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샛별-
dc.contributor.author김수정-
dc.creator김수정-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17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17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9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95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112-
dc.description.abstractWhile Social and academic importance of cultural policy is widely recognized in contemporary society, Korean cultural policy is studded with it’s complexity, confusion, and the problem has been intensified due to the loss of public confidence in national cultural policy.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problem solving starts from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problem, this study aimed to trace back to why the Korean cultural policy has become disorderly, instead of striving for the complexity and confusion of 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power, a point of view provided by the sociology of culture and tried to adopt a new perspective for the study on Korean cultural polic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unique trajectories of Korean cultural policy history and intended to find out what aspects of it caused present problem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took into consideration not only the Korean cultural policy itself, but also the transnational context surrounding it in order to better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al policy.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trajectories of cultural discourse, French cultural policy and UNESCO’s cultural policy which have been centered on western academia. Piecing these discussions together, this study analyzed the cultural policy trends shared at the transnational level. On the basis,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Korean cultural policy with respect to the transnational context, and figured out how it does or does not correspond with it a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power appears in the process. As a result, the viewpoint of culture at the transnational level evolved in two directions: 1) from cultural universalism in recognition of only a single culture to cultural relativism in which the concepts and values of various cultures are comprehensively acknowledged, and 2) from emphasizing the spiritual effects of culture to it’s economic and social effects. This process took place persistent across time, actively reflecting the history of Western society and the power struggle from below to resist elitism of the ruling class served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this change. While the history of Korean cultural policy in line with the transnational trend in terms of it’s appearance, but it shows great disparity in the speed and driving force of change. While the French cultural policy and UNESCO have expanded itself by adopting broader concepts of culture, Korean cultural policy has been utilized politically under the military regime that lasted for 30 years. Thus it’s development has been seriously delayed. Moreover, another problem was that from the 1990s onward, Korean cultural policy has adopted the cultural policies of developed countries and UNESCO imprudently an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key impetus behind this process was the government’s intention to achieve political and economic goals by leveraging the pressure of globalization and to be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Korean cultural policy has been formed through the history of delay and compression. Bringing about various side effects, it has been led to today’s chaotic situ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his study tried to broaden the field of study by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culture including the concepts of culture and power and drawing varied results that can not be carried out in other fields of cultural policy study. Second, this study has extended the level and scope of analysis to the transnational level and overca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on Korean cultural policy history. It laid a meaningful foundation for the research on transnational cultural policy, which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ird, not only doe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re is a common macro-context that encompasses cultural policies around the world, but also it provides a reference point for conducting further research on domestic and foreign cultural policies.;이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문화정책이 갖는 사회적·학문적 중요성과 더불어 현재 한국 문화정책에 부가된 복잡성 및 혼란성의 문제와, 국가 문화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 하락이라는 위기상황 속에서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는 연구 배경과 필요성 아래 수행되었다. 