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6 Download: 0

기술 변화가 한국의 일자리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기술 변화가 한국의 일자리 양극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Technological Changes on Job Polarization in Korea
Authors
임나연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기석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how technological changes have influenced the job polarization in Korea, based on the RBTC hypothesis suggested by Autor et al(2003) and the subsequent studies. By employing computer use rate data as a proxy of technological changes,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changes and the job polarization in Korea empirically. By using the Informatization Statistical Survey data from 2005 to 2016 and the raw data from the wage structure parts of the Survey on Labor Conditions by Employment Types from 1980 to 2016, this paper mainly conducts OLS and Panel Fixed Effect model estimation. Also, by using instrumental and lagged variables, this paper tries to address the reverse causality probl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uter use rat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hare of high-skilled employment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middle-skilled employment.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mputer use rate and the share of low-skilled employment. These results fit well the expectation of RBTC hypothesis and therefore suggest that technological changes can be an important factor which explains the job polarization in Korea.;본 연구는 Autor et al(2003)과 그 후속 연구들이 제시한 RBTC 가설을 바탕으로 기술 변화가 한국의 일자리 양극화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해보고자 하였다. RBTC(Routine Biased Technological Change) 가설에 따르면 기술 변화는 정형화된 업무를 주로 수행하는 중숙련 일자리를 감소시키고, 정형화되지 않으면서 지적인 능력을 요하는 고숙련 일자리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일자리 양극화 현상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력이나 임금 수준이 아닌 업무 특성에 따라 일자리를 고/중/저숙련 일자리로 분류한 후, 정보화통계조사가 제공하는 산업-기업규모별 컴퓨터 이용률 데이터를 기술 변화의 대리변수로 이용하여 기술 변화와 각 숙련도별 고용비중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의 정보화통계조사 데이터와 1980년부터 2016년까지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임금구조부문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산업-기업규모를 단위로 cross-sectional 분석과 패널 분석을 실시하였다. Cross-sectional 분석에서는 OLS 추정을, 패널 분석에서는 패널 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역의 인과관계(reverse causality)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분석에서 도구변수와 시차변수를 이용해 추가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 이용률은 고숙련 고용비중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중숙련 고용비중과는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저숙련 고용비중과는 아무런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RBTC 가설이 예상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러한 결과는 컴퓨터 이용률이 높아질수록 고숙련 고용비중은 증가하고, 중숙련 고용비중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해 한국에서도 기술 변화가 일자리 양극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