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은진-
dc.contributor.author김다운-
dc.creator김다운-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11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11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4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42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81-
dc.description.abstractGeminates, a sequence of identical consonants, have been subject to acoustic investigations mostly in languages which have durational contrast in their phonemic invento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geminate consonants could be applied to English and Korean. Most previous studies share the idea that the closure duration of consonants serves as distinctive phonetic cue and produces longer duration than that of corresponding singletons (e.g., Pickett et al., 1999; Catford, 2001). In addition to studies on how the geminate consonants are phonetically distinctive, many researchers have been interested in how the difference between types of geminates will be phonetically realized. Most studies di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ngth depending on the type of geminates (e.g., Lehiste et al., 1973; Lahiri & Hankamer, 1988; Catford, 2001). Recent studies, however, have attempted to categorize geminate typ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theories such as lexical phonology and morpholog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geminates across different morphological boundaries and how they vary in relation to their boundary types were also examined.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within the recent discourse related to the geminate types. Two produc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male speakers who speak English or Korean as their mother tongue. The length of the closure duration of singletons and geminates was compared to find out if there is a length contrast.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phonetic realization was examined by subdividing the geminate consonants into four types – word internal geminate (WIG), morpheme boundary prefix geminate (MPG), morpheme boundary compounding geminate (MCG), and word boundary geminate (WBG) – according to their morphological boundaries. The effects of manner of articulation (nasal vs. stop) and focus condition (focus vs. no focus) were also consider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ength of geminate consona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singleton in both languages. This tendency i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findings on English nasal (e.g., Delattre, 1968, Kaye, 2005), Korean nasal (Yang, 2011; Kim, 2013; Kim & Bae, 2017) and Korean stop geminates (Yang, 2005; Kim & Oh, 2013). Thus, in both English and Korean, it is confirmed that the geminate consonants showed general tendency of lengthening (gemination) and dismissed the possibility of degemination. However, the two languages showed different patterns regarding phonetic realization of geminate types. In the case of English nasal geminates,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no phonetic difference depending on segmentability, supporting the claim of previous studies. Rather, morphological boundaries can explain possible classifications of geminate types. For English stop geminates, the tendency of degemination was observed among two types, WIG and MPG. This raises the possibility that different phonetic realization due to boundary strength may occur in English stops. As for the Korean nasal geminates, there was no duration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honological classification of true and fake geminates. Only the fact whether geminates occur across a word boundary or within a word affects the phonetic differences. La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ypes of Korean stop geminates. Overall, the tendency of gemination in both languages proved to be universal without being affected by manner of articulation or focus condition. Still, there was cross-linguistic variation in the phonetic realization of geminate types which were sorted out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boundaries.;본 연구의 목적은 중첩자음이 해당 언어에서 대응하는 단자음과 음소 대립을 하는 언어들에서 보편적으로 보이는 음성적 특징이 영어와 한국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고찰하는 데 있다. 