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5 Download: 0

2017년도 서울시 중학교 음악과 수행평가 방법 및 계획의 현황과 교육과정 평가기준에 따른 학교별 세부평가계획 분석

Title
2017년도 서울시 중학교 음악과 수행평가 방법 및 계획의 현황과 교육과정 평가기준에 따른 학교별 세부평가계획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tus of methods and plans for music class performance assessment, and analysis of detailed evaluation plan based on course of study evaluation standard in middle schools in Seoul
Authors
김가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주연
Abstract
본 논문은 현재 학교에서 시행되는 평가내용을 조사하고 평가계획을 분석함으로, 음악교육 평가의 현황을 밝히고 평가계획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서울시 중학교에서 실시되는 음악과 수행평가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2011년도의 현황과 비교함으로써 음악과 수행평가의 추이를 알아보았다. 또 각 학교에서 공시하고 있는 평가계획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지침의 내용과 비교분석함으로써, 각 학교의 평가계획이 교육과정의 내용과 평가지침의 내용을 얼마나 수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가장 많은 학교에서 수행평가를 100%의 비율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수행평가의 영역은 가창·기악·신체표현·창작·감상·생활화·참여·이해 영역을 담고 있었다. 수행평가 영역 내 평가비율을 분석해 보았을 때, ‘감상’과 ‘생활화’영역의 평가비율은 ‘표현’영역에 비해 적었으며, ‘표현’ 영역 내에서도 ‘신체표현’이나 ‘창작’영역을 평가하는 비율이 ‘가창’과 ‘기악’영역을 평가하는 비율보다 낮았다. 이를 보아 음악과 수행평가의 내용이 ‘표현’영역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가창’과 ‘기악’영역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학교가 월등히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수행평가의 추이를 보았을 때, 6년간 수행평가의 평가비율은 증가하였으며, 수행평가의 내용도 다양해졌다. 그러나 수행평가 내 영역별 실시비율과 평가비율이 ‘가창’과 ‘기악’영역을 평가하는데 집중되어 있는 것은 6년 전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학교별 세부평가계획에 따른 연구결과는 대다수의 학교에서 각기 다른 방법으로 학기평가계획과 수행평가의 내용, 평가기준들을 제시하고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지침과 비교해 보았을 때, 교육과정의 평가지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용하는 학교가 적었다. 특히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에 대한 분류가 잘 되어 있지 않았으며, 평가요소별 채점기준이 상·중·하 형태로 나뉘어 있지 않았다.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결과로 두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 번째, 음악과 수행평가의 영역이 골고루 평가되기 위해 ‘감상’과 ‘생활화’영역에 대한 평가가 확대되고, ‘표현’영역 내 ‘신체표현’과 ‘창작’영역에 대한 평가도 확대되어야 한다. 두 번째, 교육과정이 변함에 따라 평가지침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이해가 필요하며, 새로운 교육과정의 내용을 현장에서 교사가 잘 적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사연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music educational evaluation and assist in the guidance of detailed evaluations by researching its contents and analyzing the assessment plans.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accomplishment evaluations with 2011’s accomplishment evaluations, this study shows progress of accomplishment evaluations in Seoul middle schools. In addition, middle schools’ officially announced modifications of evaluation guides in 2009 and a comparison between current plans displays how the evaluation plan is carried out by individual middle schools. Research shows that most schools evaluate students purely by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covers singing, instrumental performance, body expression, creativity, impression, habituation, participation, and understanding. Within performance assessments, most of its contents leaned towards expression, specifically singing and instrumental performance. When looking at development progr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during the course of six years, the ratio of conducting performance assessment increased and the contents varied. However, evaluating students on singing and instrumental performance remained the same. This research also displays that each school presented different evaluation plans, content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evaluation standards. When comparing current guidance of modified course of study with 2009, very few schools understood and carried out the guidance. Particularly, standard and level of accomplishment were not classified and rating criteria was not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riteria of music educational evaluation should be more focused on impression and habituation. In addition, teachers should remain current in regards to evaluation guidance. Opportunities for training and practical study should be given to every teacher to allow an application of the new course of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