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소금협주곡 분석 연구

Title
소금협주곡 분석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Sogeum Concerto
Authors
박형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소금은 음색이 명료하고 가장 높은 음역을 가진 악기로 전통곡을 비롯하여 독주곡과 협주곡 등 창작곡에 두루 쓰인다. 소금음악에 대한 기존 연구는 협주곡을 분석한 3편이 전부인데, 주로 독주선율 위주로 분석되면서 전체적인 소금협주곡의 음악 양상을 살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창작된 소금협주곡 중 주요 작품에 해당하는 <세우림>, <길>, <파미르고원의 수상곡>, <옹헤야 주제에 의한 바람>, <소금협주곡 1번>의 다섯 작품을 중심으로 독주소금과 합주 선율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주소금의 연주법, 독주소금과 관현악의 역할관계를 고찰하였다. 제Ⅱ장에서는 20세기 이전과 이후로 구분하여 소금음악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통일신라 때 삼죽 중 하나로 성립된 소금은 조선시대까지 궁중음악에 편성되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축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20세기 전기 이왕직아악부에서는 소금이 쓰이지 않았으나 1956년 김기수가 향악계 음악에 적합한 소횡적을 제작하면서 전통 합주곡을 비롯하여 독주곡, 중주곡, 협주곡 등 여러 형태의 창작곡에 소금이 편성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소금협주곡 다섯 작품의 독주소금 선율과 합주 선율을 분석하였다. <세우림>의 카덴차 선율과 기타독주 선율은 메나리조 선율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16분음표의 연속사용으로 긴장감을 주거나 잇단음 리듬형이 꾸밈음처럼 활용되었다. 합주선율에서는 <뱃노래>의 선율과 메기고 받는 형식을 인용하였고, 악기군의 리듬형을 대비시켜 소금의 리듬을 더욱 부각시키는 양상이 나타났다. <길>의 카덴차 선율과 기타독주 선율은 퇴성, 노니로, 요성, 다루치는 주법, 글리산도, 텅깅 주법을 활용한 선율 전개가 특징이었다. 합주선율은 육채와 칠채 장단을 바탕으로 다양한 리듬형으로 변화를 주었고 선율의 진행에서 화성과 전조 기법을 통하여 풍성한 음향과 선율의 고조를 나타냈다. <파미르고원의 수상곡>의 기타독주 선율은 주제선율을 제시하거나 변형하여 반복하는 형태가 주로 나타나고, 2분박, 3분박, 혼합박의 박자와 잇단음 리듬형이 자유 리듬으로 사용되었으며, 반규법과 텅깅의 두 주법이 쓰였다. 합주선율은 관악기가 화음으로 진행하고, 타지크족 음악의 특징을 활용하였다. <옹헤야 주제에 의한 바람>의 기타독주 선율은 동형진행을 반복하는 선율과 동일리듬이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네로네, 스타카토, 트릴 등의 주법으로 리듬을 강조하였다. 합주선율은 메나리조 어법을 사용하였고 단모리 장단을 바탕으로 헤미올라 리듬을 강조하였다. <소금협주곡 1번>의 기타독주 선율은 도약 선율과 소금의 최고음인 e♭˝음을 연속사용하였고 수제천 선율을 활용하였다. 싱커페이션 리듬, 32분리듬, 잇단음 리듬형 등이 쓰였으며, 떠이어, 노니로, 다루치는 주법, 추성, 퇴성 등 전통주법이 나타났다. 합주선율에서는 시조 반주 선율을 활용하고 도드리와 연음형식을 차용하여 전통적 색채를 더하였으며, 화성적 표현을 강조하였다. 제Ⅳ장에서는 소금협주곡 다섯 작품에 나타난 독주소금의 연주법을 전통주법과 서양주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통주법은 노니로 주법, 네로네 주법, 떠이어 주법, 요성 주법, 퇴성 주법, 추성 주법, 다루치는 주법, 반규법 등의 총 8가지 주법이 나타난다. 전통주법은 <소금협주곡 1번>에서 가장 많이 쓰였으며, 이러한 전통주법의 횟수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작곡자가 전통 관악기에 익숙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서양주법은 글리산도, 아티큘레이션, 꾸밈음, 텅깅의 총 4가지 주법이 나타난다. <길>에서는 이 4가지 주법이 모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서양주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활용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제Ⅴ장에서는 소금협주곡 다섯 작품에 나타난 독주소금과 관현악의 역할관계를 구조와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독주소금과 관현악의 구조는 전경, 중경, 배경으로 구분하는데, 전경 악기는 주로 관악기가 주선율을 연주하거나, 독주소금의 주제선율을 반복하였다. 중경의 악기는 해금, 가야금, 당적이 주로 등장하며, 대선율을 연주하고 선율 모티브를 동형진행하였다. 가야금의 경우 주법에 따라 중경과 배경을 이동하며 나타났다. 배경의 악기는 베이스 라인 혹은 음향적 바탕을 형성하는 저음악기가 사용되고 기준박과 리듬패턴을 유지하는 타악기가 배치되었다. 독주소금과 관현악 구조에 따라 나타나는 유형은 모방유형, 문답유형, 리듬 보조 유형, 화음 보조 유형, 여백 채우기 유형, 숨고르기 유형, 선율 연결 유형, 동일선율 연주 유형의 8가지로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소금협주곡 다섯 작품이 모두 나타난 유형은 문답유형, 리듬 보조 유형, 화음 보조 유형, 여백 채우기 유형, 숨고르기 유형, 선율 연결 유형이었다. 모방 유형과 동일선율 연주 유형은 <소금협주곡 1번>을 제외한 <세우림>, <길>, <파미르고원의 수상곡>, <옹헤야 주제에 의한 바람>에서 나타났다. 특징적으로 <소금협주곡 1번>에서 모방유형과 동일선율 연주 유형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소금협주곡 1번>의 독주소금 선율이 다른 작품들과는 다르게 독자적으로 선율진행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소금협주곡 1번>은 본 연구대상 곡 중 가장 최근에 작곡된 작품으로 이 작품에서 독자적인 선율진행이 이루어진 것은 그동안 연주되었던 곡들의 공식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소금협주곡을 통시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주요 작품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독주소금의 연주법과 관현악의 역할관계를 살펴보았다. 