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29 Download: 0

이분법적 기술 담론 비판과 돈 아이디(Don Ihde)의 다중 안정적 기술세계에 관한 고찰

Title
이분법적 기술 담론 비판과 돈 아이디(Don Ihde)의 다중 안정적 기술세계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Criticism of dichotomous discourses on technology and a study on Don Ihde's multistable technological world
Authors
유지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지애
Abstract
2016년 세계경제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이 처음 논의된 이후, 여기저기서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한다. 하루에도 수 십 개의 사이보그,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을 다룬 기사나 연구, 영화 등이 쏟아져 나오며 과학, 산업, 교육, 정치, 행정, 종교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이를 말한다. 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의 지능정보기술과 3D 프린팅,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과 같은 신기술이 결합해 전 세계의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의미한다. 우리는 4차 산업의 기술들이 앞으로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이나 효과를 끼칠지 궁금해 하며 여러 전망을 쏟아낸다. 이는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하나는 ‘기술 유토피아적 관점’으로 이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기술이 인간에게 더 많은 편리함과 윤택함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인류가 더 진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 믿는다. 반면, ‘기술 디스토피아적 관점’은 기술이 자연을 심각하게 파괴시키고 창조자인 인간을 넘어서서 인간을 위협하고 지배하게 되어 결국 우리 세계와 우리를 망칠 것이라 주장한다. 기술현상을 둘러싼 이 같은 이원론은 오늘날 새롭게 출현한 논쟁이 아니다. 그것은 기술이 존재한 이래로 늘 있어왔다. 단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매력적인 구호 아래서 인간은 이미 어디에나 늘 존재하고 있었던 기술을 새삼 발견한 후, 고루한 이분법적 기술담론에 다시금 빠져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술에 대한 두 관점은 분명한 한계를 보인다. 왜냐하면 이 담론들은 기술의 좋고 나쁨과 같은 기술의 효과만을 다룰 뿐 ‘기술 그 자체’를 논의하지 않기 때문이며, 인간이 기술을 만들고 사용한다는 단순한 차원을 넘어선 ‘인간과 기술’ 혹은 ‘사회와 기술’같은 복합적 차원의 다양한 관계를 분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지를 목표로 삼는다. 첫 번째는 아이디의 현상학적 기술(도구) 분석을 통해 인간과 기술이 어떠한 다양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탐구하고 기술에 대한 이해를 재정립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4차 산업에 속하는 몇 가지 기술들, 즉 사이보그, 인공지능, 나노 세계를 들여다보는 장비와 같은 구체적인 예에서 우리가 가지게 되는 기술 낙관론과 기술 비관론을 분석하고 비판하는 작업을 통해 이분법적 기술담론을 벗어나고자 한다. 두 번째는 인간-기술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문화)-기술 차원의 거시적인 차원에서 작동하는 기술을 살펴보며 기술의 본질적인 가능성인‘기술의 다중안정성’을 제안하고 기술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고 애매하게 나타나는 기술의 기능과 사용들이 결정된 일방향의 기술 궤도가 아닌, 여러 갈래의 기술 궤도들이 탄생할 수 있게 하며 이 풍부함이 기술을 다중 안정적으로 만듦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처럼 기술 그 자체에 대한 이해와 분석으로 나아가기 위해 Ⅱ장에서는 기술의 효과나 과학 이론이 적용된 기술과 같은 기술 주변부가 아닌 ‘기술 그 자체’를 철학적 사유의 주제로 복권시키는 작업을 선행한다. 기술의 효과에 대한 논의에는 ‘기술 중립론’이 전제되어 있다. 기술은 보통 좋은 것이며 문제에 대한 책임은 그것을 올바르게 사용하지 못한 인간의 행위에 놓인다. 적용된 과학으로서의 기술 개념에서는 기술은 과학 이론이 적용된 어떤 것이므로 기술에 우선하는 것은 ‘과학’이 된다. 이 둘은 모두 기술을 말하고 있지만 역설적으로 ‘기술 그 자체’는 주제화되지 않고 오히려 망각된다. 그러므로 하이데거의 과학에 대한 기술의 존재론적 우선성과 아이디의 과학에 대한 기술의 역사학적 우선성을 통해 기술을 사유의 주된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존재로 복권하는 작업을 한다. Ⅲ장에서는 아이디가 현상학적 기술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후설, 하이데거,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개념과 이 철학자들에게서 아이디가 발견한 상관관계의 기본 틀을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먼저‘인간-기술’이 맺고 있는 네 가지 관계인 체현 관계, 해석학 관계, 타자 관계, 배경 관계를 설명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알아 본 아이디의 기술 분석을 4차 산업의 사이보그, 인공지능, 나노 세계를 들여다보는 도구들과 같은 구체적인 예들에 적용해 보는 작업을 한다. 이 기술들에서 어떠한 유토피아적 환상과 디스토피아적 공포가 발생하는지 아이디의 인간-기술의 현상학적 구조를 통해 분석하고 그 구조에서 발견되는 불변항인 ‘기술의 비중립성’, ‘기술의 확대-축소 구조’, ‘세계 재귀성’을 통해 비판하는 작업을 할 것이다. 이후 유토피아적 기술론이나 디스토피아적 기술론을 벗어나 다른 방식으로 기술을 바라보는 방식을 제안하려 하며 그것은 바로 ‘기술의 다중안정성’이다. 기술은 인간-기술의 미시적인 차원과 사회(문화)-기술의 거시적인 차원과 교차하여 복잡하고 애매한 모습을 띄며 이것이 다양한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는 기술의 본질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기술의 다중안정성을 이해할 때 우리는 이분법적 기술담론에 쉽게 빠져드는 대신, 지금의 기술이 어떠한 다양한 궤도를 그리고 나아가고 있으며 그 기술이 우리와 세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어떻게 재귀적으로 영향을 끼치며 새로운 해석을 생산하는지 좀 더 분명하게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as first discussed at the World Economic Forum in 2016, many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have talked ab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are dozens of articles, researches, and movies that deal with cyborg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etc.