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Title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group art therapy for psycho-social adjustment of children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
Authors
이경하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집단미술치료과정에서 연구 참여자인 아동이 무엇을 경험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심리사회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아동 6명의 집단을 구성하여 12회기 80분간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및 치료과정에 걸쳐 아동, 교사, 부모의 상담과 회기 관찰기록 통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범주화 하여 의미를 도출하였으며, 전체 진행회기를 연구 참여자 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총 6개의 상위범주, 16개의 하위범주로 정리되었으며, 그 내용은 <서로가 서로를 믿지 못한 채 시작한 집단미술치료>, <마음의 문을 열자 느껴지는 자유로움과 기분 좋음>, <미술은 내 안의 불편함, 화남, 슬픔을 담아줌>, <미술 속 상상의 세계에서 이루고 싶은 소망을 표현함>, <달라진 나의 모습을 발견하는 뿌듯함>, <서로를 이해하고 소중해진 우리>로 나타났다. 참여자 별 분석결과는 개인별로 독특한 양상을 보였으나 위 의미 분석의 흐름과 상당부분 일치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유로운 표현을 지지하여 감정표출을 돕고 긍정적인 관계를 재 경험하게 하여, 자신의 불안, 우울, 위축및 공격성, 규칙위반과 같은 적응문제를 좀 더 창조적으로 다루고 이를 개인적, 사회적 맥락에 연결시켜 적응적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 시도되지 않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연구 참여자가 되어 자신의 목소리로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설명함으로서 기존결과에 좀 더 설득력이고 풍부하게 뒷받침할 수 있는 과정적 근거자료를 마련한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참여자인 아동은 내면의 감정표출 및 자신의 객관화 과정과 더불어 이루고자 하는 소망을 개성 있고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는데, 이는 현재 빈곤, 가족구조 등의 이유로 적응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아동이 집단미술치료 환경 안에서 자신의 문제를 창조적이고 주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또한 이러한 긍정적 경험이 실현되기 위해 필요한 기저의 원칙으로서 ‘나와 상대방을 존중’의 태도가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a group of children’s changes as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m attending a community child center. To perform the research, 6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who suffered from the difficulties in psychosocial adjustment were grouped and the 12-session group art therapy of 80 minutes each were executed. The significant meanings were extracted by categoriz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recordings of session observation and counsels with the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of them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cedure of treatment through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ll of sessions were analyzed by each participant. The analyzed results were arranged by 6 top categories and 16 subcategories. The titles of top categories are , , , , , and . Even though the results of individual participants had unique meanings, they corresponded to the above flow of discovering the meanings. These analysis are support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hich pointed out that the method of group art therapy helps emotional expressions by improving free ways of children in terms of expressing themselves, makes them re-experience the positive relationships, makes them treat the matters of adjustment such as anxiety, depression, withdrawal, aggression, and delinquency, as in a more creative manner, and finally facilitates the positive changes of becoming adjustive by connecting their achievements to their individual and social difficul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evidence was procedurally provided in an unprecedented way with the explanations of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which were derived by children’s own voices as research participants. Especially, the examples of participating children’s expressing their desires characteristically and naturally with the expressions of internal emotions and the objectification processes, were shown that the possession of ‘potential power’which is capable of handling their problems creatively and leading their own ways even though they were going through the difficulties of adjustment owing to current poverty, family structures, etc. On top of that,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e attitude of ‘the respect for oneself and others’as a necessary basis were shown in order to realize these positive experie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