소금협주곡의 독주선율은 작품 안에서 비중이 축소되며, 구성에 있어 관현악과 소금의 합주가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소금의 연주법은 전통주법에 악기 특성을 반영한 서양주법이 더해지면서 음악적 표현이 더욱 풍성해졌고, 일반적인 관현악 기법을 따르면서 독주악기인 소금을 더욱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금음악의 영역을 확장시키는데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 연구가 연주자와 작곡자에게 소금음악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The sogeum is an instrument with the highest and clearest tone among the traditional Korean transverse bamboo flutes, and it is used widely in solo piece and concerto music and composition in traditional Korean music. Despite this, past research on sogeum music has been limited to only three works analyzing concerto, with their focus primarily on the solo melody of the sogeum but not on the comprehensive musical aspect of sogeum concerto. This research compares the melodies of the solo sogeum and the orchestra in five works considered central pieces in sogeum concerto from the 1970s to the modern day – “Seurim,” “Gil,” “Pamir Susang-gok,” “Wind by Ongheya's Melody” and “Sogeum Concerto No. 1” - to examine the playing technique of the solo sogeum and its role-relation to the orchestra. Chapter 2 evalu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ogeum music prior to and after the 20th century. The sogeum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three main bamboo transverse flutes in court music from the Unified Shilla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period, but this recognition receded in the late Joseon era. The sogeum was not used in Yiwangjik-ahakbu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century. However, it came to be added into recital, chamber and ensemble music since Kim Gisoo created sogeum that was more suitable for Koreant raditional music in 1956. Chapter 3 analyzes the solo and ensemble melodies of the sogeum in the five works. The cadenza melody and the solo guitar melody in “Seurim” incorporate the menarijo melody. The consecutive use of sixteenth notes gives tension, and triplet rhythms are used like gracenotes. The ensemble melody of “The Fisherman’s Song” makes use of the call-and-respond form, and contrasts the rhythms of various instruments to highlight the rhythm of the sogeum. A particular feature of the cadenza melody and the solo guitar melody in “Gil” is that they employ the toeseong, noniro, vibrato, daruchigi, glissando and tonguing techniques. The ensemble melody, based on yukchae and chilchae jangdan, gives changes through various rhythmic forms, and achieves an ample tone and build-up through harmony and transposition in the melodic progression. The solo guitar melody in “Pamir Susang-gok” has shown to be in repetitive form by either presenting or altering the subject melody. Rhythms divided into two beats, three beats, mixed beats and triplets are used freely, and tonguing and half-covered-hole techniques are used. Wind instruments are used for harmony in the ensemble melody and employs qualities from Tajik music. The solo guitar melody in “Wind by Ongheya's Melody” consistently uses melody and equal rhythm that repeat equal-type procedure, and emphasize the rhythm through the use of nerone, stakato and trill. The ensemble melody employs the menarijo method for expression and stress the hemiola rhythm against the danmori jangdan. In “Sogeum Concerto No. 1,” the solo guitar melody makes continuous use of leaping melody and e♭˝, the highest note the sogeum can play. It also uses syncopation, thirty-second notes and triplet rhythm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ddeoieo, onniro, daruchigi, chuseong and toeseong techniques. Sijo accompaniment melody is used in the ensemble melody, with dodeuri and yeoneum form imbuing a traditional hue and emphasizing harmonic expression. Chapter 4 examines the playing techniques of the solo sogeum in the five works by distinguishing traditional technique and western technique. Traditional technique consists of the noniro, nerone, ddeoieo, vibrato, toeseong, chuseong, daruchigi