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7 Download: 0

Co-design 관점의 장소브랜딩 연구

Title
Co-design 관점의 장소브랜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lace Branding from the Co-design Point of view : Based on Abandoned Railroad Urban Park
Authors
정예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수정
Abstract
오늘날 디자인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디자인 분야에서는 ‘참여’의 의미에 이목이 집중하게 되었고, 직접적으로 창조적 디자인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전문가가 중심이 되는 디자인 프로세스 틀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고 소통하여 함께 결과를 만들어 내는 Co-design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장소브랜딩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사용자들은 기관의 중심의 일방적인 장소브랜딩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장소브랜딩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스스로 장소의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재생산하여 해석하고 경험할 수 있게 하는 총체적인 관점의 장소브랜딩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최근 국내에서 폐철도부지를 활용한 도심공원 사업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Co-design을 접목한 장소브랜딩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Co-design 장소브랜딩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 어떠한 요소를 내포해야 하는 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자들의 참여디자인의 요소에서 Co-design을 위한 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도출된 Co-design 요소를 국내·외 폐철도부지 도심공원 장소브랜딩 사례의 현황을 파악을 위해 분석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파악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내의 폐철도부지 도심공원의 선도적인 사례로 언급되고 있는 경의선 숲길 연남동 구간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Co-design을 반영한 장소브랜딩의 효과적인 방안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는 장소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디자인 플랫폼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정 대상의 장소브랜딩에 대한 문제점과 대상에 대한 인지도, 이용현황 및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선정 대상의 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키워드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상의 장소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디자인 플랫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장소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디자인 플랫폼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장소브랜딩 과정에 참여하여 대상의 장소브랜딩이 신뢰적이고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기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참여의 의미에 집중한 Co-design을 장소브랜딩 구축을 위한 방법론으로 사용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적 측면의 디자인 접근을 함께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폐철도부지와 같은 공공장소의 장소브랜딩에서의 선도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Today, changes in the design paradigm have brought attention to the meaning of ‘engagement’ in design, and users who can perform creative design activities directly. Thus, the need for a ‘Co-design’ was started to move away from the professional design process frame and to produce results by participating and communicating with various stakeholders. This is also happening in the place branding. Users were able to reproduce, interpret and experience the need for a new place's total value and meaning themselves by participating directly in the place branding process, rather than experiencing the one-way branding at the center of the organization. Recently, due to the increase in urban park projects utilizing Abandoned Railroad in Korea, the company is trying to branding places with a variety of stakeholder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at elements should be implicit in order to successfully establish the co-design of the co-design place branding. To this end, elements were derived for the co-design from elements of the participating design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The derived co-design elements were set as the basis for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branding cases for urban parks on domestic and external Abandoned Railroad. To complement the problems identified through case analysis, the co-design was selected to reflect the co-design of the Yeonnam-dong section of the Gyeongui Railroad, which is mentioned as a leading example of the downtown park of the place. This is to develop a location brand identity and a design platform system, which is limited in scope.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cognition, utilization and image of the issues and targets concerning the place branding of the selected targets. As a result of the survey, we were able to derive keywords for the design direction of the target and based on them, we developed the place brand identity and design platform system. Through the developed place brand identity and design platform system, various stakeholders will participate in the place branding process, expecting that the place branding of the target can be maintained reliably and in the long run.This study used a co-design focused on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as a methodology for place branding, an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a visual approach to design was attempted together.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leading example of place branding in public pla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