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6 Download: 0

고등학교 음악과 진로 선택과목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Title
고등학교 음악과 진로 선택과목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조사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into recognizing about music and career elective subjects on high school music teachers
Authors
박미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음악과 진로선택 과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총 86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진로선택 과목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음악과 진로선택 교과의 채택 여부는‘음악연주’보다‘음악 감상과 비평’ 과목을 채택한 학교의 비중이 높았다. 다음으로 수업교재 사용 여부에 대해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음악과 진로’과목 수업 시 교과서 외에 추가적인 자료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인터넷 자료 활용의 빈도가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수업 재구성에 관해서 대부분의 교사들은‘음악과 진로’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였고, 음악 관련 직업 내용, 음악 활동(가창, 기악, 감상 등), 교과서 내용 및 제재곡 등 다양한 영역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있었으며, 교사 재량에 따라 내용구성과 방법에 대해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악과 관련된 진로 수업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활 속의 공간을 통한 직접적인 음악적 경험’에 대한 빈도수가 높았다. 둘째, 2009 ‘음악과 진로’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음악과 진로’교과 내용 수준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전반적인 단원의 내용이 적합하거나 보통이라는 인식이 많았다. ‘음악과 진로’ 교과 내용의 진로의식 함양 효과성 측면에 대해서는 대부분 ‘보통이다’는 의견이 많았다. 음악과 진로 수업 시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업 태도 및 관심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음악과 진로’의 교과 내용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활동이 음악 교과 목표의 관련성과 떨어지는 부분이 많다’에 대해 가장 많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과 진로’의 교과 내용에 대해 교사의 개인적 특성(성별, 근무지역, 교직경력)에 따른 응답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음악과 진로’교과 내용 수준의 적합성에 대해서는 개인적 배경에 따라서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음악과 진로’ 수업의 효과성과 ‘음악과 진로’교과 내용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음악과 진로’ 수업 시 겪는 어려움을 묻는 문항에서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자는‘학생들의 수업 태도 및 관심’을 가장 많이 응답하는 한편, 여자는 ‘해당 학습 자료의 부족’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2015 개정 진로선택 교과 내에서의 2009 ‘음악과 진로’ 교과 내용 구성 변화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2015 개정 음악과 진로 선택과목 개편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보통이다’라는 의견이 많았다. 2015 개정 음악과 진로선택 ‘음악연주’과목에서의 내용 변화에 대해서는 ‘보통이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음악 감상과 비평’과목에서의 내용 변화에 대해서는 ‘그렇다’는 응답이 많았다. 그리고 2009 ‘음악과 진로’ 교과내용에 대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배경에 따른 결과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개방형 문항 분석을 통해 다음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음악과 관련한 진로 내용의 보완점에 대해서 교사들은 교과 내용, 학생의 수업 태도 및 흥미, 학습자료, 교육과정 측면에 관련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음악교육에서의 더 나은 진로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해서는 교사연수 확대와 일반 학교에서의 원활한 수업을 위해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교과 내용의 보완, 학교의 적극적인 지원과 수업환경의 개선 등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는 음악교육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해 현실적인 보완점 마련이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본 연구는 현직 고등학교 음악 교사의 고등학교 음악과 진로 선택과목에 대한 인식에 대해 조사를 실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고등학교 음악과 진로 선택 과목 수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기를 바라며, 음악과 진로를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보급되기를 바라며, 더 나아가 음악교육에서의 진로교육에 대한 현실적인 개선 방안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bout music and career elective subjects on high school music teachers. To this end, total 86 copies of questionnaire on high school music teachers were used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nd compared the results.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general awareness about music and career elective subjects, there was a low percentage of teachers who selected ‘musical performance’ among 2015 career elective subjects, and by comparison,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teachers who selected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Also, it was identified that teachers selected ‘music’ subject of general elective courses when they did not select career elective subject. Most teachers were using additional data other than textbooks in ‘music and career’ subject, and used internet data most frequently. For reconstruction of class instruction, most teachers reconstructed contents of ‘music and career’ textbook and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reas. They reconstructed various areas as contents of occupation related to music, musical activity(singing, instrumental music, appreciation, habituation), music genres and musical pieces presented in textbooks, and showed difference in content construction and method by discretion of teachers. For contents that were considered importantly in career subjects related to music, musical experience through space in everyday life showed a highest frequency. Secondly,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about awareness of 2009 ‘music and career’ course contents. For suitability of ‘music and career’ course contents, there was a high recognition that contents of overall unit were appropriate or average. However, there was a high negative awareness that contents of college courses related to music among ‘the meaning of music and career’ unit are not appropriate, and there was quite a number of opinions that detailed contents of ‘challenges for career’ unit are not appropriate. For effectiveness aspect of ‘music and career’ course contents, there was a lot of opinions that the course contents are average. Many teachers recognized difficulties in music and career courses as class attitude and interest, and can be considered that it is because students still have very negative perception toward careers related to music. For problems about the course contents of ‘music and career,’ it was identified that teachers responded the most to ‘there are many areas that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 are not relevant to the objectives of music subject.’ Thirdly, the results of analyzing response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gender, working area, teaching career, specific major) of teachers to the course contents of ‘music and career’ are as follows.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recognition about appropriateness of ‘music and career’ unit content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Also, impact of music and career course on students and problems of course contents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The result signifies that general awareness of teachers about ‘music and career’ subject is similar regardless of their personal background. However, responses for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 in ‘music and career’ courses showed difference by gender. While men responded the most to ‘class attitude and interest of students,’ women responded the most to ‘the lack of the learning material.’ Fourthly, the results of analyzing awareness of changes in course contents of 2009 ‘music and career’ in 2015 revised career selection course are as follows. Among appropriateness of 2015 revised music elective courses, there was the highest number of opinions that changes in contents of ‘musical performance’ is average and many responded to ‘yes’ to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It was not appropriate to consider that teachers had positive opinion in general for changes in 2015 revised career selection courses. Also,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in awareness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but showed difference in questions for changes in contents of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according to their specific major. Keyboard instrument, composi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others responded the most to ‘yes,’ orchestral music showed highest response in ‘no’ and ‘average,’ and vocal music showed the highest response in ‘average.’ Fifth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nd analysis of questions for descriptive answers. For supplements of music related course contents, teachers presented their opinions regarding various aspects as course contents, class attitude and interest of students, learning material, and curriculum. For improvement direction of better career education in music education, they suggested supplementation of course contents about career related to music, active support of school, and improvement in class environment for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and smooth classes in general schools. This was the result that showed how preparing practical supplement points for career education in music education is urgently need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investigated awareness about high school music and elective subjects of current high school music teachers. High school music and course elective subjects are expected to be operated effectively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n instrument for the new platform for music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to develop together by preparing actual improvement methods of career education in music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