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및 누리과정 운영 시 창의성 교육의 실제

Title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및 누리과정 운영 시 창의성 교육의 실제
Other Title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Recognition on Creativity Education for Children and Actual Practice of Creativity Education in Managing Nuri Curriculum
Authors
전지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n the creativity education for children and actual practice of the creativity education in managing Nuri Curriculu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can be raised: 1. How do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the creativity education for children? 2. What is the actual practice of the creativity education when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anage Nuri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201 teachers as subjects, who work in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he questionnaire used as a study tool was corrected and complemented by the researche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previous studies. It consisted of a total of 17 items which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tems for general backgrounds; those for the recognition on the creativity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ose for actual practice of the creativity education in managing Nuri Curriculum.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produc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item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that classroom teachers’instruction through Nuri Curriculum is more desirable for managing the creativity education, than programs provided by external institutions or instruction conducted by external instructors. They also recognize that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s more useful for the creativity learning for teachers, than university education, for periods, and that some types such as job training, training supervised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related books and materials issued by Office of Education are often helpful for it. Some contents are recognized to be highly useful for actual practice of creativity, but less useful for the theory of creativity. An excessive number of children per class is recognized as most serious difficulty and multiple difficulties are also recognized in terms of lack of affordable time, teaching methods, insufficient teaching materials and lack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creativity. Seco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often reflect sub-factors of the creativity in managing Nuri Curriculum: cognitive, motivational and dispositional factors, in order. Especially, they more often reflect divergence of thought than convergence of it, both of which are among cognitive factors. Art and physical activities of small and large groups provide more supports to development of creativity, while children’s verse and cooking activities provide relatively less supports to it. As free choice activities, role play provides greatest supports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followed by fine art, and then block-play, and a number·manipulation activity provides minimal supports to it. The appropriateness of creativity education is often tested for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while teaching materials, utilization of education instruments, promo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evaluation of creativity using various methods are less often tested. Observation of individual children’s creative disposition and the interaction, an informal evaluation method are often used, and the portfolio is partly used. Although the results of an evaluation of individual children’s creativity are often used as data for the education for children or interviews with parents, they are not actively used for drawing up students’cumulative records and evaluation feedback for the effective creativity education is less often used.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seek out some measures to activate the creativity learning for teachers, by reflecting in-service teachers’ specific needs for the creativity learning, by periods, types and contents. In light of actual practice of the creativity education for teachers in this study, the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balanced according to a constructive direction of Nuri Curriculum.;본 연구는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창의성 교육의 실제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공립유치원 교사의 누리과정 운영 시 창의성 교육의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공립유치원 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사용된 설문지는 문헌 조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일반적 배경에 관한 문항,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문항, 누리과정 운영 시 창의성 교육의 실제에 관한 문항 3개의 범주로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에 따라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의 운영에 대해 외부기관 제공 프로그램이나 외부강사 지도보다는 누리과정을 통해 담임교사가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학습의 도움 정도에 대해 시기별로는 현직교육이 대학교육보다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며 유형별로는 직무 연수, 시도교육청 주관 연수, 관련 서적, 교육청 발간 자료가 주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별로는 창의성 실제에 대한 도움 정도는 높게 인식하나 창의성 이론에 대한 도움 정도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교육에 있어 학급당 유아수 과다를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시간적 여유, 교수방법, 교수자료 부족, 창의성 관련 교육 기회 부족 등 다각적인 면에서 어려움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누리과정 운영에서 학습 지도 시 인지적 요소, 동기적 요소, 성향적 요소 순으로 창의성 하위요소를 많이 반영하며 인지적 요소 중 사고의 수렴보다는 사고의 확장을 많이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소집단 활동으로 미술 활동, 신체 활동에서는 창의성 발달을 많이 지원하나 동시, 요리 활동에서는 창의성 발달을 비교적 적게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으로 역할놀이, 미술, 쌓기 놀이 순으로 창의성 발달을 많이 지원하며 수·조작 활동에서는 창의성 발달을 가장 적게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 교육 적합성 검토는 교수방법, 교육목표 및 내용에서 주로 실시하며 교수매체·교구 활용, 교육 환경 조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창의성 평가에 대한 검토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유아의 창의적 성향에 대해 관찰과 상호작용이라는 비형식적인 평가 방법을 주로 활용하며 포트폴리오도 일부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유아의 창의성 평가 결과를 유아지도, 부모 면담자료로 주로 활용하나 생활기록부 작성에는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으며 효과적인 창의성 교육을 위한 평가의 환류는 낮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창의성 학습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시기별, 유형별, 내용별 구체적인 요구도를 반영하여 창의성 교사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창의성 학습 실제에 비추어 창의성 교육이 누리과정 구성 방향에 따라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