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학교유형에 따른 여자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Title
학교유형에 따른 여자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 및 자기효능감
Other Titles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Types of Schools
Authors
이은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공학 중학교의 여학생과 여자중학교 학생 간의 체육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고, 체육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체육수업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있는 남녀공학 중학교 여학생과 여자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로, 설문지 방법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것으로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565부의 설문지를 Window용 SPSS V24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와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하였고, 차이 검증과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학교유형에 따른 여자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유형에 따른 여자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는 여자중학교의 학생이 남녀공학의 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사지도, 수업내용, 수업효과, 수업환경 만족도 모든 요인에서 여자중학교 학생의 만족도가 남녀공학 학생의 만족도보다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지도 만족도를 제외한 3개의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학년에 따른 여자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1학년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유형에 따른 여자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은 남녀공학 학생과 여자중학교 학생 간에 부분적인 차이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과제난이도조절효능감은 여자중학교 학생이 더 높았으며,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여자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살펴보면 자기조절효능감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사후검증을 한 결과, 1학년이 2, 3학년보다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유형에 따른 체육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면 남녀공학 여학생의 경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 요인이 체육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과 상관이 있고, 여자중학교 학생의 경우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조절 효능감,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모두 체육수업만족도 하위요인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유형에 따른 체육수업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녀공학 여학생의 경우, 수업효과 만족도가 과제난이도조절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도 만족도와 수업효과 만족도는 자기조절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중학교 학생은 수업효과 만족도가 과제난이도 조절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지도 만족도와 수업효과 만족도는 자기조절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중학교 학생의 경우 자신감 요인에 있어 남녀공학 여학생과 차이가 있었다. 남녀공학 여학생의 경우 체육수업 만족도는 자신감 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여자중학교 학생은 수업효과 만족도가 자신감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여자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은 학교유형에 따라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수업의 지향점을 생각할 수 있다. 양성을 고려한 체육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다양한 기능 수준의 학생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특히 남녀혼성 체육수업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양성의 특징과 체육수업에서의 효과를 고려하여 체육교육과정이 계획운영되어야한다. 체육수업만족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청소년기 체육수업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등 일상생활 태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중등학교의 체육수업은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지도방법, 수업 프로그램, 환경 등을 구성해야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elf-efficac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co-educational middle schools and girls' middle schools(non-coeducation). Also, this study aimed to develop efficient physical education programs, which will induc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elf-efficac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set up a plan to encourages active participation of female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604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hich were 305 from co-educational middle schools and 299 from girls' middle schools. Finally, the data of 565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which had 40 questions consisted of four background ones (school types, grades, contents of course, preferred contents of course), twenty one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eaching, contents of course, effects of course, and classroom environments), sixteen ones about self-efficacy(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regulatory efficacy, self-confidence). Cronbach's α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test and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correlation and difference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self-efficac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with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educational students in all the factors such as teaching, contents of course, effects of course, and classroom environmen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nts of course, effects of course, and classroom environments.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first graders in all sub factors. Second, self-efficac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ype of school showed partial differences between co-educational middle school students and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Among the sub factors of self-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ory efficacy and self-confidence. Self-efficacy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 self-regulatory efficacy.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 first graders showed higher self-regulatory efficacy than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the self-efficacy according to school type was as follows. In case of co-educational students, satisfaction of class effects was found to affect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class effects was found to affect self-regulatory efficacy. In case of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lf-confidence from that of co-educational students. In case of co-educational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did not affect the self-confidence, but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the result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effect affected self-confidence. As a summary of the above results, the satisfaction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higher in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fluence of each sub factor of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was higher too.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rogram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learners should be required and the curriculum which the students with various motor abilities can actively participate should be needed. Considering the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on self-efficacy, positive experiences in adolescent physical education class can affect daily life in part. Therefor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secondary school should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differences of students and should develop teaching methods, class programs and environ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