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1 Download: 0

한국 전통자수의 현대적 활용 연구

Title
한국 전통자수의 현대적 활용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modern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 focusing on making embroidery Bojagi
Authors
허윤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has been started for the purposes of making clothes and adding decorations, which later developed as religious beliefs to make wishes or as representation of class and identity. Before Three Kingdoms Period in Korea , Korean embroidery has used threads of diverse colors on the base cloth, containing the content of comfort and blessings. This is valuable as a cultural asset projecting the aesthetics of our nation's values and emotions. Bojagi was used to store and carry goods in daily life and was used in a various way such as for the formal ritual expression and the religious wish. The pattern used in Bojagi is significant as a symbolic artwork of hope and wish. In particular, embroidery Bojagi, which is a combination of various patterns and colorful colors, is a work of art in which women's identity and aesthetic sense are expressed. The patterns used in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contain the incantatory meaning of folk religion such as longevity, wealth, having many sons, and blessings. This can be seen as a manifestation of willingness to heal various conflicts, bitterness, and suffering in real life through the act of embroidering, while cleansing emotions by ejecting repressed desires in subconsciousness. In addition, the traditional color perspective assigned conceptual meaning to every color and was combined with ritual elements. The aesthetics and feelings embodied in this national sentiment were reflected in color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and embroidery Bojagi. In this study, embroidery Bojagi was made as a work for the modern use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The research methods include studying literary and empirical research to ascertain relics, as well as using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art, culture, and design for the modern application. The study consisted of the following. Chapter II is a study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to establish its cultural traditionality and to lay the foundations for its systematic theories. Chapter III is a study to search for the ways how embroidery Bojagi can be used for the modern use through studying its symbolic meaning of pattern, color, embroidery technique in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which has a value as a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research in Chapters Ⅱ and Ⅲ, Chapter IV reinterprets the modern representation of the design, materials, techniques and colors based on the ideas and emotions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and embroidery Bojagi. By making embroidery Bojagi using traditional embroidery technique, this study seeks the ways for modern succession and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theoretical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will be expanded to have a new recognition of its artistic value and to develop into a field of Contemporary plastic art;한국 전통자수는 옷을 만들고 장식을 더하는 것에서 시작되어 미의 추구와 함께 소망 성취의 신앙적 기원, 계급과 신분 표시를 위한 목적으로 발전되었다. 역사적으로는 삼국 시대 이전부터 다양한 색채의 실(繡絲)로 현세의 안락(安樂)과 복락(福樂)기원의 문양을 바탕감에 수놓아 생활전반에 사용함으로써 민족의 가치관과 정서를 담은 문화적 자산으로 그 가치를 지닌다. 보자기는 물건을 포장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생활용품으로 예절과 격식을 갖추는 의례적 표현이나 신앙적 기원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보자기에 사용된 문양은 소망과 기원을 담은 상징적 조형물로 그 의미가 있는데, 특히 여러 가지 문양과 화려한 색상으로 조형적 아름다움을 더한 수보(繡褓)는 여성의 정체성과 미의식이 발현된 예술품으로 가치를 지닌다. 수보에 주로 사용된 장수(長壽), 부귀영화(富貴榮華), 다남(多男), 다복(多福) 등의 문양은 복락기원(福樂起源)적 민간 신앙의 주술적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많다. 이는 수를 놓는 행위를 통해 잠재의식 속에 억압되어 있는 욕구를 분출시키면서 감정을 정화시키는 한편, 현실생활 속에서 겪는 다양한 갈등과 괴로움, 고통을 치유하고자 한 의지의 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전통적 색채관은 선사 시대로부터 모든 색에 관념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제액초복(除厄招福)을 꾀한 제례적 요소가 결합되어 자연스럽게 민족정서에 담긴 미의식과 정감이 한국 전통자수와 수보의 색채표현으로 이어져 왔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자수의 현대적 활용을 위하여 수보를 작품으로 제작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유물들을 고증하기 위한 문헌 연구와 실증 연구, 그리고 현대적 활용으로 접근하기 위해 예술 및 문화, 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여 활용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Ⅱ장은 문화적 전통성을 확립하고 체계적인 이론 정립의 기반을 다지기 위한 한국 전통자수의 기원과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Ⅲ장은 수보에 표현된 문양과 색채의 상징적 의미, 자수 기법의 연구를 통해 문화자산으로서 가치를 지닌 한국 전통자수가 현대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한 연구이다. Ⅳ장은 Ⅱ장과 Ⅲ장에서 연구된 한국 전통자수와 수보 안에 내재해 있는 사상과 정서를 바탕으로 디자인과 재료, 기법, 색채가 현대적 표현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재조명하였다. 아울러 전통 자수기법으로 수보를 제작하여 현대적 계승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에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전통자수에 관한 이론적 연구가 좀 더 확대되어 예술적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고, 작품의 전통의 현대화 작업을 통해 자수가 현대 조형예술의 한 영역으로 더 한층 발전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