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8 Download: 0

남자고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이야기 그림검사(DAS)의 반응특성 연구

Title
남자고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이야기 그림검사(DAS)의 반응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motional behavior problems of male highschool student and Draw-A-Story(DAS) response characteristics
Authors
장윤미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는 남자고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따른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 DAS) 반응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DAS가 남자고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를 평가하는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남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DAS와 정서행동문제 척도(K-YRS)를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답변한 자료 11부가 제외되어 분석에 포함된 자료는 총 184부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정서행동문제 수준에 따른 DAS의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척도의 60T(85%tile) 이상을 상위 집단으로, 40T(15%tile) 이하를 하위 집단으로 분류하여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DAS와 정서행동문제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진행하였고, DAS의 자극그림 선택에 따른 정서행동문제와 DAS 반응특성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고등학생의 내재화문제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외현화문제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AS와 정서행동문제 척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DAS의 자극그림 선택에 따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정서내용, 자아상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칼, 뱀, 공룡과 같은 공격적 자극그림을 선택한 집단은 선택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부정적인 상황이나 관계를 더 많이 표현하였고, 뱀을 선택한 집단은 외현화문제와 비행점수가 높았다. 반면, 면사포를 쓴 여인을 선택한 집단은 정서내용과 자아상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적인 아이를 선택한 집단 또한 정서내용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공격성이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DAS가 남자고등학생의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를 평가하고자 할 때 그림검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남자고등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개입 및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이용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This paper is a study to prove the applicability of Draw-A-Story(DAS) as an evaluation tool for emotional behavior problem of male high school student, by analysing male high school student s'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of DAS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levels of emotional behaviour problem. For data aquisition, DAS and K-YRS a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of 195 male year 10 students. There is an exclusion of 11 unfaithful responses thus, the final responses acquired are 184. The collected data is analysed by compiling statistics with the program SPSS 19.0,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is conducted to two groups sorted out by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rating scale - 60T and above(85%tile) and 40T and below(15%tile), to find differences of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levels of emotional behavior problem.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is proceed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DAS and emotional behavior problem,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is conduct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behavior problem and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selection of DAS stimulus pictur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internalized problem has shown meaningfully negative correlation on both emotional content and self-portrait, while students with different externalization problem level have shown meaningfully negative correlation on emotional content only. Secondly, emotional content and self-portrait has indicated meaningfully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scale between DAS and emotional behavior problem has shown meaningful correlation. Thirdly,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internal contend and self-portrailt have shown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hoice of stimulus picture. The group who picked aggressive stimulus picture such as knife, snake, volcano and dinosaur has expressed negative situation and negative relationship comparatively more than those who did not pick, and the group who picked snake has scored high on externalization problem and misdeed.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ho picked ‘woman wearing veil’ is shown to be more positive on emotional content and self-portrait, and the ones who picked ‘a child with androgynous appeal’ are also shown to be positive on emotional content and low on aggression. The result is relevant reference to identifying the applicability when assessing male high school student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with picture examinatio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access to this paper as a basic data for male high school student with emotional behavior problem in interventional and preventive ter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