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16 Download: 0

한국어 명령문과 청유문 연구

Title
한국어 명령문과 청유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Imperative and Hortative in Korean
Authors
KRAWMOH, WANIDA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문장 유형 중에서 명령문과 청유문의 문장 성분과 담화표지를 살펴보고, 명령문과 청유문 종결어미의 의미지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명령문과 청유문은 화자의 화행과 청자의 태도 측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그러나 명령문과 청유문은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를 구조적으로 설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문장 성분 및 담화표지를 검토하고 종결어미의 의미지도를 설정하면 한국어 명령문과 청유문의 특성과 두 문장 유형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과 연구 자료 수집 방법을 밝혔다.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한국어의 문장 유형 중에서 명령문과 청유문에 대한 논의는 두 유형을 같이 보거나 명령문만을 다룬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명령문과 청유문의 자리는 어디에 있고 어떻게 패러다임을 형성하는지에 관심을 둔다. 그런데 이때 종결어미의 동음이의성이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온라인 《표준국어대사전》과 이희자·이종희(1999)에서 제시된 명령형과 청유형 종결어미의 목록을 수집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21세기 세종계획 말뭉치 명령형과 청유형 종결어미의 빈도를 검색하였다. 그 출현 빈도에 따라 종결어미를 정리하여 연구 대상을 확정하였다. Ⅱ장에서는 문장 유형과 화행의 개념을 살피고 명령문과 청유문에 대한 기본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감탄문을 특수 유형으로 설정하고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을 기본 유형으로 설정하였다. 한편 명령문과 청유문을 판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형식적인 조건이다. 두 번째는 발화 참여자의 구조이며, 세 번째는 공간과 시간에 대한 조건이다. 마지막은 화행에 관련된 조건이다. 이 모든 조건들이 명령문과 청유문을 판별해 주는 기준이 된다. 형식적인 기준은 종결어미, 인용 표지, 부정소 표지, 그리고 인칭 대명사가 명령문과 청유문을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발화 참여자 구조는 인칭과 수가 중요한 판별 기준이라 할 수 있으며, 공간과 시간의 조건은 화·청자 간의 발화 장소와 발화 시간이 달라도 명령과 청유를 전달할 수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시간 조건은 시간 부사가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잘 나타나기 때문에 중요한 문장 유형 판별 기준이다. 마지막으로 화행은 문장 유형을 구분하는 화용적인 기준이다. Ⅲ장에서는 명령문과 청유문의 문장 성분과 담화표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문법적인 문장 성분과 화용적인 담화표지는 명령문과 청유문에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문장 성분과 담화표지가 문장 내에서 실현되는 양상에 따라 명령문과 청유문의 패러다임이 나타난다. 한편 한국어 명령문과 청유문의 문장 성분은 주어와 서술어뿐만 아니라 목적어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 목적어는 서술어와 깊은 관계가 있어 목적어, 즉 목적어에 붙이는 격표지에 따라 문장 유형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명령문과 청유문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문장 성분 이외의 요소도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장 성분과 부사어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부사어가 문장 성분들의 SOV로 정해진 자리 외에서 얼마나 나타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문장 성분의 자리 변동은 문장 차원에서 성분이 이동하는 방법과 절 차원에서 어순에 관한 검토를 하였다. 이외에 추가적으로 논의할 사항은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나타나는 담화표지이다.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나타나는 담화표지는 담화 배경, 문맥, 그리고 어느 다른 담화표지와 함께 나타나느냐에 의존하여 담화를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발화와 담화표지는 일대일로 의미와 용법을 정의하기 어렵다고 확인하였다. 명령문·청유문 형식의 담화표지화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인사말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담화표지는 화석화된 현상이라고 하며, 이 종류의 담화표지는 문장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어순 및 일부의 단어를 변경하면 담화표지가 파괴된다. 이러한 근거를 기반으로 일부의 명령문과 청유문은 담화표지화가 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명령형·청유형 종결어미 및 화행의 의미지도를 설정하였다. 의미지도를 통해서 한국어 명령문과 청유문 종결어미의 동음이의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종결어미의 구조가 비어 있는 경우 그 자리를 채워야 하는 문제가 있다. 동음이의성은 경어법 등급이 높을수록 잘 발견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 ‘-게’, ‘-어라/아라’, ‘-거라’,‘-구려’,‘-세요’,‘-세’,‘-ㅂ시다’,‘-자’의 종결어미를 논의하면서, 이들의 종결어미의 문장 유형, 화행 종류, 또는 기타 특성을 의미지도로 설명하였다. 동음이의성 문제를 비롯하여 종결어미의 구조가 비어 있거나 비어 있는 구조에서는 빈자리를 채워야 하는 잇따른 문제가 있다. 자리 채우미는 본 논문에서 의미적인 빈자리를 채우기와 문법적인 빈자리를 채우는 방법으로 나누었다. 이외에 명령과 청유의 화행 문제와 명령, 청유에 따른 응답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담화 구성에서 화·청자가 상호작용을 할 때 다양한 응답과 태도를 보일 수 있어 이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는 화행 문제를 반영하기 위해 의미지도를 통해서 밝힌 바가 있다. Ⅴ장은 결론으로서 본고의 논의를 정리하고 논문의 의의와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sentence constituents and discourse markers of the imperative and hortative sentence types and to establish a semantic map of the imperative and hortative sentence final endings. The imperative and hortative share similarities in the speech act of the speaker and the attitude of the listener. Nevertheless, the two sentence types are clearly different, and the differences are difficult to explain in a structural manner. By examining the sentence constituents and discourse markers closely and establishing a semantic map of the sentence final endings, this study sets ou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mperative and the Korean hortativ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entence types. Section I presents the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question, and reviews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topic. It also outlines the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literature review reveals that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about the imperative and hortative sentence types in Korean have considered the two types together, or have only looked at the imperative.