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2 Download: 0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Authors
오혜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도현심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양육효능감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전국의 6-15개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로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은 Hazan과 Shaver(1992)의 성인애착 척도(Adult Attachment Scale)를 Jeon(1994)이 번안하고 곽소현(2006)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여,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Nugent(1991)의 아버지의 양육참여 척도(The Father Caretaking Inventory [FCI])를 김상하(1998)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는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의 양육효능감 척도(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를 김민정(2008)이 수정·번안한 것이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는 Bornstein(1989)의 양육방식 척도(The Parental Style Questionnaire [PSQ])를 이형민 외(2008)가 수정·번안한 척도와, Pederson 등(1990)이 개발한 어머니 행동(Maternal Behavior Q-set [MBQ])척도를 김은실(2013)이 수정·번안한 어머니의 민감성 척도를 축약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직접 경로와 간접 경로로 구분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접 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이 안정적이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많을수록, 어머니들은 민감한 양육, 가르치는/물질적 자극 양육 및 일관된 제한설정을 많이 나타내었다. 둘째, 간접 경로와 관련하여,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통해 어머니의 민감한 양육, 가르치는/물질적 자극 양육 및 일관된 제한설정 양육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이 안정적이고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많을수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았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민감한 양육, 가르치는/물질적 자극 양육 및 일관된 제한설정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민감하고 긍정적 양육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애착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중요성을 밝혔으며, 특히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상대적 영향력을 강조하였다. 다시 말하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높은 양육효능감과 아버지 양육참여를 통한 정서적 지지는 어머니의 민감하고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촉진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영아기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It explored direct effects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on parenting behavior,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 total of 310 participants, mothers of 6- to 15-month-old infa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tems related to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paternal involvement,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had direct effect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hen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was secure, and/or paternal involvement was high, sensitive parenting, didactic/material stimulation parenting and consistent limit setting increased. Second,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had indirect effects on parenting behavior through maternal parenting efficacy. Mothers with secure childhood attachment, and/or with high paternal involvement had high parenting efficacy, which led to sensitive parenting, didactic/material stimulation parenting and consistent limit setting increased. This study reveals the importance of maternal childhood attachment and paternal involvement, and maternal parenting efficacy in increasing mother’s sensitiv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t emphasizes the relativ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paternal involvement on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high levels of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emotional supports derived from paternal involvement are likely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couraging sensitiv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offer the foundation in designing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with infants in order to enhance maternal parenting 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