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9 Download: 0

인간관계의 갈등을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너라는 이름」에 관한 연구

Title
인간관계의 갈등을 주제로 한 무용창작작품 「너라는 이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ed Work 「The name called you」based on Conflicts in Human Relationship
Authors
임지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오늘날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첨단기술이 가져다주는 편리함과 물질적 풍요 속에 살아가고 있지만, 급변하는 사회와 물질만능주의로 인해 인간의 자아 정체성과 윤리성에 혼란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인간의 욕구와 욕망은 극심한 이기주의를 부추기며, 인간관계와 사회 구조를 무너뜨리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또한 정보화 발달로 인해 생겨난 인간관계의 다원화와 제한된 자원 속에서 과다한 성과를 요구하는 경쟁 사회 구조는 관계의 갈등 수위를 높이며 대립을 격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갈등은 관계를 맺은 대상으로부터 발생하며 의도, 목적, 상황에 따라 빈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그것은 개인 또는 집단으로 일어나 대상이나 객관적인 형태를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으로는 개인이 느낄 수 있는 감정적 혼란이나 스트레스를 동반한다. 이러한 갈등은 인간이 사회적 동물임에 따라 어느 사회에나 있는 보편적인 현상이므로 그것을 부정적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갈등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은 곧, 현 시대의 사회적 문제들을 추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이며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갈등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무용창작작품 「너라는 이름」(2017)을 안무하여 사회 안에서 다차원적이고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인간, 사회의 갈등과 화해를 예술적 표현과 사유를 통해 나타내었다. 이를 위해 작품의 내용을 3장으로 구성하여 각 장면에 따라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오브제와 의상의 의미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욕망을 가진 주체와 사회적 요소가 부딪혀 발생하는‘갈등의 존재와 발로’를 주제로 불안과 고통에 지배당하고 있는 경직된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작품의 시작은 암전상태에서 오브제의 자연스러운 소음이 주는 청각적 자극을 통해 갈등에 의해 생겨나는 불쾌하고 부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1장의 전반부에는 안무자가 의도한대로 무대 상수 앞쪽에 위치한 내적공공간사용 오브제와 탑 조명을 사용하여 공간을 제한하였다. 그 안에 자리한 무용수는 낮은 신체의 레벨에서 반복적인 이완과 수축으로 밀도 있는 움직임을 사용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신체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욕망이 만들어낸 갈등 속에서 고통스러워하는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어 후반부에서는 무대를 가로지르는 오브제와 길 조명을 사용하여 갈등이 가지는 연속성, 반복성을 시각화하며 내적공간을 확장시켜 나타내었다. 이때 무용수의 초점은 지속적으로 오브제를 응시하고 직접적인 움직임을 사용하여 갈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2장에서는‘갈등의 대립과 충돌’상황을 묘사한 것으로, 자신의 과대망상 속에서의 독단적인 모습과 타인을 이해하고 인정하고자 하는 협조적인 모습을 양립적으로 나타내며 자신의 욕구와 사회적 관계의 충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 때, 오브제는 무용수에 의해 무대 중심을 따라 외적공간 뒤쪽으로 이동되고 하나의 경계선을 만들어 공간을 분리시키는데, 상수는 자신에 대한 이기적 관심의 공간, 하수는 타인에 대한 이타적 관심의 공간으로 나뉘게 된다. 무용수는 직선과 곡선, 가벼움과 무거움, 빠름과 느림, 앞모습과 뒷모습의 대조적인 움직임의 특성을 번갈아 사용하며 주체가 느끼는 갈등의 대립과 충돌의 의미를 표현하였다. 조명 역시 무대 상수는 자극적이고 의욕적인 강한 이미지의 빨강색 톤을, 하수는 심미적이며 안정적인 이미지의 청록색 톤을 사용하여 갈등의 대립 상태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음악은 사람의 음성에 기계음이 덧입혀진 날카로운 느낌의 음악을 사용하여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을 묘사함과 동시에, 관계 간의 갈등을 상징하는 효과를 더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안과 밖에서 다발적으로 일어나는‘갈등의 회피와 반복’을 나타내었고, 이를 회피하여 대처함으로써 더 깊은 좌절과 우울, 고통을 겪게 되는 인간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연속적으로 발생되어지는 갈등상황 속에서 느끼는 심리를 강조하기 위해 내·외적공간을 넘나들며 사용하였고, 전반적으로 무용수의 확장된 신체레벨과 역동적인 움직임을 통해 괴로움의 절정을 상징하고자 하였다. 또한 갈등으로 인해 억압받고 고통받는 인간의 심리를 부각시키기 위해 창살무늬 고보를 사용하였고, 주체의 인생을 상징하는 길 조명을 통해 갈등의 반복성을 나타내었으며 길 조명을 따라 몸부림치며 뒷걸음치는 움직임으로 갈등을 회피로 대처하던 자기 스스로에 대해 후회하고 있음을 표현하였다. 마지막 장면에서는 무대 전체에 둥근 파 조명이 동시다발적으로 깜빡이는 가운데 무대의 바깥쪽 상, 하수에서 오브제의 개체들을 새롭게 등장시켜 갈등이 인간에게 필연적인 요소임을 극대화시켜 보여주었다. 또한 무용수가 오브제를 직시하는 관조적인 모습으로 작품을 마무리하는 것은 열린 결말을 통해 관객에게 갈등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유도하고, 갈등이 가지는 긍정적인 기능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무용창작작품 「너라는 이름」(2017)을 통해 갈등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인간의 삶에서 사라지지 않는 갈등의 요인들이 자기 발달과정을 성장과 변화의 기회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자 하였다. 그리고 갈등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여, 갈등의 긍정적 공감과 소통을 이끌어내는 동시에 치유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을 알리는데 의의를 두고자하였다. ;The modern-day people living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surrounded by convenience and material abundance provided by advanced technology. However, people are going through confusion in self-identity and ethicality caused by the rapidly-changing society and mammonism. The concomitant desire and needs of people often lead to extreme egoism and bring about destruction of human relationship and social structure. Moreover, diversific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duced by the development of informization as well as the competitive social structure demanding excessive achievement in the limited resources are attributable to deepening of conflicts in relationship and intensification of confrontation. Conflicts occur from an object with which one established a relationship, and the intensity can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purposes and situation. Though it is difficult to clearly define the object or objective form since they are caused in an individual or a collective way, they are usually accompanied by emotional confusion or stress which can be perceived by each one. Such conflicts exist in any society since we humans are social animals, for this reason, it is not advisable to consider them only negative ones. In this regard, analyzing