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Title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Other Titles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 with Infant
Authors
방은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전반적인 경향과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은 어떠한지 를 알아보고,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 였다. 1.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국⦁공립 및 직장 어린이집의 학부모 중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를 측정하기 위해 김기현, 강희경(1997)이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김하나 (2018)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Macphee(2002)가 어머니의 양육지식 측정을 위해 개발한 표준화된 도구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KIDI)를 이시연(2017)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을 측정하기 위해 최형성, 정옥분(2001)이 개발한 ‘양육효능감 척도’를 수정·보완하 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 백분율, 최저점, 최고점,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 며,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하 위요소별로 살피면, 자녀양육으로 인한 일상적 스트레스, 부모역할에 대한 부담 및 디스트레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양육지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 으며,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소별로 살피면, 건강하게 양육하는능력이 가장 높았으 며, 다음으로 의사소통능력, 학습지도능력, 훈육능력, 전반적인양육능력 순으로 나 타났다. 둘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과의 관 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소는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양육지식과 양육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소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육효능감 전체에서는 부모역할 스트레 스와 양육지식이 영향을 주었으며, 하위요소별로는 전반적인 양육능력, 의사소통 능력, 건강하게 양육하는능력에는 부모역할스트레스, 양육지식이 영향을 주었으며, 훈육능력에는 양육지식이, 학습지도능력에는 부모역할스트레스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의 관계 및 영향을 밝힘으로써,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양육효능감을 가지고 자 녀를 양육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양육지식을 통해 양육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부모교육 및 부모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and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as well as seek efficient ways to improve their parenting efficacy. To this end, this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2. What is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3. What is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0 mothers of infants among parents of national⦁public and workplace nurseries in Seoul, and used the ‘parenting stress scale’ developed by Kim Ki-Hyeon and Kang Hee-Kyung for measuring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infants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Kim Ha-Na(2018). This study used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KIDI), developed and standardized by Macphee(2002) to measure parenting knowledge of mothers of infants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Lee Shi-Yeon(2017).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calculated frequency, percentage, lowest score, highest scor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conduct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Also,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and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general tendency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are as follows. The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infants were generally at higher level in the order of general stress by raising children, burden of parental role, and distress. Also, parenting knowledge was high in general, and the whole and subfactors of general tendency of parenting self-efficacy were all at higher level. For subfactors of parenting self-efficacy, ability to raise children health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ommunication ability, teaching ability, training capacity, and general child-rearing ability.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the whole and subfactor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self-efficac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whole and subfactors of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of mothers of infants, the whole parenting self-efficacy made effects 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made effects on general parent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ability to raise children healthy, and parenting stress made effects on parenting knowledge and learning ability.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practical help for raising children for mothers of infants with parenting self-efficacy by identifying effects and a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infants, to reduc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of infants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are necessary for improving parenting self-efficacy through parenting knowled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