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6 Download: 0

미술치료사의 자기 인식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Title
미술치료사의 자기 인식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Other Titles
An Autoethnography about an Art Therapist’s Self-Awareness: To Wilber’s Integral Approach
Authors
윤경회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This essay is my own autoethnography of the changes and progress of self-awareness through Wilber’s integral(AQAL) approach. The objects for the analysis are the biographical records and my artworks from September 2009 (when the researcher started to study art therapy) to present (April 2018). The analytical category is Wilber’s self-developmental fulcrum.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how my private, interpersonal and social levels of experiences have given influences on the changes of my self-awareness and what meaning the art making convey along the process. Wilber’s theory is not widely accept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in Korea. Taking this reality into consideration, I outlined the meaning of the integral approach as Metatheory. Then, I have suggested that AQAL model can be the analytical frame that offers interpretation for the “self” and “art works”. The difference of this lies on the fact that it is an autoethnography which I, an individual art therapist, has made approaches to my own artworks and changes of self-awareness through developmental perspectives and many diverse aspects of life for the considerable amount of past 8 years and 8 months.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drawn after the research has carried out. First, Wilber’s AQAL model made approaches to, not only the unique relative characteristics of self but also to integral understanding about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of human beings. It also has made it possible to interpret artworks’ deep and diverse levels of meaning. As self-progress heads towards to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of the upper, then more integral and profound level of meaning was found even in the same artwork. Conversely, new self-awareness can be attained through the progress of visualization of artworks, material and formal elements, appearance of new image and the changes of overall structure and tone. There are several ‘private, interpersonal and social’ level of experiences that have given influence on the progress of change on my self-awareness. They are idealized object-relation, equal and supportive relationship of fellow councilors, accepting and criticizing on Feminism, coming face to face on loss and inner conflicts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democracy. The most important aspect is that through the acceptance that existence is holon’s structure of holarchy and the integral outlook on the world that one holon has four-quadrants, I could analyze the developmental progress of holarchy that myself have gone through, discovered isolation, oppression and fixation in the four-quadrants then came to a realization for more integral self-developmental direction. Secondly, there is an interesting discrepancy that art making is ‘part of self’ as an expression as well as expansion of self but then it is also ‘separation of self’ since artworks can be seen, touched and set aside (Wadeson, 2008). When this art making was put as a crucial life experience and was carried out consistently, these artworks that were completed and accumulated had existed as potentials which called for deep and diverse levels of insight in the journey of self-progress. Once I was able to see my own artworks through ‘the eyes of flesh’, ‘the eyes of reason’ and ‘the eyes of contemplation’, then the expansion of self-awareness in the level of ‘body-mind-spirit’ had slowly expanded (Wilber, 2015b). This self-awareness was healing and aimed for self-progress. The perpetuality that artworks have was lasting and