the causes of conflicts and finding a solution to them with autonomy will serve not only as standards to presume today’s social problems, but also measures for solving such problem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onflicts, this study choreographed a creative dance work entitled 「The name called you」(2017), and expressed the conflicts and reconciliation of humans and society, occurring in the diversified society in a successive way, through artistic expressions and reasoning. For the purpose of this, the content of the work consisted of three Parts. Then, according to each scene, the analysis of the content was made by dividing into theme, storyline, use of space of the dancer and meaning of object and costume. Under the theme of “conflictive existence” in which a subject possessing desire collides with some social elements, Part I intended to express the stiff human aspect dominated by anxiety and pain. The beginning of the work intended to create unpleasant and negative atmosphere, in a dark change, produced by conflicts using the acoustic irritation of natural noise of the object. In the first half of Part 1, the space was limited by using objects and top lighting in the interior space located in the front of right stage as intended by the dancer. By utilizing the movement of high density with repetitive relaxation and contraction requiring low physical level, and carrying out action breaking the physical balance to many directions, the dancer wanted to express the human aspect suffering from the conflicts created by his/her own desire. In the second half of the Part, objects and and street lighting crossing the stage were used to express the internal space while visualizing continuity and repeatability of conflicts. At this moment, the dancer’s eyes constantly stare at the object. The use of this direct movement intends to demonstrate the trial to actively respond to conflicts and escape from them. Part 2 is a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of “confrontation of conflicts.” This Part wished to express one’s ambivalent aspects between an arbitrary aspect in delusion of grandeur and a cooperative facet trying to understand and admitting others. This way, it intended to express conflicts between one’s desire and social relationship. Here, an object is moved by the dancer to the back side of the exterior space along the stage center, and the space is divided creating a boundary. This way, the right side of stage is defined as a space of selfish interest, while the left side of stage is defined as a space of altruistic interest. The dancer expressed the sense of confrontation and collision of conflicts perceived by the subject, by repeatedly using contrary motions such as straight lines and curves, lightness and heaviness, speed and slowness, frontal aspect and rear aspect. Regarding the lighting, for the right side of stage, red tons with stimulating, enthusiastic and intense images were used, while for the left side of stage, bluish green tons with aesthetic and stable images were used to highlight the confrontational state of conflicts. By using music evoking piercing sensation mixed between human voice and machine sound, it intended to enhance the effects not only for describing modern-day people but also for symbolizing conflicts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Part 3 represented “repetition of conflicts” which occurs simultaneously inside and outside. This way, it intended to express the human aspect suffering from deeper frustration, depression and pain when trying to avoid conflicts. To emphasize psychology felt in the conflictive situation in a successive manner, it used cross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at the same time, and intended to symbolize the peak of suffering through extended physical level and dynamic movement of the dancer. Moreover, to highlight human psychology suffering from repression caused by conflicts, gobo with plaid pattern was used. In addition, through the street lighting symbolizing the subject’s life, repeatability was represented, and with the writhing motion of stepping back along the street lighting, it expressed that one regrets of one’s behavior of coping with conflicts through avoidance. In the last scene, in the middle of simultaneous flickering of round green onion lighting over the entire stage, each unit of object appears from the right and left side of the external side of stage to express that conflicts are inevitable elements for humans. Moreover, by finishing the work with the contemplative aspect of the dancer looking at the object, it intended to make recognize the necessity of conflicts through the open end, and ask a question of the positive function of conflicts. Likewise, through a creative dance work 「The name called you」 this study intended to teach modern-day people living in the conflictive society that the conflictive elements, which never cease to exist in human life, can transform into opportunities leading to growth and change of self-development process. Furthermore, this study also aimed to put meaning in showing how to induce positive sympathy and communication of conflicts and approach them in the context of healing, by making ot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nflict manage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