and half-covered-hole techniques. Traditional technique is most used in “Sogeum Concerto No.1,” which is perhaps due to the composer's familiarity with traditional music. Western technique is composed of four techniques - glissando, articulation, gracenotes and tonguing. All four of these techniques are found in “Gil,” so the work could be seen as one that is more acceptive and makes active use of western techniques. Chapter 5 explores the role-relation between the solo sogeum and the orchestra based on structure and type. The structure of the solo sogeum and the orchestra is divided into jeongyeong, junggyeong and baegyeong. Jeongyeong instruments are normally wind instruments playing the main melody or the solo sogeum repeating subject melodies. Junggyeong instruments are mainly comprised of the haegeum, gayageum and dangjeok, which play the counter line and the melodic motif in the scale sequence. In the case of the gayageum, the instrument alternates in structure between junggyeong and baegyeong based on the playing technique. Baegyeong instruments consist of low-pitched instruments that make up the bassline or the acoustic background, along with percussion instruments that maintain the meter and the rhythmic pattern. Determin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o sogeum and the orchestra, types are divided into eight categories – imitation type, dialogue type, rhythm assistance type, harmony assistance type, filling yeobaek type, breathing type, connecting melody type and playing equal melody type. For imitation type, the orchestra imitates the solo sogeum’s melody and rhythm with a lag to give an emphasizing effect to the solo melody. Dialogue type highlights the form of dialogue, so it stresses not only the call-melody but also the response-melody. Rhythm assistance type assists the smooth performance of the solo sogeum; the orchestra covers for and assists the main melody whenever there is a change in jangdan, rhythm or tempo. Harmony assistance type helps to attain ample tone by increasing amplitude and diversifying the color of the orchestra in the progression of the main melody; moreover, broken chords played in wide spectrums play an important role in embellishing the main melody. Filling yeobaek type helps to maintain melodic progression by having the orchestra fill in the melodic space created by a prolonged note in the main melody. Breathing type takes on the role of connecting the main melodies, when the solo sogeum is resting and the orchestra assumes the main melody. Connecting melody type is one in which the solo sogeum and the orchestra develop the main melody together. Playing equal melody type is when the solo sogeum plays the same melody as the orchestra and then plays in an octave higher to emphasize the main melody. In conclus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playing technique of the solo sogeum and its role-relation to the ensemble. This research has found that the sogeum’s solo melodies in concerto are reduced in proportion, while the ensemble melodies of the sogeum and the orchestra have shown to increase in composition. The musical expression of the sogeum has advanced as traditional techniques were fused together with western techniques, which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 within the music. Sogeum concerto follows the general techniques of other wind instruments, but is also created to draw attention to the sogeum as a solo instrument. In comparison, there are fewer sogeum concerto works than those of other instruments. It is my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sogeum players and composers understand sogeum music better and, in extension, serve as a motive for exploring the development potentials of the soge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