기존의 중첩자음 연구에서는 자음의 폐쇄 지속 구간이 중첩자음의 변별적 단서로서 기능하며, 단자음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하게 장음화되는 경향을 밝혔다(Pickett et al., 1999; Catford, 2001 등). 조음 실험을 통해, 자음의 길이에 의한 음소 대립이 없는 영어와 한국어에서도 기저형에서의 중첩자음이 음향적으로 실현되는지를 확인하였다. 중첩자음이 음성적으로 어떻게 변별되는가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중첩자음의 음운적 분류에 따른 차이가 어떻게 음성적으로도 실현될 것인가에 대하여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는 중첩자음의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길이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는데(Lehiste et al., 1973; Lahiri & Hankamer, 1988; Catford, 2001 등), 최근에는 어휘 음운론적, 형태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해석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영어와 한국어 중첩자음의 음성 실현과 함께 중첩자음을 형태론적 경계에 따라 구분하여 이에 따른 음향적 차이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중첩자음의 유형화와 관련된 최근의 담론 속에서 형태론적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음 실험은 영어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남성 화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단자음과 중첩자음의 폐쇄 지속 구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중첩 여부 간에 길이 대조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중첩자음을 형태론적인 분류에 따라 어중 중첩자음(word internal geminate; WIG), 형태소 경계 접두사 중첩자음(morpheme boundary prefix geminate; MPG), 형태소 경계 합성어 중첩자음(morpheme boundary compounding geminate; MCG), 단어 경계 중첩자음(word boundary geminate; WBG)의 4개의 유형으로 세분화하여 길이 차이를 살펴보고, 중첩자음의 음운적 분류에 따른 특성을 음성적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조음 방법과 초점 부여 여부의 영향도 함께 고찰하였다. 영어와 한국어의 폐쇄 지속 구간에 대한 분석 결과, 두 언어에서 모두 중첩 여부에 따른 길이 대조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영어 비음 연구, 한국어 중첩 비음과 폐쇄음에 관한 연구의 주장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Delattre, 1968; Kaye, 2005; 양순임, 2005; 2011; 김유범ㆍ오재혁, 2013; 김태경, 2013; 김현ㆍ배현정, 2017 등). 이처럼 영어와 한국어에서는 중첩자음이 음성적으로 단자음화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기각하며 장음화의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첩 유형에 따른 길이 차이에 있어서는 두 언어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고, 이는 조음 방법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영어 비음의 경우, 기존 연구들의 주장을 지지하며 분절성에 따른 음성적 차이가 없음을 입증하였다(Oh & Redford, 2012; Oh, 2013; Hedia & Plag, 2017). 그러나 형태론적 분류에 따라서는 음성적으로 유형화가 가능하였음을 보여주었다. 영어 폐쇄음의 경우에는 어중 중첩자음과 접사에 의한 중첩자음의 경우 단자음화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는 분절성에 따른 음성적 차이가 폐쇄음에서는 나타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한국어 비음의 경우에는 전통적인 분류(진/가 중첩자음)에 따른 음성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단어 내부와 단어 경계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폐쇄음의 경우에는 중첩자음의 분류에 따른 음성적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어와 한국어에서 중첩자음은 조음 방법이나 발화 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음화(gemination)하며 보편적인 경향을 보이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중첩자음의 유형에 따른 음성 실현은 언어마다 각각 다른 기준으로 정립되고, 조음 방법에 따라서도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A. 중첩자음 4 1. 중첩자음의 정의 및 분류 4 2. 중첩자음의 길이 8 B. 중첩자음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3 1. 조음 방법 13 2. 발화 방식 및 발화 속도 16 3. 형태론적 경계 20 C. 선행 연구 21 1. 영어에서의 중첩자음 22 2. 한국어에서의 중첩자음 26 III. 실험 1: 영어 실험 34 A. 연구 방법 34 1. 실험 대상 34 2. 실험 자료 36 3. 실험 절차 40 4. 자료 분석 45 B. 실험 결과 46 1. 단자음과 중첩자음의 길이 대조 46 2. 형태론적 중첩 경계 유형에 따른 길이 차이 50 3. 초점 부여 여부에 따른 길이 차이 55 C. 논의 58 1. 길이 대조 58 2. 조음 방법 효과 58 3. 발화 방식 및 발화 속도 효과 59 4. 형태론적 경계 효과 61 IV. 실험 2: 한국어 실험 65 A. 연구 방법 65 1. 실험 대상 65 2. 실험 자료 66 3. 실험 절차 69 4. 자료 분석 73 B. 실험 결과 73 1. 단자음과 중첩자음의 길이 대조 74 2. 형태론적 중첩 경계 유형에 따른 길이 차이 77 3. 초점 부여 여부에 따른 길이 차이 82 C. 논의 85 1. 길이 대조 85 2. 조음 방법 효과 85 3. 발화 방식 및 발화 속도 효과 88 4. 형태론적 경계 효과 89 Ⅴ. 결론 92 참 고 문 헌 98 부록 1 영어 실험 자료 105 부록 2 한국어 실험 자료 106 ABSTRACT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115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00-
dc.title영어와 한국어 단자음과 중첩자음의 길이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ross-linguistic study on the duration of singleton and geminate consonants in English and Korean-
dc.creator.othernameKim, Dawn-
dc.format.pagex, 110 p.-
dc.contributor.examiner이승아-
dc.contributor.examiner윤영은-
dc.contributor.examiner오은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