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하-
dc.contributor.author윤지민-
dc.creator윤지민-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5:02Z-
dc.date.available2018-09-05T08:25:0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1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19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603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이 지적장애학생들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창의성을 영역별로 언어 창의성과 도형창의성, 신체 창의성으로 구분하였고, 창의성의 대표적 구성 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을 포함하여 모두 일곱 가지 변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E특수학교 초등학교 4~5학년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집단별 사전·사후 비교뿐만 아니라 개개인의창의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은 오인향(2015), 김은수(2017)의 프로그램을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음악, 미술, 체육을 참고하여 지적장애학생을 고려해 수정·보완하여 적용하였다. 실험집단 5명의 대상 학생들에게2018년 3월 19일부터 5월 8일까지 매주 2회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으며, 1회기는50분 정도 소요되었다.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를 사전·사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를 통해 측정된 창의성 점수와, 창의성 하위 요인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해 SPSS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티프 라이팅움직임 교육 프로그램에 따른 집단 내 종속변인의 차이검증을 위하여 종속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각 영역별 창의성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모두 높아졌다. 교육 실시 후, 언어 창의성과 도형 창의성 그리고 신체 창의성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창의성 영역모두 향상되었다 둘째,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성구성요소별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모두 높아졌다. 교육 실시 후, 창의성 구성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모두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언어 창의성과 도형 창의성, 신체 창의성을 향상시켰다는 것과 창의성의 모든 구성요소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ing the effects of the Motif WritingMovement Education on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This study classified creativity into linguistic creativity, figure creativity, andbody creativity and examined the effects with regard to seven variables includingfluency, flexibility, creativity, and imagination - the leading components ofcreativity. This study targeted 1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are either inthe fourth or the fifth grade at E Special Education Elementary School locatedin Seoul and analyzed the pre-comparison and the post-comparison of respectivegroups and individual creativity variations. The Motif Writing MovementEducation by Oh In-hyang (2015) and Kim Eun-soo (2017) was revised andsupplemented after taking into account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addition,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refers to music,art, and physical education. A total of 16 sessions were conducted by holding 2sessions a week from March 19 2018 to May 8 the same year targeting 5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each session lasted 50 minute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otif Writing Movement Education, the infantcomprehensive creativity examination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sessions. Also, in a bid to estimate the creativity score and the mean and thestandard deviation of the creativity subordinate factor scores, which had beencalculated with the examination tool of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conducted b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s program. In addition, in order todemonstrate the differences of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groups based onthe Motif Writing Movement Education Program, the dependent samplet-verification (matched paired t-test) was conduct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experiment group which took part in the Motif Writing MovementEducation had higher post-scores in respective creativity domains than thepre-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conducting the education, all creativitydomains improved since linguistic creativity, shape creativity, and body creativitywere positively influenced Second, the experiment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Motif WritingMovement Education had higher post-scores with regard to respective creativitycomponents than the pre-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conducting theeducatio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 the components ofcreativity - improved after being positively influenced. These results identified that the Motif Writing Movement Education improvedthe linguistic creativity, the shape creativity, and the body creativity of the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at the education exerted positiveinfluence in the improvement of all components of crea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 5 B. 지적장애 8 1. 지적장애학생의 특성 8 2.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11 C. 창의성 13 1. 창의성의 개념 13 2. 창의성의 구성요소 14 3. 지적장애학생의 창의성 15 D. 선행연구의 고찰 17 Ⅲ.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연구도구 23 C. 연구절차 28 D. 자료분석 29 E. 통계처리 30 Ⅳ. 연구 결과 31 A.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31 B.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이 창의성 구성요인에 미치는 영향 35 C.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 실시 후 개개인의 창의성 변화 40 Ⅴ. 논의 55 Ⅵ. 결론 및 제언 59 참고문헌 61 부록 1. 검사도구 65 부록 2. 부모동의서 66 부록 3. 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 16차시 지도안 67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324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모티프 라이팅 움직임 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otif Writing Movement Education on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c.format.pagev, 83 p.-
dc.contributor.examiner함정혜-
dc.contributor.examiner홍은아-
dc.contributor.examiner박승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