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의 실현 양상 대비 연구

Title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의 실현 양상 대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the speech act of ‘Response to the Complaints’between Korea and China
Authors
GAO, JING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혜영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그리고 중국어 모어 화자 세 그룹을 대상으로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의 실현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차이점과 공통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은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데 민감한 화행으로 적절한 응답이 요구된다. 응답을 적절하게 하지 못할 경우 서로의 체면을 손상시키기 쉬우며, 상대방과의 원활한 관계,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여 응답하면 이미 손상된 체면을 회복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의 관계를 더 좋게 맺을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불평에 대한 적절한 응답은 사교적인 기능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불평 응답 화행에 관한 대조 연구는 현재까지 별로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의 대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어 모어 화자,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불평 응답 화행에 대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구체적인 연구 질문들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불평 화행과 불평 응답 화행의 선행 연구를 자세하게 살펴보았고 연구 방법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불평 화행과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서면 담화완성형테스트를 통해서 실시한 예비 조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예비 조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진행한 본 실험에 관하여서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세 집단의 실제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상황에 따라서 각각의 집단이 사용하는 전략의 양상을 분석하였고, 다음에으로는 변인별로 각 변인이 작용하는 상황에서 각각의 집단이 사용하는 응답 전략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먼저 4-A 부분에서는 상황에 따라 각 집단이 사용하는 세부 응답 전략을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할 때 각 상황에서 세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통계적으로 검토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황에서 각 집단이 청자 중심 전략을 선호하는지 화자 중심 전략을 선호하는지를 다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 모어 화자는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더 청자 중심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 대상으로 삼은 학습자 집단은 중급 학습자와 고급 학습자를 다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두 그룹도 어떤 특별한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다루었다.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가 중국인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더 한국어 모어 화자에 근접한 응답 전략을 선호하였다. 또한, 4-B에서는 불평에 대한 응답 화행이 화청자간의 친밀도, 사회적 권력, 불평의 강도라는 세 가지 변인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본고에서 불평에 대한 응답 전략 선택에 이상의 세 변인이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친밀도의 경우가 친밀한 경우, 보통인 경우, 소원한 경우로 세분하였으며, 사회적 권력의 경우 권력의 정도가 높은 경우, 동등한 경우, 낮은 경우로 나누었다. 마지막으로 불평의 강도는 상대방이 강하게 불평을 하는 경우와 약하게 불평을 하는 경우로 나누어 각각의 집단에서 드러나는 응답 화행의 수행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고를 통해서 세 집단의 불평에 대한 응답 실현 양상을 전면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행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as well as to compare and contrast, how speakers of different languages form ‘verbal responses to complaints’. The studied groups are (1) native Korean speakers, (2) native Chinese speakers and (3) native Chinese speakers who learned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e way complaints are responded t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aintenance of cordial relationships.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one makes suitable verbal responses to the complaints that he or she receives. Making inappropriate verbal response will not only bring disgrace to both parties but can also make it difficult to maintain harmonious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various response strategies can be utilized to recover or even further improve a strained relationship. In this sense, the ability to make appropriate verbal responses to complaints is also a form of social skills. Upon reviewing literatures related to ‘responses to complaints’ in Korean conversations and also that of Chinese conversations, it was found that very few literatures has attempted to compare and contrast both conversational styles, despite the great importance of such a study.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between how complaints are verbally responded to by speakers of different languages, and is done so by conducting surveys targeted at native Korean speakers, native Chinese speakers and Korean-learning native Chinese speakers. The first section explains the purpose and importance of conducting a research on ‘verbal responses to complaints”, and also specifies the key research questions of this research. Besides, a thorough review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mplaints’ and ‘response to complaints’ was performed before choosing ‘discourse completion test’ as the main research methodology. The second section provides a background overview of research studies related to ‘verbal responses to complaints’. The third section describes how the preliminary research, which was in the form of a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 was implemented. Modifications were then made to improve on the weaknesses identified in the preliminary test before conducting the actual experiment. In the fourth secti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was analyzed to examine the actual response to complaints of the three participant groups. Firstly, the strategies used by each group to respond to complaints in each given scenario were explained one by one. Next, the scenarios were manipulated to reflect each variable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response strategies used by each participant group in each scenario were examined. In section 4-A, the specific response strategies used by each participant group in each scenario was explained. While analyzing these, a statistical analysis was also made to examine whether meaningful differences exists among the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for each scenario. Based on this statistical analysis, it was then determined whether each participants group prefers the ‘hearer-centered’ strategy or ‘speaker-centered’ strateg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in comparison to the two other groups, Korean speakers prefer the ‘hearer-centered’ strategy.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in the Korean-learning native Chinese speakers group include both advanced and intermediat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e difference between strategies used by the advanced learners and that of the intermediate learners was also examined. In this research, it was assumed that three social variables - the intimacy between the hearer and the speaker, the social power distance between them and the intensity of the complaints – asserts strong influence on the choice of response strategy. In section 4-B, the response strategies chosen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explained based on these three variables. For the first variable, the intimacy between the hearer and the speaker is defined as ‘close’, ‘moderate’ or ‘distant’. The second variable, which is social power distanc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hearer, is categorized into three levels which are ‘high’, ‘equal’ and ‘low’. Lastly, the intensity of the complaints is categorized as either ‘strong’ or ‘weak’. In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formation of verbal response to complaints by each target group can be understood from multiple aspects.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help to other Korean language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