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상미-
dc.contributor.author고아영-
dc.creator고아영-
dc.date.accessioned2018-09-05T08:24:46Z-
dc.date.available2018-09-05T08:24:46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511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5111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5941-
dc.description.abstractAs the society is being aged, various problems related with the elderly are occurring. As the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is shrinking, problems such as depression, self-neglect, social alienation, and lonely death become serious social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social alienation of the elderly an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ife by restoring the social network.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soci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lives of the elderl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volunteer activities. For this purpose,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9,761 aged people out of the Senior Citizen Survey in 201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ce of spouse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of the elderly, while the presence of cohabiting children showed nega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of the elderly from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social network. However, the frequency of non-cohabiting children, brothers, sisters, relatives, acquaintances, friends and neighbo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of the elderly. Furthermore, the frequency of use of Senior Citizens’ Center and the status of employment had also positive effects. Second, the degree of emotional help,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social network, had positive effects and the instrumental help had negative effects. Economic help showed positive effects. Finally, when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riends, neighbors, and acquaintances and the use of Senior Citizens’ Center showed significant results. It showed positive moderating result with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riends, neighbors, and acquaintances and showed negative moderating effects with the frequency of the use of Senior Citizens’ Center. The implications of this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ce of cohabiting children had nega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resence of cohabiting children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re not consist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nvestigate how changes in the form and perception of care in Korea have been made.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how the cohabitation of children negatively affects the elderly. Second, the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should be expanded. If the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was family-centered, it means that brothers, sisters, friends, neighbors played an important role. Therefore, when the spouse of children are absent or do not function properly, the quality and quantity of the social network should be improved so that other groups can play the role. Third, the degree of instrumental help of the children affected negativel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polici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ho are dependent on their children due to physical and mental deterioration and to relieve the burden of their children. Fourth,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revitaliz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volunteer activities reinforced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contacts with friends, neighbors, and acquaintance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other words, if volunteer activities that they can do with friends and neighbors in the community are activate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ll be further enhanced. Therefore,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activated by performing systematic management and public relations of elderly volunteer activities and planning volunteer activity programs suitable for the elderly;고령화 사회로 진행될수록 다양한 노인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위축되면서 우울, 자기방임, 사회적 배제, 고독사 등의 문제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사회적 관계망을 회복하여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측면과 기능적 측면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자원봉사활동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실태조사 2014 자료 중 노인 9,761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측면에서 배우자 유무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보였고, 동거자녀의 유무는 부적 영향을 보였다. 하지만 비동거자녀, 형제·자매·친, 인척, 친구·이웃·지인의 접촉빈도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 또한 경로당 이용 정도와 취업 유무도 정적 영향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측면인 정서적도움 정도는 정적 영향을, 도구적도움 정도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경제적도움 유무는 정적 영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친구·이웃·지인의 접촉빈도와 경로당 이용 정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친구·이웃·지인의 접촉빈도와는 정적 조절효과를, 경로당 이용 정도에서는 부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거자녀 유무는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내외에서 동거자녀 유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일관적이지 않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부양형태 및 의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자녀의 동거가 어떤 이유로 노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을 확대해야 한다.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가족중심이었다면 최근에는 형제·자매·친구·이웃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배우자 및 자녀가 존재하지 않거나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때에는 다른 집단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계망의 양과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자녀의 도구적도움 정도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신체적·정신적 기능 저하로 인해 자녀에게 의존을 하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증진과 자녀의 부담을 덜어줄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는 자원봉사활동이 친구·이웃·지인의 접촉빈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강화시켰다. 즉, 지역사회 내에서 친구 및 이웃과 함께 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이 활성화 된다면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더욱 증진될 것이다. 따라서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및 홍보, 그리고 노인에게 적합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3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A. 삶의 만족도 5 1. 삶의 만족도의 정의 5 2.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6 B. 사회적 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8 1. 사회적 관계망의 정의 8 2. 사회적 관계망의 구성 9 3. 사회적 관계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12 c. 자원봉사활동과 삶의 만족도 16 1. 자원봉사활동의 정의 16 2. 자원봉사활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18 Ⅲ. 연구방법 20 A.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0 B. 조사대상 및 분석자료 22 C. 변수정의 및 측정 23 D. 분석방법 27 Ⅳ. 연구결과 28 A.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특성 28 B. 주요 변수의 기술적 분석 29 C.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31 D.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 분석 35 Ⅴ. 결론 및 논의 41 A. 연구결과 요약 41 B. 연구의 함의 46 C.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49 참고문헌 51 ABSTRACT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10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사회적 관계망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volunteer activity-
dc.format.pagev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