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혁-
dc.contributor.authorSHEN, LINGYU-
dc.creatorSHEN, LINGYU-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52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5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05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052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97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겪고 있는 소리 내어 읽기에 대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시작했다. 그동안 소리 내어 읽기 또는 끊어읽기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유용한 전략임을 밝히고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먼저 끊어읽기 기존 연구의 의미 단위로서의 구, 절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 끊어읽기 기준 분류의 명칭 모호성과 비체계성의 문제, 그리고 중국인 중급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끊어읽기 교수 학습 방안이 부족하다는 점 등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분석 기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문장 안에서 서로 의미적으로 긴밀한 구(phrase)나 절(clause)에 초점을 두고 문장 단위, 구절 단위, 단어의 3가지로 크게 나누어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에 있는 6명 학습자를 대상으로 2회의 예비 실험을 실시하고, 본 실험 단계에서 한국인 모국어 화자인 박사과정의 전문가 2명과 중국에 있는 H 대학교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과 2학년 전체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중국 대학교에 있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긴 텍스트의 끊어읽기 양상에 대하여 음성 실험을 진행하여 음성 분석 프로그램인 Praat를 활용하여 원어민 녹음 자료의 끊어읽기 양상과 비교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끊어읽기의 횟수, 위치의 두 측면에서 살펴본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에 참여한 중국인 학습자가 문장 내에서 끊어 읽은 횟수가 원어민 보다 월등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어민 화자는 평균적으로 한 문장당 1~2회 끊어 읽는 반면에, 중국인 학습자는 평균적으로 한 문장당 5회 이상 끊어 읽는다. 둘째, 실험에 참여한 중국인 학습자가 끊어 읽는 위치가 부적절한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문장을 이해하고 어디서 끊어 읽어야 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실제로 소리 내어 읽을 때 발음의 어려움도 겪고 있음을 흔히 보인다. 셋째, 실험에 참여한 중국인 학습자가 의미 처리를 구나 절 단위로 묶어서 소리 내어 읽지 못하고 시각적인 휴지 표지(띄어쓰기, 문장부호 등)와 담화 표지에 의존하여 어절 단위로 끊어 읽는 경향이 강하다. 넷째, 실험에 참여한 중국인 학습자가 특히 연결 표현과 인용문을 끊어 읽는 것이 어색하고 부자연스러우면서 끊어 읽기의 단위가 짧고 횟수가 빈번하며 휴지가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난다. 다섯째, 실험에 참여한 하위 집단 중국인 학습자보다 상위집단 학습자들이 평균적으로 한국어의 소리 내어 읽기 속도가 빠르지만 원어민 화자보다 아직 상대적으로 느린 수준이다. 본 연구는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긴 텍스트에 대한 끊어읽기 양상의 음성 실험을 통하여 자세히 관찰하고 원어민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고 끊어읽기의 특징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끊어읽기 양상 및 분석 결과, 그리고 끊어읽기 기준을 토대로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읽기 유창성 신장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지도 방안을 기준별 접근법과 과정 중심 접근법을 사용하여 현시적 교수법을 적용하여 마련했다, 앞으로 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에게 끊어읽기 교육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험에 참여한 인원이 한국어 교육 전문가 6명과 중급 한국어 학습자 총 28명에 불과하여 이는 본 연구에 큰 제한점이다. 앞으로 음성 실험을 활용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의미단위로 끊어읽기에 관련된 더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더욱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소리 내어 읽기 오류 양상이나 모국어의 영향을 연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서 읽기는 곧 독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아 낭독의 중요성을 소홀하기 쉬운 현실에서 의미단위별 끊어읽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의미단위로 끊어읽기를 가장 잘 구성하고 연습할 수 있도록 소리 내어 읽기의 앱(App) 개발도 기대된다.;This study aims to solv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the process of read-aloud. Heretofore, many studies have revealed and verified that read-aloud and segmenting sentences are effective strategies for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is study begins by pointing out some problems in the existing studies of chunking, including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hrases and clauses as units of meaning; the vagueness and non-systematization of the items of standards for segmenting sentences; the lack of effective teaching plan of chunking designed for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so forth. On this basis, the current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standards for chunking in previous studies, focuses on phrases and clauses that are meaningfully interrelated in sentences, and proposes that standards for segmenting Korean sentence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 general - phrases, clauses and words. Pilot studies were conducted twice on 6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Korea, and then the main study was carried out on 2 Korean doctors as native speakers of Korean language and 20 sophomore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H University in China. The researcher did phonetic experiment on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Chinese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ir chunking of long texts, and compared their read-alouds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by virtue of Praat – a phonetic analysis program.