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0 Download: 0

퍼포먼스의 미적 경험에 대한 연구

Title
퍼포먼스의 미적 경험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esthetic Experience of Performance: Focusing on Erika Fischer-Lichte’s the Aesthetics of Performativity
Authors
백지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일호
Abstract
본 논문은 E. 피셔-리히테(Erika Fischer-Lichte)의 수행성의 미학에 근거한 퍼포먼스의 미적 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퍼포먼스는 인간의 행위를 작품의 구성 요소로 삼는 1960년대의 경향들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피셔-리히테는 현실의 세계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행위의 수행성을 중심으로 퍼포먼스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퍼포먼스의 미적 경험을 참여자들의 변환적 경험으로 제시한다. 모더니즘 시기에 작품(artwork)은 천재적인 예술가에 의해 창조되어 내적인 완전성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다. 작품은 일상의 사물들이나 삶에 유용한 목적을 갖는 수공예품들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으로서 신성한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성물처럼 높은 가치를 갖게된 작품은 물리적 형태로 보존되고 전시되면서 작품에 깃든 신화를 유지했다. 그러나 1960년대를 중심으로 물리적인 형태를 고정하지 않는방식으로 작품을 제시하는 예술 실천들이 대두되었다. 퍼포먼스는 그러한 예술 실천들 중 하나로, 인간의 행위를 작품의 근본적인 구성 요소로 삼는 예술 형식이다. 예술가에 의해 완성된 물리적 형태를 갖는 전통적인 작품과 달리, 퍼포먼스는 연속된 행위들이 나타나고 그로 인해 새로운 상황들이 발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오늘날 퍼포먼스 개념은 예술 형식을 넘어 인간 행위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는 사회과학 분야의 학문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즉 예술과 사회과학 분야의 교집합으로서 퍼포먼스 개념은 인간의 행위와 인간의 몸, 인간의 실질적인 삶, 그리고 사회와 긴밀한 연관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퍼포먼스의 미학적 측면을 설명하는 체계적인 연구는 그동안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다. 피셔-리히테는 현실의 세계를 구성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행위의 힘과 가능성을 가리키는 수행성 개념을 통해, 퍼포먼스를 단순히 행위로 구성된 예술 형식으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고자 한다. 피셔-리히테가 사용하는 수행성 개념은 퍼포먼스를 참여자들의 정체성과 삶 그리고 사회에 변환을 가져올 수 있는 경험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을 마련해 준다. 또한 투박하게 이해되던 퍼포먼스를 매체적, 기호적, 미학적 측면에서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은 피셔-리히테의 이론에서 나타난 퍼포먼스의 매체적, 기호적, 미학적 측면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실제 퍼포먼스 사례에 적용한다. 이를 통해 퍼포먼스에 참여하는 관객의 미적경험이 무엇인지 상세히 밝히고자 한다. 퍼포먼스의 매체적 특성은 특정 시공간에 공동현존하는 행위자와 관객의 상호영향 속에서 형성된다. 행위자는 행위를 이행함으로써 자신의 신체가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자신의 몸의 물질성을 수행적으로 창출한다. 이를 통해 자신의 몸과 자기 자신을 고정된 물체가 아니라, 계속해서 다른 것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존재로 드러낸다. 한편 퍼포먼스는 해독될 수 있는 텍스트가 아니며, 인과적 연관성 없이 여러 요소가 갑자기 나타나고 사라지는 창발 현상으로서 기호적 특성을 갖는다. 관객은 창발 현상을 지각하면서, 단순히 의미를 전달받는 대상이 아닌 퍼포먼스의 의미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는 주체로 자신을 인식한다. 그리고 관객이 생성하는 의미는 육체적인 증상과 행위로 표출되기 때문에 직간접적으로 퍼포먼스의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행위자와 관객은 공동의 창조자로서 퍼포먼스의 진행과 결과에 대한 책임을 나눠 갖게 된다. 그러나 퍼포먼스의 행위자가 올바른 해석이나 지시를 내려주지 않는 상황 속에서 관객은 질서의 불안정을 느끼고 강한 혼란과 위기를 겪는다. 하지만 이 위기는 관객이 스스로 새로운 규범을 세워 행동하도록 만들고, 관객에게 변환이라는 새로운 미학적 경험을 선사한다. 이처럼 퍼포먼스는 참여자들의 삶과 현실의 차원에서 일어나며, 자기자신, 삶, 그리고 사회를 변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경험한다는 점에서 삶의 모델이 된다. 피셔-리히테의 이론은 퍼포먼스를 관객과 소통하기 위한 대중적 수단으로 한정짓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수행적인 것으로서 퍼포먼스는 관객에게 즐거운 만남의 경험만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퍼포먼스의 진행 속에서 참여자는 사회적, 정치적, 윤리적 측면의 위기와 갈등을 겪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행위자와 관객의 관계에 전복이 일어나거나, 참여자들 각자의 입장이 반목하고 충돌하는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코코 푸스코 & 기예르모 고메즈-페냐, 산티에고 시에라 의 퍼포먼스 작품들을 분석한다. 피셔-리히테의 퍼포먼스 이론을 바탕으로 해당 작품을 분석하여, 퍼포먼스의 미적 경험이 곧 관객의 변환적 경험이 되는 지점을 포착하고자 한다.;The study is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erformance on the basis of the aesthetics of performativity presented by Erika Fischer-Lichte. Performance is a term reflecting the tendency of 1960s that reckons human activity as a component of artwork. Erika Fischer-Lichte understands the concept of performance by regarding the performativity of human activity as its key element that reconstructs the secular world. In modernism, a high value was set on Autonomy of art and each artwork was considered as a self-inclusive object created by an inspired artist. Artwork won a exclusive position separating itself from all the handicraft for practical use. Artwork, considered to be intrinsically different from the objects of secular world, acquired