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교육실습 경험이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육실습 경험이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 to the quality of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s a music teacher
Authors
박세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을 경험한 후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 그 변화가 교육실습을 경험한 학교 급별로, 학교 유형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4월 중 4주 동안 교육실습을 나가는 사범대학교 음악교육 전공, 비 사범대학교 교직이수, 일반대학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 예비중등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사전 설문지와 사후 설문지에 모두 응답을 한 83명의 설문결과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교육실습 전에 사용되는 설문지는 예비음악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묻는 문항과 본인이 생각하는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의 중요도에 대해 묻는 문항 그리고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해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교육실습 후에 사용되는 설문지는 교육실습 전에 사용되는 설문지와 동일한 설문지에 교육실습 경험이 본인의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에 미친 영향에 대해 묻는 개방형 문항을 추가하였다. 검사 도구에 사용된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은 국내의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하위영역을 설정하고 문항을 개발하였다. 수집된 설문결과는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은 교육실습 전보다 교육실습 후에 증가되었다.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의 하위영역 중 ‘음악수업 교수 능력’이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고, ‘교사로서의 인성 및 태도’, ‘음악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학교에서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은 교육실습 전보다 교육실습 후에 증가되었다. 반면 고등학교에서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은 교육실습 전보다 교육실습 후에 증가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반중·고등학교와 예술중·고등학교에서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은 모두 교육실습 전보다 교육실습 후에 증가되었다. 넷째, 교육실습 전의 설문조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음악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이 교육실습 후의 설문조사에서는 가장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실습 전의 설문조사에서 가장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헌신’이 교육실습 후의 설문조사에서는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자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에 대한 사명감 및 헌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교육실습 후의 설문조사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난 ‘교육에 대한 사명감 및 헌신’을 현행 교육실습 제도가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실습학교의 음악교사와의 깊은 유대관계 및 그들의 삶에 대한 간접적인 체험을 통해 음악교사로서 지녀야 할 마음가짐 및 사명감에 대한 성찰을 하는 등 ‘교육에 대한 사명감 및 헌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교원양성 기관에서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 외의 다른 자질들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많은 선행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4주라는 교육실습 기간은 음악교과 내용에 대한 지식 외에 실제 학교교육 현장에서 습득할 수 있는 능력들을 모두 향상시키기에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교원양성 기관에서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직실무체험 프로그램, 음악진로지도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한 교육실습 학교 지도 교사의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성과가 실습학교 지도교사에 의해 결정될 만큼 지도교사가 교육실습생에게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교육실습 학교의 지도교사가 음악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한 자료와 신념을 가지고 교육실습생을 지도해야 교육실습 경험이 예비중등음악교사의 음악교사로서의 다양한 자질을 모두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적인 경험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도교사의 노력이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ing practice to the quality of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as a music teacher. The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quality as a music teacher of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 after teaching practice, and how the changes differ by types of classes and school where the teaching practice was conducted.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targeting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 majoring in music in college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or completed a course in education at other universities who will attend teaching practice on April 2018, and used survey results from 83 subjects who responded to both pre and post survey. As for the study tool, a questionnaire about quality as a music teacher of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 was used. It is composed of questions ask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music teacher, order of importance of quality as a music teacher, quality as a music teacher. As for the study tool used after the practice, question asking the quality of music teacher based on education practice experience was added to the questionnaire used before practice. To define the quality of music teacher used in the study tool, domestic and overseas previous researches were refer ed, and researcher set subcategory to develop questions. The collected survey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t-test. As the result, first, quality as a music teacher of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 increased after practic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usic class teaching ability' had the highest increase among sub categories while 'personality and attitude as a teacher' and 'knowledge about music curriculum' ha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quality as a music teacher of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 who experienced education practice in middle school increased after practic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ose who had education practice in high school showed increased in quality,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rd, quality as a music teacher of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who experienced teaching practice at general middle, high school and art middle and high school all increas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knowledge about music curriculum' which was the highest among quality significance of music teacher before teaching practice became the lowest after teaching practice, while 'devotion to education' which was the lowest significance became the highest significance factor after the practice. Fifth, the quality as a music teacher which improved the most through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was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interests toward student', and the least improved quality was 'knowledge about music curriculum'. The researcher's proposal based on the study result is first, 'there is a need to discuss about improvement measures for 'devotion to teaching' quality. As the current teaching practice system cannot improve the most important quality in survey, there is a need to prepare a measure for this. Second, there is a need to design a program that could improve qualities other than knowledge about music curriculum of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 at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s 4 weeks is a short period to improve abilities that could be obtained at actual school education field other than knowledge about the curriculum,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must design programs to improve various qualities as music teacher. Third, there is a need to conduct studies about instructing teachers at teaching practice school regarding quality of music teacher. Instructing teacher at teaching practice school should be able to instruct practicing teachers with knowledge and belief about quality of music teacher so that the preservice middle school music teacher could improve various qualities as music teacher and build influential exper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