapter also presents a variety of forms in which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used and their intended speech act functions in those contexts. In Chapter 3, six forms of negative interrogatives(안+용언, 못+용언, 용언의 어간+ -면 안 돼?, 용언의 어간+ -지 않아?, 용언의 어간+ -는 것 아니야?, 명사+ -아니야?) and their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are constructed, and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three different kinds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are presented. The criteria and methods of analyses used for examining the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also laid out. Chapter 4 pres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s and their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as presented in the learning materials. The findings of the analyses are presented in three categories: the expected proficiency in Korean of the learner for whom a given learning material is inten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materials; the specific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s. A total of 330 negative interrogative sentences appeared in the three different learning materials analyzed. This chapter elaborates on the most frequently used negative interrogativ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lso indicate that there are noticeable disparities between the learning materials in term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s which they contain and their intended speech act functions. Lastly, the findings also show that, of the speech act functions the negative interrogatives are expected to serve, the 'suspecting' function appeared to be most frequent, while the 'commanding' function is least frequently presented in the materials. Lastly, Chapter 5 present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s well as its limitations. By examining a number of Korean learning materials in terms of disparities in negative interrogatives and their intended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across different characteristics, expected proficiencies of the intended learners, as well as intended indirect speech act functions of the negative interrogatives, the current study hopes to have some utility in developing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to facilitate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the Korean language, particularly in the area of negative interrogativ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