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정서표현양가성과 주관적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Title
정서표현양가성과 주관적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o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hors
이수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현정
Abstract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만 19~35세 성인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과 기본심리욕구, 주관적안녕감과 우울의 관계를 분석하고, 정서표현양가성과 주관적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그 과정에서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변인인 자율성욕구, 유능성욕구, 관계성욕구 중 매개효과가 있는 변인을 각각 탐색해 청년층의 정신건강에 대한 구체적 개입 방법을 모색하고, 이들이 적응적인 삶을 살아가는데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35세 이하 성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 척도, 기본심리욕구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정서 척도 및 우울 척도가 포함된 질문을 포함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정서표현양가성, 기본심리욕구, 주관적안녕감 및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SPSS 24.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간 상관분석 결과, 정서표현양가성은 기본심리욕구, 주관적안녕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우울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한편, 기본심리욕구와 그것의 하위 차원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욕구는 모두 주관적안녕감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우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안녕감을 결과변인으로 하는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자율성욕구는 정서표현양가성과 주관적안녕감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유능성욕구와 관계성욕구는 정서표현양가성과 주관적안녕감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우울을 결과변인으로 하는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자율성욕구는 정서표현양가성과 우울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능성욕구와 관계성욕구는 정서표현양가성과 우울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높은 정서표현양가성은 긍정적 정신건강의 차원인 주관적안녕감은 낮추는 한편, 부정적 정신건강의 차원인 우울은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기본심리욕구는 둘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욕구는 정서표현양가성이 주관적안녕감으로 가는 경로와 우울로 가는 경로 모두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고, 유능성욕구와 관계성욕구는 정서표현양가성이 주관적안녕감과 우울로 가는 경로 모두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욕구 모두 정서표현양가성과 주관적안녕감 및 우울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가지지만, 자율성욕구를 거친 간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structure fo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Also, it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relation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mental health including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Surveys were given to adults from 19 to 35 years old, and 300 responses that were fully answered were used in analysis. Using SPSS 24.0 and Amos 22.0,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The main findings are listed below.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measured variable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Secondly,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significant in research model 1, which contain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need for autonom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need for competence and the need for relatedness, on the other hand, made the partial mediation. Thirdly,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also significant in research model 2, contain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depression. The need for autonomy, also, made full mediation, and the need for competence and relatedness made partial mediation in this model. This study identifi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d not only between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also between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depression. Among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nly the need for autonomy made full mediation in both models, while others made partial mediation, it infers that the indirect effect of need for autonomy is bigger than that of need for competence and related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