문제의 해결은 문제의 본질을 온전히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는 인식을 토대로, 한국 문화정책의 복잡성과 혼란스러움에 천착하는 대신 왜 한국 문화정책이 이토록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는가를 역으로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문화-권력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한국의 문화정책에 대한 새로운 조망을 시도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 문화정책사가 밟아온 독특한 궤적을 살펴보고, 한국 문화정책의 어떠한 특성들이 현재의 문제를 야기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질적인 분석에 있어서는, 한국 문화정책의 특성을 더욱 잘 포착해내기 위해 한국 문화정책만을 따로 떼어 살펴보지 않고 문화정책을 둘러싼 초국적 맥락까지를 함께 고려하였다. 먼저, 서구 학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온 문화담론과 프랑스 문화정책, 그리고 유네스코의 문화정책이 각각 어떤 식의 궤적을 그리며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종합하여 초국적 수준에서 공유되고 있는 문화적·문화정책적 흐름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문화정책의 역사가 문화정책을 둘러싼 초국적 맥락과 어떻게 조응하고 또 조응하지 않는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문화와 권력의 관계가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초국적 수준에서 문화를 바라보는 관점은 공통적으로 단일한 문화만을 인정하는 문화보편주의의 관점에서 다양한 문화의 개념과 가치의 상대성을 포괄적으로 인정하는 문화상대주의의 관점으로 발전하였고, 문화의 정신적 효과를 중시하던 것에서 그것이 갖는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효과까지를 강조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 같은 변화 과정은 서구사회의 역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속에서 충분한 시간에 걸쳐 진행되었고, 지배계급의 엘리트주의에 저항하는 아래로부터의 권력 투쟁은 변화를 야기한 중요한 추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반면에 한국 문화정책의 역사는 외형적인 측면에서 초국가적 흐름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으나, 변화의 진행 속도와 추동력 면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프랑스와 유네스코의 문화정책이 그 외연을 확장하며 광의의 문화개념을 채택하는 동안, 한국의 문화정책은 30년 간 이어진 군부정권 아래 정치적으로 활용되며 그 발전이 심각하게 지연되었다. 또한 1990년대부터는 선진국 대열에 합류하고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기 위해 한국적 실정에 대한 고려 없이 긴 시간의 시행착오를 거쳐 형성된 해외 선진국 및 유네스코의 문화정책을 단기간에 걸쳐 압축적으로 도입함으로써 급속한 변화의 과정을 겪었다. 세계화의 압력과 문화정책을 활용해 정치적·경제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도는 이 같은 과정에 핵심적인 추동력이 되었다. 그리고 지연과 압축의 역사를 거쳐 형성된 한국 문화정책은 다양한 부작용들을 야기하며 오늘날의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 연구는 첫째, 그간 주로 행정학 분야에서 행정체계에 초점을 맞춰 수행되어 오던 문화정책 연구를 문화와 권력이라는 커다란 문화사회학적 시각으로 새롭게 조망하여 타 학문분야에서는 포착해 낼 수 없는 다양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시도했다는 점, 둘째, 한국 문화정책사 분석에 있어 분석의 수준과 범위를 초국적 차원으로까지 확장하여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점차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초국가 문화정책연구를 위한 의미 있는 초석을 다졌다는 점, 셋째,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전 세계의 문화정책을 아우르는 공통의 거시적인 맥락이 존재함을 밝혀 향후 국내 문화정책의 특징을 비롯한 해외 문화정책 연구 수행에 하나의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필요성: 왜 지금, 문화정책인가 1 B. 연구의 목적 5 C. 논문의 구성 6 II. 이론적 배경 10 A. 문화와 문화정책 10 1. 문화의 개념과 가치 10 2. 문화정책의 개념과 특징 18 B. 문화와 권력, 그리고 문화정책 26 1. 문화와 권력 관계의 역사와 긴밀성 26 2. 초국가적 맥락에서의 문화와 권력 30 C. 문화정책 연구의 경향과 특징 36 1. 문화정책 연구의 흐름 36 2. 국내 문화정책 연구의 특징과 한계 39 D. 분석의 틀 48 1. 문화정책을 둘러싼 초국가적 맥락 49 2. 연구방법 및 내용 56 III. 문화정책의 초국가적 맥락 63 A. 학문영역에서의 문화: 서구유럽 엘리트 문화에서 취향문화로 63 1. 1960년대 이전: 순수예술과 정신의 고양 63 2. 1960년대 이후: 문화적 위계의 붕괴와 문화 가치의 자본화 70 3. 학문 영역에서의 문화담론의 특징과 시사점 77 B. 프랑스 문화정책: 엘리트 문화의 보급에서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증진으로 80 1. 프랑스 문화정책의 변곡점 80 2. 엘리트 문화의 보급 81 3. 대중예술의 활성화와 문화적 다양성의 증진 92 4. 프랑스 문화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102 C. 유네스코 문화정책: 협의의 문화에서 문화다양성으로 104 1.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논의 발달과정 104 2. 1980년대 이전: 협의의 문화 107 3. 1980년대 이후: 문화다양성 114 4. 유네스코 문화정책의 특징 및 시사점 119 D. 종합: 문화정책의 초국가적 맥락에서의 공통적 흐름 121 IV. 한국 문화정책 126 A. 한국 문화정책의 발전 단계 126 B. 문화와 정치: 민족문화의 보호와 대중문화 통제(1990년대 이전) 130 1. 1960년대 이전: 문화적 해체와 국가 정체성의 위기 130 2. 1960년대 이후: 정권 정당성의 결핍과 대중문화 통제 136 C. 문화와 경제: 문화산업 제일주의와 문화 다양성(1990년대 이후) 160 1. 1990년대: 한국 문화정책의 압축적 현대화의 시작 160 2. 2000년대 이후: 한국 문화정책의 혼란 가중 180 D. 종합: 한국 문화정책의 특징과 초국가적 맥락과의 조응성 198 V. 결론 205 참 고 문 헌 214 ABSTRACT 2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05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문화사회학적 시각으로 바라본 한국 문화정책사, 1910-2016-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History of Korean Cultural Policy from a Perspective on Sociology of Culture, 1910-2016-
dc.creator.othernameKIM, Su Jung-
dc.format.pageviii, 23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