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25현 3중주를 위한 <목각 인형의 춤> 분석연구

Title
25현 3중주를 위한 <목각 인형의 춤> 분석연구
Other Titles
Examine The Dance of a Wooden Doll, a 25-string Gayageum trio
Authors
윤영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The first Gayageum trio was composed in the nation in the latter part of the 1980s, and approximately 40 25-string Gayageum trios have been composed since the 1990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Dance of a Wooden Doll, a 25-string Gayageum trio that had not been analyzed and investigated. This single movement work was examined for its overall structure based on tempo and tonality changes and analyzed in melodies, rhythms, and play methods by the paragraph.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paragrap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agraph A was the Introduction in a quadruple time and would progress at the tempo of ♩=132 and in the D Phrygian mode. It was divided into a and b melody types and consisted of total eight passag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Gayageum covered the high, middle, and low register, playing the theme melodies and accompaniments alternatively between the parts. They would give and take the theme melodies and play the accompaniments in ostinato. The rhythms would be repeated and altered. The Third Gayageum had syncopations and traditional rhythms for Gayageum Sanjo. The play techniques included traditional ones including playing with a string one line below, returning to the string one line above, and Nonghyeon and modern ones including staccato and arpeggio. Second, Paragraph B was in a quadruple time and a structure of A and connecting phrases. It would progress at the tempo of ♩=132 and in the G Aeolian mode. It would play in the melody form of c, c′, c″, c′′′, and c′′′′ and consisted of total 11 passages. In Part A, the theme and accompaniment melodies would repeat with the First Gayageum playing the theme melodies and the Second and Third Gayageum playing the accompaniment melodies. In the connecting phrases, al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Gayageum would play in decrescendo with the Second and Third Gayageum repeating the same musical form. As for rhythms, the Third Gayageum would repeat the same form of rhythms throughout the paragraph and play the G rhythms in solo at the connecting phrases. It would be played both in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playing with a string one line below, returning to the string one line above, Nonghyeon, and flicking and modern one staccato. When the same melodies repeated, changes were given to them with a different play technique. Third, Paragraph C was in a quadruple time and complex times such as 10/8, 7/8, and 11/8 and in a structure of B and connecting phrases. It would progress at the tempo of ♩=100 and Menarijo. It would play in the melody form of d, d′, d′′, d′′′, and e and consisted of total 12 passages. In the B part, the First and Second Gayageum would put and receive melodies teach other and gradually expand their range to the Ongheya melodies. The Third Gayageum would play the accompaniments in ostinato. In the connecting phrases with a repeat sign every three bars, the First, Second, and Third Gayageum would play the same melodies at different ranges. As for rhythms, the Third Gayageum would repeat the same rhythms of in the accompaniment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Gayageum playing the same rhythms at different ranges. Its traditional play techniques included playing with a string one line below, Jeonseong, Nonghyeon and bending notes. Its modern play techniques including staccato, glissando, and arpeggio would express a traditional feel along with the Ongheya melodies. Finally, Paragraph D was in a quadruple time and a structure of 󰆲′ and coda. It would progress at the tempo