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position of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and examines the way the paradigms are formed. In the process, the homophony of the sentence final endings becomes problematic. Acknowledging this problem, the present paper outlines the list of sentence endings with imperative meanings and hortative meanings suggested by the online 《Korean Standard Unabridged Dictionary (P’yojun kukŏ taesajŏn)》 and by Yi Hŭija and Yi Chonghŭi (1999). Using the collected list as the object of study,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sentence final endings in both colloquial and written language are examined. To finalize the object of research, the sentence final ending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frequency. Section II examines the sentence types and the speech act concept, and discusses the fundamentals of the imperative and hortative modes. This study establishes exclamations as a special type, and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and hortative sentences as basic types. Along with the sentence types, the speech act types must also be examined. However, categorizing the speech act types is not as easy as categorizing the sentence types, as the task of classifying the speech act types is akin to distinguishing between utterance verbs and cognitive verbs. As such, the present study does not distinguish the speech act types. The following criteria allow to differentiate between an imperative and a hortative sentence: the morphological conditions; the structure from the speaker participant; the spatial and temporal conditions; and conditions related to the speech act. All of these conditions enable discrimination between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In the morphological condition, the sentence final ending, quotation marker, negation marker, and personal pronouns are important criteria to distinguish between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Regarding the speaker-listener participant structure, the person and number are important distinction criteria. The spatial and temporal conditions confirm that the command and encouragement can be delivered even if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re different. Furthermore, as regards the temporal conditions, temporal adverbs clearly appear in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making this an important criterion. Lastly, the speech act is a pragmatic criterion for categorization of the sentence types. Section III discusses the sentence constituents and discourse markers of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Grammatical sentence constituents and pragmatic discourse markers can appear simultaneously in both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Depending on the way the sentence constituents and the discourse markers appear in a sentence, the paradigms of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are revealed. At the same time, when discussing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in Korean, the object of the sentence must be discussed in addition to the subject and the predicate, as the objec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dicate; in other words, the case marker that follows the object determines the sentence type. Moreover, in order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aspects other than the sentence constituents must also be considered.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tence constituents and the speech parts, particularly adverbs. It assesses to what extent adverbs can appear within the established positioning of the SOV sentence constituents.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sentence constituents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method of movement of a constituent at the sentence level, and of the word order at the clause level. The discourse markers that appear in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must also be discussed. To examine discourse markers in the imperative and hortative modes, the discourse must be analyzed based on the discourse background, its context, and on the other discourse markers with which they appear. As such,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articulation and discourse markers on a one-on-one basis. The discourse markers that inform the imperative or the hortative appear in greetings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This type of discourse marker is called a fossilized phenomenon, and is composed on the sentence level. As such, the discourse marker is destroyed when the word order is changed or when some of the words are changed. On that basis, the present paper seeks to argue that some of the imperative and hortative elements have become discourse markers. In Section IV, a semantic map of the sentence final endings and of the speech acts of the imperative and the hortative is established. This semantic map solves the problem of homonymy of the sentence final endings of imperative and hortative sentences in the Korean language. However, when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final ending is missing, this sparks the problem of having to fill in that spot. It has been confirmed that homonyms are harder to find as the honorification level increases. In discussing the sentence final endings of “-게,” “-어라/아라,” “-거라,” “-구려,” “-세요,” “-세,” “-ㅂ시다,” and “-자,” the present paper explains the sentence types, the speech act types,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the sentence final endings using the semantic map. Along with the homonymy problem, non-existent sentence final ending structures and the need to fill that void are ensuing problems. The present paper uses semantic placeholder and grammatical placeholder and makes a distinction between the two. Furthermore, it examines the speech act problems of a command and an encouragement, and of the response to a command and an encouragement. As the response and attitude towards a command or an encouragement can vary as the speaker and listener interact, this aspect is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discourse formation. The latter is explored with the semantic map to reflect the speech act problem. Section V is the conclusion. It summarizes the discussion and lays out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as well as further questions to explor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