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two aspects of the frequency and position of chunking in their read-alouds. First,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the experiment (hereinafter, Chinese learners) segmented sentences far more often than native speakers. In a sentence, on average, native speakers segmented once or twice, while Chinese learners did more than five times. Second, Chinese learners often segmented sentences in inappropriate positions because they could not correctly understand the sentences and accurately determine where to segment them. Also, they had difficulties in pronunciation when reading aloud. Third, Chinese learners could not integrate the phrases or clauses as units of meaning when reading aloud. Instead, they relied on pause markers (e.g. spacing words and punctuations) and discourse markers as they saw, and they had a strong tendency to segment sentences by units of word segment. Fourth, Chinese learners segmented awkwardly and unnaturally when reading aloud the connective expressions and quotations. They frequently segmented sentences in relatively short units and the pause time was relatively long. Fifth, compared with Chinese learners in low-score group, those in high-score group generally reading aloud faster in Korean. However, the Korean level of Chinese learners was still far from that of native speakers. In the present study, phonetic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cquire the samples of chunking for long texts of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fter observing and comparing the results of Chinese learners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the features of chunking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chunking samples,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standards for chunk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are formulated by combining the process approach and criteria approach together in order to improve the reading fluency of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also serve as a teaching material for chunking of intermediat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However, only 6 education experts for Korean language and 28 learners of Korean languag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small sample size is the major limitation in the present study. It is hoped that more in-depth studies explore the chunking (segmenting sentences by units of meaning) of more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hrough phonetic experiments in the future. Meanwhile, studies on the errors in reading aloud and the influence of speakers’ mother tongue are also necessary.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reading aloud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f Korean where reading is equivalent to understanding. Theref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change the understanding of chunking. Furthermore, an App that can help to motivate learners to read and fully practice segmenting sentences by chunking is expected to be develop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5 C.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6 Ⅱ. 이론적 배경 18 A. 독해와 소리 내어 읽기 18 1. 독해의 개념 18 2. 독해의 구성 요소 및 과정 19 3. 독해와 소리 내어 읽기의 관계 21 B. 소리 내어 읽기 24 1. 소리 내어 읽기의 정의 및 특징 24 2. 소리 내어 읽기의 유창성 25 C. 의미단위로 끊어읽기 27 1. 의미단위로 끊어읽기의 정의 28 2. 의미단위로 끊어읽기 교육의 필요성 31 3. 의미단위로 끊어읽기의 위치 32 Ⅲ. 의미단위로 끊어읽기의 분석 기준 및 양상 분석 35 A. 의미단위로 끊어읽기의 기준 35 B. 의미단위로 끊어읽기의 실험 절차 51 1. 텍스트 선정 51 2. 예비 실험 52 3. 본 실험 53 C. 소리 내어 읽기 실험 결과 분석 57 1. 분석 방법 57 2. 텍스트 A 끊어읽기 양상 결과 분석 59 3. 텍스트 B 끊어읽기 양상 결과 분석 79 4. 기준별로 끊어읽기 양상 분석 100 Ⅳ. 읽기 유창성 신장을 위한 의미단위로 끊어읽기 교수학습 방안 106 A. 끊어읽기 분류 기준에 따른 교수학습 방안 106 1. 끊어읽기 교수 내용 106 2. 교수 내용 안배 및 예시 108 3. 교수학습 주의 사항 111 B. 읽기 전중후 과정에 따른 끊어읽기 지도 방안 111 1. 읽기 전 활동 112 2. 읽기 중 활동 113 3. 읽기 후 활동 114 Ⅴ. 결론 116 참고문헌 119 부록1. 실험 참여 동의서 123 부록2. 텍스트 선정 설문지 124 부록3. 설문지 128 부록4. 실험 테스트 130 ABSTRACT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71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소리 내어 읽기 양상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의미단위로 끊어읽기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nalysis of Reading-Aloud Patterns of Chinese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Learners –Focusing on Reading Korean Text by Chunking–-
dc.creator.othernameSHEN, LINGYU-
dc.format.pagevii, 138 p.-
dc.contributor.examiner김은성-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서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