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김영훈 | - |
dc.contributor.author | 권예슬 | - |
dc.creator | 권예슬 | - |
dc.date.accessioned | 2018-09-05T08:25:11Z | - |
dc.date.available | 2018-09-05T08:25:11Z | - |
dc.date.issued | 2018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150843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843 | en_US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80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rban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Seoul’s bath culture. Focusing on bath culture as part of daily life, the study would address the aspects of bath culture as life history. By looking into correlations between social changes based on administrative power around Seoul in the 1960s, 1970s, and 1980s and bath,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citizens, the study tried to shed clearer light on bath culture in the aspect of life history.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include Dong-A Ilbo, two women's magazines Yeowon and Woman Joongang, Seoul's Statistics Yearbook, and online data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parts about bath in the 1960s, 1970s, and 1980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Old books and papers were consulted in the analysis of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along with some proven Internet site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s of bath culture during the period on the contemporary Korean people. That is, it examined the patterns of community spirit, which is regarded as part of Korean people's unique sentiment, being displayed, changed, and incorporated with new values. The study was organized in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1 set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After sorting out previous studies on bath culture, it proposed what should be supplemented in previous studies and introduced specific subjects and methods of the study. Chapter 2 divided the bath culture of Korea before the 1960s into that of premodern times and that of modern times. After reviewing the bath culture of Three Kingdoms, Unified Silla, and Goryeo and the religious, ceremonial, and playful nature of bath, it examined partial bath in Joseon and bath culture as an annual event. It also covered the effects of the hygiene concept, which started during the modern times, and the situations of Japanese imperialism on bath culture. Chapter 3 delved into bath culture in the 1960s, 1970s, and 1980s, focusing on a bunch of elements that influenced bath culture during the period including urbanization, changing dwelling life, Seoul's urban planning, gender difference, Korean people's conscious structure, and changes to the concepts of hygiene and beauty. It also covered correlations between rapidly changing Seoul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and bath culture. Chapter 4 examined two public baths whose construction time matched the periodic scope of the study to figure out the influence of bath culture during the period on today's life and its current meanings. After observing the current state of their facilities, the investigator analyzed conversations with their staff members and visitors. Chapter 5 covered the spaces related to public baths like Chapter 4. The investigator explored and analyzed the spaces that lost their functions as baths and were used as regenerative architecture, figuring out their values preserved. Chapter 6 summarized the findings so far and discussed what lacked in the study in addition to future research tasks.;본 연구는 서울 목욕문화를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일상으로서 목욕의 문화에 주목하여 목욕문화의 생활사적인 측면을 다룰 것이다. 우선 1960-8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행정력에 바탕한 사회의 변화와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목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생활사 측면의 목욕문화를 더욱 명확히하고자 했다. 1차사료로서 『동아일보』, 여성잡지 『여원』, 『여성중앙』, 『서울통계연보』, 국가기록원 온라인 공개자료 등에서 1960-80년대의 목욕에 관한 부분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1차 사료의 분석에는 기존의 단행본과 논문 및 검증된 인터넷 사이트를 참고하였다. 또한 이 시기의 목욕문화가 현재의 한국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한국인들의 고유한 정서로 여겨지는 공동체 의식이 대중목욕탕 문화 내에서 드러나고 변화하며 새로운 가치와 융합되는 양상을 현재의 사회적 변동과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목욕문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정리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보완해야할 점을 제시하였다. 그것을 바탕으로 본고에서 다룰 구체적인 연구 대상과 방법을 밝혔다. 2장에서는 본격적인 도시화가 이루어지기 이전까지의 한국 목욕문화를 전근대와 근대로 나누어 살펴본다. 삼국과 통일신라 및 고려의 목욕문화와 목욕의 종교성, 의식성, 유희성 등을 검토하고, 조선의 부분욕과 연례행사로의 목욕문화를 살핀다. 또한 근대 시기 싹튼 위생관념과 일본 제국주의 상황이 목욕문화에 끼친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3장에서는 1960-80년대 서울의 목욕문화를 고찰한다. 이 시기의 서울 목욕문화에 영향을 미쳤던 요소로 도시화, 주생활의 변화, 서울시의 도시계획, 성별의 차이, 한국인의 의식구조, 위생과 미용 관념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급변하는 서울과 목욕문화의 상관관계를 언술한다. 4장에서는 과거의 목욕문화가 오늘날 우리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그 현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3장의 시대 범위와 건축 시기가 일치하는 대중목욕탕 2개를 선정하여 살펴본다. 목욕탕 시설의 현황을 관찰하고, 목욕탕 관계자·방문객과 나눈 대화를 분석하여 현재 사회상의 변화가 목욕문화에 반영되는 양상을 살핀다. 5장에서는 4장과 마찬가지로 대중목욕탕과 관련된 공간을 다룬다. 목욕탕의 기능은 상실했지만, 재생건축으로 활용되는 공간을 답사하고 분석하여 보존된 가치를 고찰한다. 6장에서는 앞의 내용을 요약하고 본고에서 부족했던 점과 추후의 연구과제를 살펴본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2 C. 연구의 대상 및 방법 5 Ⅱ. 1960년대 이전의 한국 목욕문화 7 A. 전근대 7 B. 근대 10 Ⅲ. 1960-80년대의 목욕문화 15 A. 도시화 15 B. 주생활의 변화 20 C. 서울의 도시계획 28 D. 성별의 차이 33 E. 한국인의 의식 구조 38 F. 위생과 미용 관념의 변화 41 Ⅳ. 사례연구 1: 성수동 S탕과 망원동 S목욕탕 50 A. 물리적 특성 50 1. 준공 시기 50 2. 건축물 현황 50 3. 목욕탕 내부 시설 51 4. 지역적 특성 52 5. 비고 53 B. 구성원 분석 54 1. 장기적이고 주기적인 방문 54 2. 주연령대 56 3. 연대의식 57 4. 외부인에 대한 반감 58 5. 목욕탕과 공동체 59 Ⅴ. 사례연구 2: 재생건축으로 활용되는 목욕탕 64 A. 재생건축 64 B. 아현동 복합문화예술공간 H 65 1. 역사 65 2. 건물 구조와 공간 구성 66 3. 공간 활용 66 C. 계동 선글라스 브랜드 G 쇼룸 67 1. 역사 67 2. 건물 구조와 공간 구성 68 3. 공간 활용 68 D. 보존된 가치 69 Ⅵ. 결론 및 논의 70 참고문헌 73 ABSTRACT 77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967975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ddc | 900 | - |
dc.title | 도시화와 서울 목욕문화의 변화 연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A Study on Urban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Seoul’s Bath Culture | - |
dc.creator.othername | Kwon, Yeseul | - |
dc.format.page | vi, 78 p. | - |
dc.contributor.examiner | 김영훈 | - |
dc.contributor.examiner | 송영빈 | - |
dc.contributor.examiner | 노상호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 - |
dc.date.awarded | 2018.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