maximized through the visual outcomes which are accumulated through long period of time. Also, it provided not only the unique relative characteristics of self but also visual information about structure and pattern of self-progress. This result supports Rank’s argument which saw the creation of self as the same as the creativity which is asserted in the progress of art making. Because given that the creation of self and the creativity which is asserted in the progress of art making are the same, the pattern emerging for them are also the same. Therefore, art making implies that it is not only an experience of the self-creation through the self-awareness but a creative awareness which makes one to face the developmental problems such as fixation and regression. Additionally, it suggests one to realize the necessary developmental task to re-enter into the track for self-progress. I have come to an insight through this research that ‘self-awareness’ expands with ‘self-progress’ in the way of holarchy and consistent art making is a creative experience that gives impetus to awakening and self-creation. The main point of this research practice lies on the fact that AQAL model is confirmed as an interpretational frame of analysis which is possible to apply in order to help integral awareness about self and artworks. Also, there is another important value in that in the field of art therapy, agreeable practical use of Wilber’s theory was found.;본 논문은 미술치료사의 자기 인식 변화과정을 Wilber의 통합적(AQAL) 관점에서 접근한 자문화기술지이다. 연구자가 미술치료를 접한 시점(2009년 9월)부터 현재(2018년 4월)까지 남긴 자전적 기록과 미술작업이 분석대상이며, Wilber의 자기 발달 분기점이 분석범주이다. 연구자의 개인적・관계적・사회적 경험이 자기 인식 변화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으며, 미술작업은 이 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Wilber의 이론이 국내 미술치료 분야에 폭넓게 수용되지 못한 현실을 감안하여 메타이론으로써 통합적 접근의 의의를 개관하고, AQAL 모델이 ‘자기’와 ‘미술작품’에 대한 해석적 분석틀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8년 8개월이라는 상당한 기간 동안 이루어진 개별 미술치료사의 미술작업과 자기 인식 변화과정을 발달적 관점과 삶의 다각적인 측면에서 접근한 자문화기술지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차별성이 있다. 연구 수행을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Wilber의 AQAL 모델은 자기의 고유한 상대적 특성뿐만 아니라, 인간 내면의 보편적 특성에 대한 통합적 이해에 접근하고, 미술작품에 대한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의 의미 해석을 가능하게 했다. 자기 발달이 상위의 의식구조를 동일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같은 미술작품일지라도 보다 통합적이고 심원한 차원의 의미가 발견되었다. 역으로 미술작품의 시각화 과정, 매체 및 형식적 요소, 새로운 소재의 등장, 전반적 구도와 톤의 변화를 통해서도 자기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자의 자기 인식 변화과정에 영향을 준 개인적・관계적・사회적 경험에는 이상화된 대상관계, 동료 상담자들과의 평등하고 지지적인 관계, 여성주의에 대한 수용과 비판, 상실과 내적갈등에 대한 직면, 민주주의를 위한 사회 참여활동 등이 있다. 무엇보다 실재가 홀론의 홀라키적 구조이며, 하나의 홀론은 4상한을 가진다는 통합적 세계관의 수용으로(Wilber, 2008), 자기가 거쳐 온 홀라키적 발달과정을 분석하고, 4상한에서 소외・억압・고착된 지점을 발견하여 보다 통합적인 자기 발달의 방향성을 인식하게 된 의의가 있다. 둘째, 미술작업은 자아의 표현이자 확장으로써 ‘자아의 부분’이며, 보고 만지고 멀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자아의 분리’라는 흥미로운 모순을 내재하고 있다(Wadeson, 2008). 이러한 미술작업이 삶의 중요한 경험으로 놓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완성되고 축적된 미술작품들은 자기 발달의 여정에서 보다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의 통찰을 불러일으키는 잠재력으로 존재하였다. 자신의 미술작업을 ‘감각의 눈・이성의 눈・관조의 눈’으로 볼 수 있게 되면 ‘신체・마음・영’ 차원에서 자기 인식이 서서히 확장되고(Wilber, 2015b), 이러한 자각은 치유적이며 자기 발달을 지향했다. 미술작품이 가진 영속성은 지속적이고 오랜 시간 축적된 시각적 결과물을 통해 극대화되며, 자기의 고유한 상대적 특성뿐만 아니라 자기 발달의 구조와 패턴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창조와 예술창작에서 발휘되는 창조성이 동일하다고 보았던 Rank의 주장을 뒷받침한다(Rank, 1932: 김정현, 2009에서 재인용). 그리고 자기창조와 미술창작의 과정에서 발휘되는 창조성이 동일한 것이라고 할 때, 그것이 창발되는 패턴 또한 동일할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작업은 자기 인식을 통한 자기창조의 체험일 뿐만 아니라, 고착과 퇴행 등 발달상 문제를 직면하고, 자기 발달의 궤도에 재진입하는데 필요한 발달과제를 자각하도록 하는 창조적 지각(知覺)을 일깨우는 활동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자기 인식’이 ‘자기 발달’과 함께 홀라키적으로 확장되며, 지속적인 미술작업이 자각과 자기창조를 추동하는 창조적 체험이라는 통찰에 이르게 되었다. AQAL 모델이 자기와 미술작품에 대한 통합적 인식을 돕는 해석적 분석틀로써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여, 미술치료 영역에서 Wilber 이론의 실용적 접점을 찾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