its prominence like a halidom and preserved its physical shape and value as sacred articles on exhibition. In the 1960s, however, artistic praxis which presented its work without maintaining its physical shape emerged as a major interest. As a part of such praxis, performance has been a form of art which makes human activity its essential ingredient. Unlike traditional form of artwork which maintains its completeness and solidity, performance presents the succession of activities which involves new situations to cope with. Nowadays the term of performance is not only used in territory of art but also used in social science field which shares its interest about human activity. In short as an intersection between art and social science, performance is closely related to human activity, human body, human’s actual life and society. However, such aesthetic aspect of performance has not been systematically analyzed yet. Fischer-Lichte tries to convert the confined concept of performance that is simply referred as succession of certain activities into the exploration of wide range of possibilities to construct and transform the real world by involving the power of human activities. The term “performativity” suggested by Fischer-Lichte offer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enables performance to be understood as specific experiences which bring important changes to each participant’s identity, life and the society. Also it arranges concrete, detailed analysis standards that enable performance to be examined in diverse ways by its mediality, semioticity and aestheticity. The study applies the careful analysis for performance offered by Fischer-Lichte to the actual examples of performance to specify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spectator participating to certain performance. Mediality of performance is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spectator based on their bodily co-presence. Performer exposes its own body changing process and performatively creates the materiality of its body by carrying out its performance. So the body turns out to be in the middle of the constant change instead of being the solidified object. Performance acquires its semioticity which is not a solvable text but verging on an emergency with incidents that sporadically arise and disappear without logical relations. Spectator is conscious of an emergency and recognizes itself as a subject that becomes a part of creating the meaning of a performance instead of being the object simply receiving the prearranged message. The meaning created by the spectator which is expressed in physical symptoms and activities has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process of performance. In such way, a performer and the spectator have mutual influences and become collaborate creators that share the responsibilities for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performance. When a performer does not propose either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or a direction, spectator goes through a frustration and a crisis in the collapse of the order. However such crisis lets the spectator establish its own standards which makes the spectator a present of new aesthetic experience of transformation. As such, performance is strongly relevant to the life and reality of its participants and becomes a model for a life since it offers the spectator to experience the possibilities to transform the self, life, and society. Theory of Fischer-Lichte is also meaningful since it does not confine performance to be the popular methods to involve the spectator. As a performative process, performance provides not only a pleasurable experience but also a social, political, and ethical frustration. This study analyzes performances done by Marina Abramović, Coco Fusco & Guillermo Gómez-Peña, and Santiago Sierra whose works involve conflicts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entail moments of upheaval in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spectator. With the analytic basis provided by Fischer-Lichte, the study is to describe the moment of aesthetic experience which is created in the performance and brings about an important change to the spectat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