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청소년 대상 심리·정서 지원 음악치료사의 임상경험에 따른 전문 역량 인식에 관한 조사

Title
청소년 대상 심리·정서 지원 음악치료사의 임상경험에 따른 전문 역량 인식에 관한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n Percep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 in Music Therapists Provid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Adolescent
Authors
윤순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리·정서 지원 음악치료를 제공하고 있는 치료사들의 전문 역량에 대한 자가 평가 수준과 중요성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갖는다. 설문지는 크게 대상자의 일반적인 정보, 전문 역량의 자가 평가 수준, 전문 역량에 대한 중요성 인식, 대상자의 전문 역량 향상을 위한 제안 내용까지 총 4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각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청소년 대상 심리·정서 지원 음악치료사들은 각 전문 역량(임상역량, 음악역량, 개인내적 역량)에 대한 자가 평가 수준 평균 점수보다 중요성 인식에 대한 평균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개인내적 역량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치료사들은 임상역량의 세부영역 중 치료실행 및 평가 관련 문항에서 ‘매회기 세션 이후 다음회기 음악활동의 적절한 구성’ 문항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대상 심리·정서 지원 음악치료사 전체 응답자와(N=71) 심리·정서 지원 세션비중이 높은 응답자들(n=33) 모두 공통적으로 개인내적 역량 문항 중 ‘청소년 내담자를 진심으로 이해하고 공감’하는 문항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상자들이 경력의 정도와 상관없이 청소년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음악치료 시 이러한 역량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대상 심리·정서 지원 음악치료사들의 전문 역량 향상을 위한 자가 노력 내용 중에서는 임상역량 관련하여 청소년 관련 전문 서적 탐구, 청소년 심리상담 자격증 공부 및 취득, 청소년 관련 최근 연구 경향 파악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n=47), 교육지원을 위해 제안하는 내용에서는 청소년 대상 관련 연구, 음악치료 사례, 프로그램 관련 워크샵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n=18).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음악치료를 제공하는 치료사들의 전문 역량 수준을 계속적으로 점검하고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self evaluation level and perceived significance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 music therapists who provid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adolescent.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4 sections: general information of participants, self evaluated level of professional competence, significanc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participants’ suggestion for improvement in professional competence.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inquiry.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n significance recogni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clinical, musical, and intrapersonal competence) was higher than the self evaluation score, and the intrapersonal competence score was the highest. Second, in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rapy which is a subsection of clinical competence, it is identified that participants regard ‘constructing adequate music activities for the next session after each sessions’ most important. Third, the total participants (music therapists who provid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adolescent, N=71) and participants who provid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the most among their total music therapy practice (n=33) have commonness in perceiving ‘sincerel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adolescents’ most important among questions related to intrapersonal competence. This result implies that music therapists, regardless of the length of career, perceive these competencies most important in music therapy for adolescent’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Lastly, for improvement in clinical competence by their own effort, most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y study specialized publications about adolescent, acquire or study for youth psychological counseling certification, and understand the current research trend of adolescent (n=47). Also, participants suggested that activation of research about adolescents, music therapy cases, and workshops related to programs (n=18) are most necessary for educational support. The result of the study have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e line data for music therapists who provid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adolescents in clinical arenas to continually and improve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