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무용전공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직 적응과정

Title
무용전공 중학교 체육교사의 교직 적응과정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djustment Process of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Majored in Dance
Authors
김예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oring the measures for the prelimin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curr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majored in danc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 adjustment process. This study selected six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and working at a coed middle school in Seoul, Ulsan, or Gyeonggi Province and collected data by using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onfirmation of categorization.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Since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do not have enough experiences of learning practical sports until they become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ir biggest obstacle in taking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 was practical sports. When it comes to the teachers who completed a course in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fter finishing undergraduate course, they had to rely on private education by registering at a practical sports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When it came to the teachers who completed a course in education after entering a university of education with a dance contest award and the teachers who changed their major to physical education, they trained for practical sports with their colleagues or seniors and took private lessons for the sports which they were not good at. All those who majored in dance - the targets of this study - shared the common point that they began making preparations for the practical sports earlier than others so a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the sports. When it came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majored in dance, they had lack of experiences in practical sports and had difficulties in showing practical demonstrations, being a referee, or instructing tactics and strategies. When it came to interpersonal relations, they got along well with the teachers of other subjects but had difficulties due to the vertical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of the same subject and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 those who majored in dance. Difficulties also existed in managing classes.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majored in dance and graduated from art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orked in an environment which most members were male students in the initial stage of their career. Thus, the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supervising classes after grasp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attending the coed public middle school which has various characteristics. When it came to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majored in dance, they actively asked questions to fellow teachers to resolve the problems in subject instructions and even participated in training. In addition, they learned practical sports through clubs and lessons and strived to obtain instruction guidelines and relevant information at libraries or from the information online. Also, they behaved modestly and were active in all aspects so as to overcome the vertical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and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majored in dance. They were active in all aspects of living and tried to resemble the vivacious imag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ich the general public are reminded of when thinking about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When it came to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majored in dance and graduated from an arts school and do not have an experience of working at a public middle school, they tried to understand respective students so as to supervise classes smoothly. The greatest advantage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majored in dance was displaying expertise in the expression activity domain. Currently, since the interest and the importance on expression activities are being emphasized in the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the roles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majored in dance will become more significant. Furthermore, when it comes to those who majored in dance, they could sympathize with the life of the would-be professional athletes and they were able to display an exemplary attitude and provide expressive feedback. Also, they had the ability to easily form bond of sympathy with students.;본 연구에서는 무용전공 중학교 체육교사들이 교직생활에 적응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어떻게 이를 극복하고 있는지에 대한 과정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무용전공 예비체육교사나 체육교사들이 교직적응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교직에 적응하여 무용전공을 장점으로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미래에 성공적인 교사생활을 지속해 나가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울산, 경기 지역의 남녀공학 공립중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무용전공 여자 체육 교사 6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전사,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과정을 거쳐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체육교사가 되는 과정에서 무용전공자들은 공통적으로 임용고사 준비를 할 때 가장 어려움을 겪었는데, 실기종목의 경험 부족으로 특히 실기시험 준비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무용과에 재학 중 비사대 교직이수를 하거나 무용과 졸업 후 교육대학원에서 교직이수를 한 교사들의 경우 미리부터 실기 학원에 등록하여 사교육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무용대회입상 성적과 내신 성적으로 사범대학교 체육교육과에 입학하여 교직이수를 한 교사들과 무용과로 대학에 입학하였으나 중간에 체육교육과로 전과를 한 교사의 경우는 학교에서 동료, 선배들과 함께 실기연습을 할 기회가 비교적 많았으며 경험 부족으로 인해 실력향상이 요구되는 종목만 따로 레슨을 받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모든 무용전공자들은 실기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남들이 임용을 위한 실기연습을 시작하기 전부터 미리 실기 준비를 시작한 공통점이 있었다. 무용전공자들은 체육교사가 되어 교직에 적응하는 과정 중에도 실기 경험 부족으로 인해 교과지도를 할 때 시범을 보이거나, 경기 심판을 보거나 전술, 전략을 지도하는 면에서 어려움이 컸다. 대인관계에 있어서는 타 교과의 교사들과는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나 체육과 내에서 교사들끼리의 수직적 관계와 무용전공자를 바라보는 부정적 인식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예술 중, 고등학교를 졸업하여 일반 학교에서 생활한 경험이 전혀 없는 무용전공 체육교사들의 경우 교직 경력 초반에 예술학교와 다른 문화를 지닌 일반 남녀공학 공립중학교의 학급에 적응하여 학급을 원활히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무용전공 체육교사들의 경우 교과지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료교사에게 질문하기, 연수에 참여하기, 운동 배우기, 도서나 인터넷을 활용하여 정보 얻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체육과 내에서의 수직적인 대인관계와 무용전공 체육교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자세를 낮추고,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떠올리는 씩씩한 체육교사의 이미지와 닮기 위해 노력하였다. 예술 중, 고등학교를 졸업한 교사들의 경우는 일반 남녀 공학 공립중학교의 학급에 빨리 적응하여 학급을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해서 상담이나 친근한 대화를 통해 모든 학생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개개인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많이 하였다. 무용전공 체육교사들의 가장 큰 장점은 표현활동 영역에서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었으며, 이 외에도 무용전공 체육교사들의 경우 운동부 학생들의 삶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었고, 교과서적인 자세 지도와 표현력 있는 피드백이 가능하였다. 학생들과 쉽게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무용과 소속인 상태로 대학교 때 비사대 교직이수를 하였거나 무용과를 졸업하고 교육대학원에서 교직 이수를 한 경우 실기 경험이 현저히 부족하였기 때문에, 임용고사를 준비 할 때나 체육교사가 되어 학생들 교과지도를 할 때 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학교나 교육대학원에서의 교직이수과정에서 실기과목의 비율을 높여 예비 체육교사들에게 다양한실기 종목을 경험하게 하는 것은 임용고사 준비에서나 실제 학교에서 수업 지도를 할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둘 째, 교사들은 교과지도 향상을 위해 연수의 중요성은 알고 있으나 다양한 연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 하였다. 교사들이 쉽게 연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방학기간을 이용하는 등, 연수 시간과 학교의 업무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장소도 각 지역의 교사들이 편리하게 찾아갈 수 있는 곳에서 이루어진다면 더욱 연수 참여도가 높아질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교사들은 공문을 보고 연수에 참여할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데 개별적으로 보다는 교육청이나 학교 자체에서 연수에 대한 중요성을 홍보하여 학교에서 단체로 연수에 참여하는 문화가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체육과의 구성원들은 대부분 표현활동이나 무용에 있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인문계 남녀공학 중학교의 경우 무용 수업이 전혀 진행되지 않은 것을 보면 인식 측면에서보다는 무용 수업을 위한 환경적, 시스템상의 애로사항이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무용을 가르칠 공간이 열악하거나 한 학년을 여러 명의 교사가 함께 맡아서 가르쳐야 하는 상황 때문에 무용전공 체육교사들은 전문성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용 수업을 진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환경적, 시스템상의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체육 교과 내에서 학생들에게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아름다운 예술인 무용을 경험 시켜 학생들의 정서순화와 전인적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