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8 Download: 0

음악교과에서의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 실태 조사

Title
음악교과에서의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 실태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f music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practice on learning-oriented class in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class
Authors
김성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survey music teachers’perception and practice on learning–oriented class in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class. For this study, a total of 102 music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music teachers understood purposes on the learning-oriented class and showed high interested in it. Respondents answered that incorporating learning-oriented class in music require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Secondly,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were incorporating learning-oriented class once a month or every time at their class. They were having difficulties applying cooperative class adopting learning-oriented class. On the other hand, they answered that students’ abilities to express their own feeling and understand other opinions were highly increased. Thirdly,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most reason why they could not easily incorporate learning-oriented class in music curriculum was that suggested teaching methodologies applying learning-oriented class in music class were very few to refer. Therefore, this means that various class models, educational guidelines and methodologies for incorporating learning-oriented clas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answers of respondents which is asking methods how to improve learning-oriented class in music curriculum,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much more class materials for learning-oriented class suitable for music curriculum should be introduced, and that they should take much more 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ors.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programs for instructors which deal with learning-oriented class and methodologies of making up music class incorporating learning-oriented class were insufficient. Also, respondents had answered that they should endeavor to plan and apply learning-oriented class in the curriculum. Fifth, there were not obvious differences in most inquiries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is means tha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curriculum of education do not affect applying learning-oriented class much.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perceptions on learning-oriented class according to career of respondents, it was showed that there were not clea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career in most inquires. However, There were definite differences between level of satisfaction of instructors and their career. This meant that educational programs for instructors should be divided on their career.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about learning-oriented class in the music education and understand actual circumstances how it is conducted, as of today in which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for increasing students’ creativity is emerging. The author hopes that learning-oriented class in music education would be much advanced through active development of learning-oriented class.;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과에서의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 실태를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총 10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교과에서의 배움중심수업의 전반적인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음악교사들은 배움중심수업의 목적과 특징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도가 높았으며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의 상승을 배움중심수업 필요성의 요인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음악교과에서의 배움중심수업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과반수의 음악교사들이 한 달에 한 차시 또는 매 수업시간마다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교사는 배움중심수업에서 협력적인 수업 전개를 가장 어려워하였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의 소통 역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음악교과에서 배움중심수업을 적용하지 못하는 원인은 음악교과에 특성화된 배움중심수업의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교과 특성에 알맞은 다양한 수업 방법 및 모형과 지도안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음악교과에서의 배움중심수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에 맞는 배움중심수업 자료가 보급되고, 연수를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음악교과 특성에 알맞은 배움중심수업의 설계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연수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교사는 배움중심수업을 계획 및 실행하려는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음악교사들의 학교급에 따른 배움중심수업의 인식 및 실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영역에서 학교급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움중심수업을 적용하는 것이 교육 환경과 교육과정의 차이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시사한다. 여섯째, 음악교사들의 경력에 따른 배움중심수업의 인식 및 실태에 대해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영역에서 경력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수 내용에 만족한 이유는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직경력에 따라 필요로 하는 연수의 내용이 다름을 시사한다. 창의적인 인재를 기르기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대두되고 있는 현 교육의 시점에서 음악 교과에서의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음악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악교과에서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개발과 연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음악교과에서 배움중심수업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