of ♩=130 and ♩=132 and in the G Aeolian mode. It would play in the melody form of f, c′′′′′, and g and consisted of total five passages. In the A′ part, the First Gayageum would repeat the theme melodies of Paragraph B in solo, giving changes to them with a different play technique. The Second Gayageum would progress in the sixth chord, and the Third Gayageum would repeat the same melodies as accompaniment. The coda would wrap up the entire piece with the First and Second Gayageum progressing in a perfect 4th and the Third Gayageum repeating the musical form of A′. As for rhythms, the Third Gayageum would repeat the ♩♩♩♩ rhythms in A′ with the rhythms prolonged in half and quarter notes to the end in coda. Its traditional play techniques included playing with a string one line below, returning to the string one line above, Nonghyeon, staccato, flicking, and bending notes. Its modern ones included arpeggio and harmonics. The Dance of a Wooden Doll, a 25-string Gayageum trio by Choi Ji-hye, is in both the heptatonic and pentatonic scale with well-known melodies appearing in Paragraph C and a form of putting and receiving melodies used in Paragraphs A and C. The piece repeats the same rhythms and uses both traditional and modern play techniques, thus creating harmony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par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piece among Gayageum players and contribute to their performance of the piece. ;1980년대 후반 가야금 3중주곡이 처음 작곡된 후 1990년대 이래로 25현가야금 3중주곡이 약 40여곡 작곡 되었다. 그 중 분석연구 되지 않은 25현 3중주를 위한 <목각 인형의 춤>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악곡은 단악장형태로, 빠르기와 조의 변화를 기준으로 악곡의 전체적인 구조를 알아보고, 각 단락별로 선율 및 리듬, 연주법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분석한 결과를 단락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단락은 4/4박자이고 도입부이며 ♩=132의 빠르기와 D프리지아선법으로 진행된다. a, b의 선율형으로 나누어지며 총 8개악절로 구성된다. 제1가야금이 고음역, 제2가야금이 중음역, 제3가야금이 저음역의 역할을 하고 각 파트 간 주제선율과 반주역할을 번갈아가며 담당하는데 주제선율은 주고받는 형태로 나타나며 반주는 오스티나토의 형태로 나타난다. 리듬은 동일한 리듬을 반복, 변형하는 형태가 나타나며 제3가야금에서 당김음이 나타나고 가야금산조의 전통적 리듬이 나타난다. 연주법은 전통적 연주법인 한 줄 아래 현으로 연주, 한 줄 윗 현으로 돌아감, 농현과 현대적 연주법인 스타카토, 아르페지오가 나타난다. 둘째, B단락은 4/4박자이고 단락의 세부구조는 A와 연결구로 나누어진다. 빠르기는 ♩=132이며 G에올리아선법으로 진행된다. c, c′, c″, c′′′, c′′′′의 선율형으로 나누어지며 총 11개의 악절로 구성된다. A부분에서는 주제선율과 반주선율이 반복되는 형태로 나타나며 제1가야금이 주제선율을 연주하고 제2가야금과 제3가야금이 반주선율을 연주한다. 연결구에서는 제1·2·3가야금 모두 데크레센도로 나타나고 제2가야금과 제3가야금에서 동일 음형을 반복하여 연주한다. 리듬은 제3가야금이 단락 전체에서 동일한 형태가 반복되어 나타나다가 연결구에서 솔로로 G음을 리듬으로 나타낸다. 연주법은 전통적 연주법인 한 줄 아래 현으로 연주, 한 줄 윗 현으로 돌아감, 농현, 튕김과 현대적 연주법인 스타카토가 나타나는데 선율이 반복될 때 연주법의 변화로 선율 변화가 나타난다. 셋째, C단락은 4/4박자와 10/8, 7/8, 11/8의 혼합박자이고 단락의 세부구조는 B와 연결구로 나누어진다. 빠르기는 ♩=100이고 메나리조로 구성되어 있다. d, d′, d′′, d′′′, e의 선율형으로 나누어지며 총 12개의 악절로 구성된다. B부분에서는 제1가야금과 제2가야금이 선율을 메기고 받는 형식이 사용되고 점차 서로 음역이 확대되어 나타나며 옹헤야 선율이 사용된다. 제3가야금은 오스티나토 기법으로 반주역할을 한다. 연결구에서는 3마디씩 도돌이표가 사용되고 제1,2,3 가야금이 같은 선율을 각각 다른 음역대에서 연주한다. 리듬은 제3가야금의 반주에서 의 동일한 리듬을 반복하여 연주하고 연결구에서 같은 리듬을 각각 다른 음역대에서 연주한다. 연주법은 전통적 연주법인 한 줄 아래 현으로 연주, 전성, 농현, 튕김, 꺾는 음과 현대적 연주법인 스타카도, 글리산도, 아르페지오가 사용되는데 옹헤야 선율과 함께 사용되어 전통적인 느낌을 표현한다. 넷째, D단락은 4/4박자이고 단락의 세부구조는 󰆲′와 CODA로 나누어진다. 빠르기는 ♩=130과 ♩=132이고 G에올리아선법이 사용된다. f, c′′′′′, g의 선율형으로 나누어지며 총 5개의 악절로 구성된다. A′부분에서는 B단락의 주제선율이 제1가야금의 solo연주를 통해 반복되어 나타나고 연주법을 통해 변화를 준다. 제2가야금은 6도화음을 진행하며, 제3가야금은 동일한 선율을 반복하여 연주하며 반주역할을 한다. CODA는 전체 악곡이 마무리되는 부분으로 제1가야금과 제2가야금의 음정이 완전4도로 진행되고 제3가야금은 A′부분에서 연주하던 음형을 반복하여 연주한다. 리듬은 A′부분에서 제3가야금이 ♩♩♩♩의 리듬을 반복하여 연주하고 CODA에서 2분음표, 4분음표로 리듬이 길어지며 마무리된다. 연주법은 전통적 연주법인 한 줄 아래 현으로 연주, 한 줄 윗 현으로 돌아감, 농현, 스타카토, 튕김, 꺾는 음과 현대적 연주법인 아르페지오, 하모닉스가 사용된다. 최지혜 작곡 25현 3중주를 위한 <목각 인형의 춤>은 7음 음계와 5음 음계가 동시에 나타나는 곡으로 C단락에서 잘 알려진 민요선율이 등장하고 A, C단락에서 메기고 받는 형식이 사용된다. 또한, 동일한 리듬의 반복이 나타나고 전통적 연주법과 현대적 연주법이 함께 나타난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부분과 현대적인 부분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이 곡을 연주하는 가야금 연주자들에게 곡의 이해를 돕고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