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spoken in almost every field of science, industry, education, politics, administration, and religion. According to Klaus Schwab, chairman of the World Economic Foru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project to develop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AI, IOT, cloud computing, big data, and mobile, 3D printing, Engineering, nano technology, and so on, which means a next-generation industrial revolution that connects all products and services around the world to networks and intelligences things. We wonder how th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y will have an impact on our lives in the future and then we predict in many ways. They are summarized in two major ways. One is the utopian view on technology. Those who assert this will believe that technology will provide more convenience and enrichment to humans and will ultimately help human beings progress. The other is the dystopian view on technology. Those who claim this insist that technology will seriously destroy nature and threaten and dominate humans who create it, eventually ruining our world and us. This dualism surrounding technological phenomena is not a new emerging dispute today. It has always been there since technology existed. Under the fascinating sloga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uman beings have been discovering technology once again that had always been in existence everywhere, and then falling back into a fairly dichotomous discourses on technology. However, these two perspectives on technology show clear limits. Because these discourses only deal with the effects of technology such as good or bad, but do not discuss technology itself, and they do not analyze the various relationships of a complex level such as haman beings and technology or society and technology. Starting from this consciousness, this thesis aims at the following two. The first is to identify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human and technology,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for technology(tool) of Ihde, and to redefine understanding of technolog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I analyze and criticize the optimism and pessimism for technology that can find in cybor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quipments for observing nano world which involve in the 4th Industry Revolution. By doing this, I want to escape the dichotomous discourses on technology. The second is to explore technologies that operate at the macro scale of society(culture)-technology as well as micro scale of human-technology. Then, I propose multistability of technology, which is the essential possibility of technology. It will expand the horizons of understanding technology. In order to comprehend and analyze the technology itself, in chapter II, I deal with not the periphery of technology such as the effect of technology or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but the work of rehabilitating technology itself as a subject of philosophical thought. The discussion of the effects of technology is premised on 'technology neutrality'. Technology is usually good, and responsibility for the problem lies in human actions that do not use it correctly in it. In the concept of technology as applied science, technology is something that is applied to scientific theory, so it is science that gives priority to technology. Both of them speak of technology, but paradoxically, technology itself is not a subject but rather is forgotten. Therefore, I work to rehabilitate technology as the main object of thought through the ontological priority of technology over science of Heidegger and historical priority of technology over science of Ihde. In Chapter III, I examine the phenomenological concept of Husserl, Heidegger, and Merleau-Ponty which Ihde uses for phenomenological analysis for technology, and the basic framework of the correlation that Ihde finds out in these philosophers. Based on this, I will first explain the four types of human-technology relations, which are embodiment relation, hermeneutic relation, alterity relation and the background relation. In Chapter Ⅳ, I apply the analysis for technology of Ihde that we learned in Chapter Ⅲ to specific examples such as cybor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quipments for observing nano world. I analyze the utopian fantasy and dystopian fear in these technologies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structure of the human-technology and I criticize both of them using phenomenological invariants which are non-neutrality of technology, amplication-redection transformation and world reflexivity. Then I am going to propose a new way to look at technolog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ichotomous discourses on technology, which is multistability of technology. Technologies intersects with the microscopic dimension of human-technology and the macroscopic dimension of society(culture)-technology, and have complex and ambiguous appearances. This is an essential aspect of technology that implies various possibilities. When we understand the multistability of technology, we do not get too easily into dichotomous discourses on technology, but rather we can have a broden and clear view like how the current technologies are moving in a variety of orbits and how the technologies reflexively influence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